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735179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5-02-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학문의 위기, 무엇을 말하는가?
유동하는 학문 개념과 학문의 위기 | 규범적 학문 이론과 기술적 학문 이론
2장 신화, 형이상학, 그리고 과학
학문의 동기와 세계 설명 모델 | 설명 모델과 화용론 | 신화로부터 형이상학으로 | 형이상학으로부터 과학으로
3장 근대 학문의 이념
르네상스와 과학혁명 | 객관성의 이념 | 학문 개념의 변화와 세계관의 변화 | 은폐된 반전
4장 계몽주의적 신념과 과학의 발전
계몽이라는 이념 | 학문 개념의 변화와 사회 변혁의 동력 | 지식의 권력화와 계몽의 그림자: 연금술의 경우 | 낭만주의적 반동
5장 학문 개념의 변화: 과학적 지식과 가치의 분리
과도한 실증성과 실증 과학이라는 모범 | 지식의 민주화와 가치: 다윈의 경우 | 객관성과 역사성: 근대적 합리성에 대한 반감과 역사성의 요구 | 학문의 탈가치적 중립성과 몰가치적 맹목성: 베버의 경우
6장 다원주의적 세계관과 과학
수학의 위기와 합리성의 위기 | 근대성에 대한 거부와 새로운 세계관 | 문화의 반전: 과학 연구의 거대화와 자본
7장 자본재로서의 지식과 공공재로서의 지식
시장경제 체제 아래에서의 학문 연구 | 지식의 공공성과 자본재로서의 지식 | 지식기반사회의 명암
8장 지식의 상업화와 학문의 혼종
지식의 상업화: 리오타르의 경우 | 디지털 혁명과 재현의 문제 | 네트워크 공간 속에서 파편화된 지식과 포스트모던의 반전 | 생태계의 유비: 입체적 합리성과 학문의 적응 압력
9장 디지털 사회에서의 지식과 학문의 본성
학문의 역할과 삶의 문제 | 전통 학문의 위기와 대응 | 새로운 요구: 융합 혹은 경계 넘어서기
10장 인간의 위기와 과학의 위기
인간 과학의 등장과 과학의 위기 | 다시 근원으로: 학문이란 무엇인가?
11장 새로운 형이상학의 가능성
학문에 관한 체계 진화적 모델 | 파생세계와 세계 유전자 | 가능세계의 형이상학
12장 학문의 위기를 넘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