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5749783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9-1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몸과 함께 살아가는 삶으로
1장 지금, 당신의 몸은 어디에 있나요?
“아플 시간도 없습니다”
“건강이요? 자신 있습니다”
“내 몸이 너무 싫어요”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당신은 너무 많이 생각해요”
2장 순간순간 따뜻한 주의를 몸에 기울이기
몸과 마음의 만남, 바디풀니스
몸의 언어를 배웁니다
애쓰지 않고 호흡을 느낍니다
긴장과 힘을 뺍니다
내 몸에게 안부를 묻습니다
3장 마음의 고통에 대한 응급처치는 몸을 돌보는 것
마음이 힘들 때는 몸을 움직입니다
감정이 올라오면 신체감각을 관찰합니다
우울하고 외로울 때 먼저 몸에 집중합니다
진짜 힘든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동물도 트라우마가 생길까요?
4장 일상에서 몸에 귀기울이며 생활하기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 화장실에 갑니다
자세를 바로 합니다
배고픔과 식탐을 구분합니다
앞 맛, 본 맛, 뒷맛을 느끼며 먹습니다
잠이 올 때 잠을 잡니다
5장 몸을 자각하며 움직이기
꾸준히 운동을 할 수 없을까요?
섬세한 움직임은 뇌를 건강하게 자극합니다
세계적 기업들이 명상과 요가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의식적으로 일상의 활동을 늘립니다
6장 오늘부터 내 몸을 존중하기
“더 이상 저를 해치고 싶지 않습니다”
“처음으로 몸에게 사과했습니다”
외모에 대해 비난하지 않습니다
몸은 삶의 평생 동반자입니다
7장 몸이 깨어나면 삶이 깨어납니다
몸의 속도를 알아차릴 때 삶의 속도도 달라집니다
사람은 누군가와 몸으로 연결되기를 원합니다
몸은 지혜의 원천입니다
내 몸은 내 건강의 주체입니다
내 삶의 지휘자로 살아갑니다
에필로그_ 깨어나십시오
부록_ 2주일간의 몸챙김 훈련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마음이 집중하지 못하고 분주하게 움직이는 상태를 ‘심리적 방황(mind wandering)’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우울증이나 ADHD 환자뿐 아니라 현대인들의 뇌도 점점 심리적 방황이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버드대학 심리학과 교수 대니얼 길버트 팀이 만든 ‘당신의 행복 지수를 추적해 보세요(Track Your Happiness)’라는 아이폰 앱이 있습니다. 이 앱의 이용자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행복은 무엇을 하느냐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자신의 경험에 집중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25만 건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사람들은 깨어 있는 시간의 47퍼센트 동안 심리적 방황에 놓여 있다는 것입니다.
즉, 현대인들은 주의력의 스위치 기능을 하는 부변연계가 약화되어 마치 전등이 깜박깜박 거리는 것과 비슷한 상태에 있습니다. 그로 인해 마음이 끊임없이 방황하고, 몸과 머리가 따로 놀고, 감정과 이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상태에 있습니다.
― <1-5 “당신은 너무 많이 생각해요”> 중
몸과 마음을 만나게 하기 위해서는 몸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몸챙김’ 즉, ‘바디풀니스’입니다.
몸챙김은 ‘몸이 있는 곳에 마음이 머무르는 것’을 말합니다. 몸이 식탁에 있으면 음식을 먹는 것에 마음이 가 있고, 몸이 걷고 있을 때에는 걷는 것에 마음이 가 있고, 몸이 책상 앞에서 일을 할 때에는 그 일 속에 머무를 때 그 마음이 건강한 마음입니다. 몸이 있는 곳에 마음이 있어야 우리는 ‘깨끗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만약 몸이 있는 곳에 마음이 있지 않으면 우리는 ‘오염된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습니다. 친구와 이야기를 하다가 계속 다른 생각에 빠지고, 운동을 하면서도 회사 일을 걱정하고, 일을 하려고 책상 앞에 앉아 있지만 공상 속에 빠지게 됩니다.
몸챙김은 생각이나 감정 혹은 외부의 자극 이전에 몸의 감각을 알아차리는 게 그 초점입니다. 이러한 몸챙김은 당연히 비판단적일 수밖에 없으며 그 명확한 초점으로 인해 ‘알아차림’의 힘을 길러내는 데 효과적입니다.
― <2-1 몸과 마음의 만남, 바디풀니스>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