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메모의 순간

메모의 순간

(읽기와 쓰기 사이, 그 무용한 지대에 머무르는 즐거움)

김지원 (지은이)
오월의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메모의 순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모의 순간 (읽기와 쓰기 사이, 그 무용한 지대에 머무르는 즐거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6873161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10-01

책 소개

무엇이든 읽고 쓰는 당신을 위한 메모의 재발견. 책을 기반으로 한 인문교양 뉴스레터 〈인스피아〉로 많은 독자의 지지를 받은 김지원 기자가 메모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메모’는 거의 언제나 실용적이고 생산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되어왔다. 김지원 기자는 그러한 관점에 반하여, 지극히 ‘즐거움’을 중심으로 메모를 이야기한다.
AI 시대의 우리는 어떤 기쁨을 놓치고 있을까?
일기, 편지, 논문, 소설, 에세이, 논픽션, 뉴스레터, 블로그, 독서노트……
무엇이든 읽고 쓰는 당신을 위한 메모의 재발견


13년 차 기자이자 2021년부터 2025년 중반까지 책에 기반한 인문교양 뉴스레터 「인스피아」를 기획, 발행한 김지원 기자의 메모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해찰’이라는 콘셉트로, 매주 서너 권의 인문/사회 책들을 오늘날의 사회적 문제와 깊이 있게 가로지르며 읽어내고 소개한 이 뉴스레터는 ‘알 만한 사람들은 아는’ 뉴스레터로 독특하고 탄탄한 입지를 다지며 많은 구독자의 호응을 얻었다.
이 뉴스레터의 바탕에는 다름 아닌 메모가 있었다. 그러나 김지원 기자에게 메모는 실용성이나 생산성보다는 즐거움에 단단히 붙박여 있다. 그는 “메모를 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 다르게 말하면, 메모를 할 수 없다면 책을 읽지 않는다”고 말할 만큼 메모를 애정하는 사람이다. 그에게 읽기와 메모-쓰기는 동전의 양면처럼 딱 붙어 있다.
우리는 보통 어딘가에 써먹을 요량으로, 또는 잘 기억하고 저장해두기 위한 생각으로 메모를 하지만 저자는 ‘무용한’ 메모를 예찬한다. 따라서 잊어버리는 것에 대해서도 그다지 걱정하지 않는다. 그에게 메모는 ‘기억하기’보다는 ‘머무르기’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그렇게 머물렀을 때 기억하게 된다고 말한다.

읽기와 쓰기 사이, 그 무용한 지대에 머무르는 즐거움

그렇다면 머무르는 행위로서의 메모란 무엇일까? 저자가 생각하는 메모는 읽기와 쓰기 ‘사이’의 지대다. 이 사이에 머무르는 시간의 물화가 바로 메모인 것이다. 메모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오랫동안 다음과 같은 질문들로 저자를 이끌었다. “독자는 과연 수동적인가? 우리는 읽기와 쓰기를 어디까지 따로 나뉜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흔히 읽기와 쓰기는 별개의 행위처럼 여겨지지만 저자에게 이 두 가지는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로 붙어 있다. 읽으면서 쓰고, 쓰면서 읽는다. “메모는 읽는 동시에 쓰는 사람, 텍스트에 주해를 다는 방식으로 치밀하게 해찰하며 읽는 사람의 독서/글쓰기 방식”이라는 저자의 정의가 재밌다.
이러한 메모의 핵심은 단 한 가지, 뜨끈뜨끈한 사유의 순간을 그대로 담아내는 것이다. 외부의 텍스트를 만나 내 안에서 무언가가 ‘촉발’되었다면 나중의 생각으로 미루지 않고 즉각적으로 달려들어 머무르고 잡아챈다. 바로 이 머무르고 잡아채기, 저자가 말하는 메모의 전부다.

분류나 쓸모를 고민하지 않기, 잊어버려도 상관없다고 여기기,
읽는 동시에 쓰기, 적극적으로 딴짓하며 안 읽기, 여백에 낙서하기……
그 모든 걸 그저 즐거움으로 하기


이 책 전반에 흐르는 에너지는 ‘즐거움’이다. 저자는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메모-쓰기의 즐거움을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메모는 무언가 흥미로운 것에 붙들린 순간에 머무르는 행위이기에 결코 재미와 무관할 수 없고, 그것을 잡아채는 쾌감 또한 즐거움을 안겨주는 일이다.
그리고 이 즐거움에는 어떤 측면에서 확실한 주관이, 즉 ‘무엇을 볼 것인가’만큼이나 ‘무엇을 보지 않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누구에게나 유용하고 효율적인 ‘메모법’ 같은 게 존재할 수 없는 이유다.

