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93662078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9-08-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Part 1 부동산투자, 이렇게 하라!
01 재테크를 다시 생각하다
02 부동산 대폭락은 올까?
03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① 부동산정책과 국토개발계획
04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②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변수
05 불황기의 부동산투자 투자냐, 투기냐06 침체기의 올바른 부동산투자법
Part 2 그래도 땅이다
01 땅의 수익률은 아파트와 차원이 다르다
02 땅투자, 고정관념을 버려라
03 부자들의 재테크 능력, 뛰어난 정보 선점력에 있다
04 땅의 가치를 높이는 지역과 투자 포인트
05 개발호재지역 투자 요령
06 땅의 시세를 정확히 파악하라
07 개발정보를 선점하는 방법
Part 3 개발계획을 보는 눈, 읽는 법
01 부동산 기사를 보는 눈 ① 경제를 보는 눈, 부동산 기사
02 부동산 기사를 보는 눈 ② 정책의 실효성과 시행시기를 파악하자
03 부동산 기사를 보는 눈 ③ 정부 정책의 타이밍을 포착하라
04 개발지역 땅투자, 그 적기는 ① 도시기본계획 수립 공청회 전후
05 개발지역 땅투자, 그 적기는 ② 기본계획(안) 공고공람 및 주민설명회
06 개발지역 땅투자, 그 적기는 ③ 개발사업지구 지정·고시 전후
07 개발계획, 이렇게 살핀다 ①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계획
08 개발계획, 이렇게 살핀다 ② 성남~여주 복선전철화와 역세권 개발
09 개발계획, 이렇게 살핀다 ③ 광역교통계획을 눈여겨보자
Part 4 국토계획 흐름 잡기, 관련 법규 따라잡기
01 국토개발의 청사진, 국토종합계획
02 국토계획의 흐름과 관련 법체계를 숙지하자
03 도시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 3가지
04 토지이용계획확인서에서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Part 5 꼭 알고 있어야 할 땅투자 실무지식 20
01 수질보전 관련 규제
02 토지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연접개발 제한’ 규정
03 투자가치가 높은 한계농지
04 토지거래허가구역에 주목하자
05 그린벨트 해제의 의미
06 토지 수용과 이에 대처하는 방법
07 개발예정지 주변의 생산녹지지역으로 시선 돌리기
08 투자가치가 높은 땅, 시가화예정용지
09 도시개발사업, 사업방식을 살펴라
10 개발행위 허가제도, 제대로 파악하자
11 마스터플랜, 지구단위계획구역
12 가치 있는 땅으로 변화시키는 지목변경, 형질변경, 용도변경
13 농지를 대지로 바꾸는 작업, 농지전용허가
14 새롭게 뜨고 있는 농가주택, 전원주택, 주말농장
15 도시민의 농지투자 ① 농지 취득요건과 취득한도
16 도시민의 농지투자 ② 투자 유망 농지와 구입 시 유의점
17 도시민의 농지투자 ③ 농지 구입과 관련된 세금 문제
18 도시민의 농지투자 ④ 쌀 직불금 관련 내용 정리
19 도시민의 농지투자 총정리-농지에 전원주택 짓고 살기
20 도시민의 산지투자, 임야에 전원주택 짓고 살기
Part 6 이명박 정부에서의 토지시장 전망
01 이명박 정부 시대, 땅투자 어떻게 할 것인가?
02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 ① 규제 내용과 완화 방향
03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 ② 관리지역 세분화와 용도지역 단순화
04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 ③ 농지 및 산지 규제 완화 방향
05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 ④ 군사보호구역 해제
06 수도권 규제 완화 방향 ⑤ 토지거래허가구역, 그린벨트 해제
07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업
책속에서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A씨는 경기도 용인시 상현동에 있는 논 992㎡를 평당 15만원에 구입했다. 현재 이 땅은 도시계획에 편입되어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으로 평당 5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10년 사이 가격이 약 30배 이상 상승하였으며, 1년에 평균 3배 이상 오른 셈이다.
같은 시기에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W아파트 106㎡ 2억 6,000만원에 매입한 B씨의 경우는 어떠한가. 현재 이 아파트의 시세는 15억원 전후로, 결과적으로 보면 처음 투자 대비 약 6배의 수익을 올린 셈이다. 이 역시 매우 높지만 전자의 경우에 비해서는 5분의 1밖에 안 된다.
이제 관점을 바꿔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땅과 아파트의 수익률을 비교해보자.
강남 개발이 진행될 무렵인 1970년대에 평당 약 4만원에 불과했던 서울 강남의 테헤란로 주변 땅값은 현재 평당 1억원이 넘는다. 3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때에 비해 무려 약 2,500배의 가격 상승을 가져온 것이다. 1970년대 후반 강남 최고급 아파트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의 분양가는 평당 44만원 정도였다. 현재 이 아파트는 평당 5~6,000만원 선으로 분양당시에 비해 약 130배 정도 증가했다. 이 역시 엄청나게 올랐지만 그래도 땅값 상승폭의 20분의 1 수준으로, 이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