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안동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안동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박윤미, 서세영 (지은이)
동과서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안동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안동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65251682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안동에 위치한 세계유산에 주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을 보유한 천년 고찰 봉정사, 조선시대부터 600년 이상의 역사를 이어 온 전통마을 하회마을, 퇴계 이황의 도학이 깃든 영남 사림의 중심 도산서원, 서원의 전형적인 배치 및 자연을 품은 강학 공간의 대명사 병산서원 등이 지닌 가치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목차

1부 봉정사와 하회마을 ❘ 박윤미 15

봉정사 17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17
유네스코, 세계유산, 탁월한 보편적 가치 17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25

봉정사의 창건과 가람배치 29
봉정사 창건과 관련한 이야기 29
봉정사의 가람배치 34

극락전 45
현존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46
아미타불의 세계 52

대웅전 57
현존 최고(最古)의 후불벽화가 발견된 건물 57
석가모니불의 세계 62
고금당과 화엄강당, 영산암 71
고금당 72
화엄강당 73
영산암 76

하회마을 85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양동’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86

하회마을의 지리와 초기 역사 91
물돌이마을 하회 91
허씨·안씨·류씨 이야기 96

겸암 류운룡과 서애 류성룡 101
겸암 류운룡 101
서애 류성룡 105

마을 둘러보기 111
하회마을의 구조 111
양진당 114
충효당 118
북촌댁(화경당) 123
남촌댁(염행당) 127
토담, 만송정숲 130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선유줄불놀이 133
하회별신굿탈놀이 133
선유줄불놀이 139


2부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 서세영 143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144

유네스코 세계유산 145
유네스코의 탄생 145
유네스코 세계유산 148

한국의 서원과 세계유산적 가치 155
조선의 교육기관 155
한국의 서원 162
세계유산 등재 164
한국의 서원이 가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가치 170

도산서원(陶山書院) 175

도산서당과 퇴계 이황 176
퇴계 이황, 벼슬의 길과 학문의 길 176
도산서당의 터를 마련하다 179
도산서당을 완성하다 181
도산의 매화 193
학문과 교육 198
제자들 200

도산서원 203
서원 건축과 공간의 의미 204
도산서원의 배치와 건물 206
자연 속 어울림 219

병산서원(屛山書院) 223

병산서원과 류성룡 224
병산서원 건립 배경 224
류성룡의 생애 227
임진왜란의 발발 229
류성룡의 역할 235
류성룡의 학문 240
제자들 241

병산서원 245
서원 건축과 공간의 의미 246
병산서원의 배치와 건물 252
병산서원의 배롱나무 264
병산서원의 강학활동 265

나가며 267

저자소개

박윤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한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2017),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고려·조선 및 중국 송·요·금·원·명의 국가의례를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 『삼례도집주』(공역, 2023), 『대의각미록』(공역, 2021)이 있으며, 논문으로 「고려전기 외교의례의 일면, ‘사신연(使臣宴)’」(2024), 「금조(金朝)의 원일(元日)·성절(聖節) 의례와 외국사(外國使)」(2023), 「여말선초 대명(對明) 요하례(망궐례)의 거행과 의식 구조 변화 -고려 공민왕~조선 세종대를 중심으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서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2021),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중기 오경학의 실천적 분화와 비판』(공저, 2025)이 있고, 「순자(荀子)에서 전쟁의 의미와 도덕적 지향 -주벌론(誅伐論)을 중심으로-」(2025), 「조선후기 복수론(復讎論) 연구 -정조(正祖) 시기 복수사건과 판결을 중심으로-」(2024), 「영조(英祖) 초기 『논어(論語)』 경연의 특징」(2024)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