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88965962670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8-07-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데이터의 탄생_ 태초에 데이터가 있었으니
1장 데이터에 대한 오해와 진실
무엇이 데이터인가 | 객관적인 데이터는 없다 | 데이터의 계층 구조와 불확정성
2장 존재하나 보이지 않고, 보여도 보이지 않는
데이터의 사각 지대 | 데이터와 예술, 그 흐릿한 경계
인간은 140만 4,000킬로미터로 달리고 있다 | 사람마다 하루의 길이가 다른 이유
3장 양치기 데이터
통계학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그러나, 통계는 거짓말을 한다
보고 싶은 대로 보이는 데이터 | 왜곡의 유혹
4장 데이터가 가치를 가지려면
실체를 규명한다는 것, 그 어려운 도전 | 빅 데이터 : 왜곡에서 자유로워지다
데이터 짝짓기 : 데이터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 연금술 : 개방이 가치를 생산한다
2부 정보의 지도_ 데이터가 힘이 되려면
5장 이 정보는 얼마인가요?
아는 것이 힘이다 | 승자는 불확실성을 통제하는 자
<윤식당>으로 알아보는 정보와 생산성의 상관관계 | 나비 효과
6장 정보의 지도를 그리는 법
‘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 | ‘나’는 어떤 경쟁 관계를 맺고 있는가
STEEPLEV : 숲을 보는 법 | ‘나’는 누구인가
7장 정보의 바다에서 유영하기
정보를 탐색하는 4가지 방법 | 스캐닝 : 위험 감지와 기회 포착
모니터링 :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 개관 :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 연구 : 아는 것을 이해하는 것
8장 정보의 가치를 높이려면
가치를 결정하는 조건 : 희소성, 비대칭성 | 가치를 지탱하는 안전망 : 믿음, 신뢰
많다고 좋은 게 아니다 | 정보에도 유통 기한이 있다
3부 지능의 미래_ 신의 영역에 도전하기
9장 신의 선물
파리지옥도 지능이 있다? | 뇌과학으로 알아보는 지능 | 대립되는 두 세계
10장 신, 인간 그리고 기계
인식 : 가장 필수적이며 가장 원초적인 | 분석 : 신을 이기는 길 | 검증 : 진짜와 가짜 구별하기
추론 : 기계는 추론할 수 있는가 | 예측 : 미래 훔쳐보기
판단과 의사 결정 : 가장 좋은 답 찾기
11장 지능과 알고리즘
신경 회로와 의미 네트워크 | 내 주위의 알고리즘 | 모사 현실
12장 신의 알고리즘
자연 선택 | 보이지 않는 손 | 집단 지성
4부 지혜의 시대_ 데이터가 지혜가 되는 순간
13장 데이터 시대, 지혜란 무엇인가
어떤 가치를 우선순위에 둘 것인가 | 신뢰와 주도권을 확보하라 | 나만의 역할을 구축하라
14장 빅 데이터를 넘어 빅 인텔리전스로
특이점 | 4가지 갈림길 | 우리의 선택
15장 호모 소포스, 현명한 기업 그리고 국가
호모 소포스 | 위대한 기업에서 현명한 기업으로
학습 사회와 모범 국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데이터는 결코 객관적 개체가 아니며, 관찰자가 주관적으로 바라보고 싶은 세상의 단면일 가능성이 크다. 데이터가 객관적 타당성을 가질 거라고 속단한다면 당신은 데이터의 노예가 될 수밖에 없다. 빅 데이터 시대에 인간은 수동적 입장에서는 이미 수집, 보관된 데이터를 접하고 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면 그뿐이다. 하지만 우리 스스로가 빅 데이터 시대를 주도하고자 한다면 우리 주위에 수집, 보관되고 있는 데이터가 누가 어떠한 관점에서 수집한 것인가를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 주도적 관찰자로서의 주관을 가질 수 있고, 그 관점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발굴할 수 있으며, 이를 올바른 가치관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 1장 데이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조작하지 않는 한,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보고 싶어 하는 데이터를 통해 현상을 보려 하기에 그 선택과 정에서 커다란 왜곡이 발생한다. 인간은 수억 년의 진화 과정에서 공정성, 형평성, 불편부당성과 같은 형이상학적 가치 이전에 생존에 유리하게 현상을 바라보는 기회주의적 기질을 체화했다. 어찌 보면 데이터를 올곧게 바라보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것은 인간 본성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인간 의지의 문제다.
- 3장 양치기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