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67641931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목차
제1장 김기림시의 보편주의와 초월적 시선 연구–초기시를 중심으로 11
1. 서론•11
2. 세계 시민의 시선과 종말론적 상상력•17
- ‘지구-공동체’의 발견과 종말에 대한 경고
3. 사회부 기자의 시선과 민족의식•24
-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
4. 시인의 시선과 반감상주의•33
- 감상적 자아와 이성적 자아의 투쟁
5. 결론•41
제2장 유치환 초기시의 노마디즘 45
1. 서론•45
2. ‘다른 곳’에 대한 동경과 방랑자의 공동체•50
3. “원수”에 대한 “증오”와 ‘다른 자아’의 모색•60
4. “피의 법도”와 “정한한 피”의 인간 – 의의와 한계•68
제3장김달진 시의 현실 인식–근대성 비판을 중심으로 77
1. 서론•77
2. 박제된 자연과 수인 의식•80
3. 근대의 환영(幻影)과 물신주의 비판•89
4. 고향 상실과 표박 의식•98
5. 결론•108
제4장 윤곤강시의식민지근대성비판과자연지향성 111
1. 서론•111
2. 소비문화와 퇴폐풍조, 그리고 근대 도시 경성의 모순•113
3. 열악한 노동 환경 비판과 노동자에 대한 공감•118
4. 근대 사회의 일상성과 소시민 의식 비판•123
5. 자연 지향성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농촌 공동체•126
6. 결론•132
제5장 오장환 시의 근대와 자연–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135
1. 서론•135
2. 근대의 왜곡된 이미지 - “바다”•140
3. 존재의 구체적 표상 – 동물과 식물•148
4. 결론•160
제6장 이용악 시에서 자연의 의미–『분수령』, 『낡은집』을 중심으로 163
1. 서론•163
2. 현실의 참상 고발과 비극적 정서를 함축하는 자연물•168
3. 강・바다 이미지와 이중적 정서의 형상화•175
4. 극복 의지의 발현과 자연의 섭리•182
5. 결론•188
제7장 박세영 시의 자연과 현실 191
1. 서론•191
2. 애상적 자연과 피상적 현실 인식•195
3. 농촌 착취의 비판과 봄의 역동성•200
4. 그리움의 자연과 투쟁의 내면화•209
5. 결론•220
제8장 이찬 시에서 자연의 의미–『待望』, 『焚香』을 중심으로 223
1. 서론•223
2. 봄과 ‘화원’ :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과 상실•227
3. ‘바다’와 어촌 : 아름다운 자연과 어촌의 피폐함•232
4. ‘북방’과 산촌 : 척박한 자연 묘사와 현실 비판•238
5. 1930년대 리얼리즘 계열 시에 나타난 자연의 다층적 의미•244
참고문헌•255
찾아보기•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