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6502283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8-07-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투자 원칙이 바로 서야 부동산 고수로 거듭난다
제1장 부동산 가치 투자란 무엇인가
1. 부동산 가치와 가격
2. 부동산 가치를 높이려면
3. 부동산 가치 투자란
4. 내재가치가 높은 부동산과 투자 시의 위험 요인
5. 부동산 포트폴리오, 바람직한 구성은
제2장 부동산 가치 투자의 핵심은 ‘땅’
1. 땅의 수익률은 아파트와는 차원이 다르다
2. 땅값이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
3. 왜, 지금이 땅 투자 적기인가
4. 땅 투자, 고정관념을 버려라
5. 땅 투자, 뛰어난 정보 선점 능력에 달렸다
6. 땅 투자 시의 고려 사항
7. 땅의 가치를 높이는 지역과 투자 포인트
8. 땅값, 정확히 파악하고, 제값 주고 사라
9. 개발 호재지역 투자 요령
제3장 부동산 가치 투자의 포인트-1
_개발계획을 보는 눈, 읽는 법
1. 부동산 기사를 보는 눈, 읽는 법①
_경제를 보는 눈, 부동산 기사
2. 부동산 기사를 보는 눈, 읽는 법②
_정책의 실효성과 시행 시기를 정확히 파악해야
3. 부동산 기사를 읽는 눈, 보는 법③
_정부정책의 타이밍 포착이 특히 중요
4. 부동산 정보를 읽는 법①
_기획부동산도 활용하기 나름이다
5. 부동산 정보를 읽는 법②
_개발 정보를 선점하는 방법
6. 개발지역 땅 투자, 그 적기①
_도시 기본계획 수립?공청회 전후
7. 개발지역 땅 투자, 그 적기②
_도로 및 철도 건설 기본계획(안) 공고공람 및 주민설명회
8. 개발지역 땅 투자, 그 적기③
_도시개발 사업지구 지정·고시 전후
9. 개발지역 땅 투자, 그 적기④
_역세권 개발구역 지정·고시 및 실시 계획 승인 전후
10. 개발계획, 이렇게 살펴라①
_도로 건설계획의 예: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
11. 개발계획, 이렇게 살펴라②
_철도 건설계획의 예: 경강선 복선전철화사업 및 여주신역사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12. 개발계획, 이렇게 살펴라③
_교통계획도 눈여겨보자: 평택 고덕신도시 건설
제4장 부동산 가치 투자의 포인트-2
_국토·도시계획을 살펴야 부동산의 내재가치를 알 수 있다
1. 국토·도시계획을 따라가면 돈이 보인다
2. 국토개발의 청사진, 국토종합계획
3. 국토·도시계획의 흐름과 관련 법체계를 숙지하자
4. 도시계획에 땅 투자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5. 도시계획의 체계와 흐름을 파악하라
6. 도시계획과 도시개발 시행사업을 읽는 방법
7. 토지이용계획확인서에서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제5장 부동산 가치 투자의 포인트-3
_역세권 땅 투자를 노려라
1. 길이 곧 돈이다
_미래 가치를 선점하라
2. 역세권 땅 투자
_부동산 가치 투자의 핵심 키워드
3. 역세권 개발과 관련한 포인트 세 가지
_역세권개발법의 제정
4.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발표에 담긴 의미
_도시를 재편한다
5.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 확정·고시
_신규 건설되는 철도와 역세권 개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6. 주목해야 할 신설 노선과 투자 시 주의할 점은
7. 살펴야 하는 계획과 법규는
제6장 부동산 가치 투자의 포인트-4
_꼭 알고 있어야 할 땅 투자 실무 지식 13
1. 한계농지를 눈여겨보자
2. 토지거래허가구역 정리
3. 개발제한구역 해제의 의미
4. 토지수용과 이에 대처하는 방법
5. 개발예정지 주변의 생산녹지지역에 주목하자
6. 투자 가치가 높은 땅, 시가화예정용지
7. 가치 있는 땅으로 변화시키는 지목변경, 형질변경, 용도변경
8. 농지를 대지로 바꾸는 작업, 농지전용 허가
9. 도시개발사업, 추진 방식을 살펴라
10. 도시개발사업 추진지역 내의 토지 지분 투자를 적극 고려하자
11. 새롭게 뜨고 있는 농가주택, 전원주택, 주말농장
12. 도시민의 농지투자①
_농지 취득요건과 취득한도
13. 도시민의 농지투자②
_투자 유망 농지와 구입 시의 유의점
리뷰
책속에서
문제는 이처럼 상반된 논리의 충돌 때문이 아니다. 논리 부재는 그렇다 치더라도 그때그때의 경기변동 내지는 시류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문가들의 일관성 부재가 더 큰 문제다. 그들의 말을 그대로 믿고 투자한 사람들은 거의 예외 없이 낭패를 보고 만다. 하여, 그들의 말과 글을 참고는 하되, 어디까지나 자신의 원칙을 고수하는 투자 철학이 요구된다. 그렇다면 어떤 투자 원칙을 지켜야 할까?
싸게 매입한 부동산을 가격이 오른 후에 다시 비싸게 되판다면, 결과적으로 이익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부동산 가격은 왜 오르는 가’ 하는 것이다.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은 실제 본질가치(=내재가치)보다 싼 부동산이 이후 시장의 평가를 받아 그 부동산 본래의 가치에 근접하려는 속성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