‘메모’라는 지대에서
우리는 더욱 자유로워진다


머무르며 잡아채는 메모의 순간은 무엇보다 자유로움의 순간이다. 읽기와 쓰기 사이에서, 쓸모를 고민하지 않고 기억해야 한다는 강박에서도 벗어나 그저 순수하게 머무르는 행위로서의 메모. 그 지극히 ‘무용한’ 메모의 지대에서 우리는 마음껏 붙들리며 딴생각에 빠져들 수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바로 그 몰입의 순간이 뜻밖에 ‘유용한’ 무언가로 이어진다.
사방에서 ‘중요하다’고 외치는 정보가 쏟아지는 시대에 우리는 “무언가 지적인 것을 그러모아 쌓아두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며 거의 질식할 지경이다. 저자 역시 기자로서 그러한 강박을 겪어온 사람이기에, 이 책이 재발견하는 메모는 더욱 깊이 와닿는다.
이 책으로 머무르고 잡아채는 그 원초적인 메모의 즐거움을 되찾아보자.

목차

프롤로그: 욕망으로서의 메모

1. 메모적 쓰기와 즐거움
2. 서간문이라는 메모
3. 더 많은 걸 기억해야 한다는 강박
4. 쓸모없는 메모의 지대
5. 딴짓하는 읽기/메모
6. 메모의 운명과 잠재력
7. 달아올랐을 때 쳐라
8. 자유롭게 붙들린다는 것
9. 책이라는 메모 뭉치
10. 인용이라는 머무름에 대한 단상
11. 읽기의 능동적 수동성
12. 여백에 낙서하기: 무한 확장하는 마지네일리아의 세계
13. 메모를 하는 어중간한 포즈
14. SNS는 메모가 될 수 있는가?
15. 어찌 됐든, 무엇이든 계속 써간다는 것: 책이 되지 않는 메모들에 대하여

에필로그: 머무르고 잡아채기

저자소개

김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고 2013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정책사회부·사회부·문화부·뉴콘텐츠팀 등을 거쳤다. 2021년부터 2025년 중반까지 약 4년간 책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교양 뉴스레터 〈인스피아〉를 기획, 발행했다. 《지금도 책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2024), 《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2023, 공저) 등을 썼다. 앞으로도 어떤 형태로든 즐겁게 읽고 쓰고 해찰하는 삶을 사는 것이 목표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거에는 한동안 메모에 집착했다. 인상적인 조각들을 모두 다 그러모으려고 노력했고, 책을 읽고서 ‘남는 것’을 사수하기 위해 애써보기도 했다. 나는 조금이라도 빛나는 것이라면 사금파리 조각이든 사금이든 닥치는 대로 모아 둥지에 쌓아두는 까마귀처럼 잡동사니 메모들에 질식할 지경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렇게 오랫동안 메모를 적다가 문득 생각했다. 어쩌면 메모를 써가는 일에서 기억하기는 부차적인 것에 불과할지도 모른다고 말이다.
(프롤로그)


또한 그간 나의 오랜 고민은 읽기와 쓰기 사이의 지대에 대한 것이었다. 독자는 과연 수동적인가? 우리는 읽기와 쓰기를 어디까지 따로 나뉜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이 때문에 이 책에서는 무언가를 쓰는 독자, 혹은 무언가를 읽는 필자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볼 텐데, 이는 결코 메모와 무관하지 않다.
(프롤로그)


하지만 메모를 단순히 미래에 남기기 위한 것이라고만 본다면 메모의 ‘현재적’ 속성을 지나치게 간과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은 나중에 무언가를 남기기 위해서도 썼지만, 그냥 단순히 왠지 모르게 써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에도 썼다. 아니, 의무의 차원이라기보다는 때로 그냥 ‘바로 이 순간’에 쓰고 싶어서 못 견딜 것 같았기 때문에, 쓰는 게 즐거워서 썼다.
(1. 메모적 쓰기와 즐거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