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건축 속의 인문학

한국건축 속의 인문학

서경원 (지은이)
도서출판 담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8,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건축 속의 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건축 속의 인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6801052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건축을 소설처럼 재미있게 풀어 쓴 건축 속의 인문학 책이다. 마을과 서원을 둘러보며 우리 선조들이 중히 여기던 질서의 조화를 살펴본다. 책과 함께 책 속의 장소를 다시 방문한다면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건물이 담고 있는 수 많은 이야기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한국건축을 이해하는 첫걸음
한국건축을 이해하는 첫걸음 방위

- 궁궐을 제대로 보려면 왕이 되어라.
- 동양에서 방위의 기준은 사람이다.
- 절대향과 상대향

군주남면
- 밝음은 남쪽이고 임금의 통치를 의미한다.
- 군주남면君主南面

양택은 동쪽을 음택은 서쪽을 높인다.
- 양택과 음택의 배치원리는 다르다.
- 음택인 종묘는 서쪽이 높다
- 우허제右虛制
- 삼연릉인 경릉
- 왕릉의 정자각

한국건축물에는 서열이 있다.
- 집은 삶을 담는 그릇
- 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루樓 정亭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

보이는 만큼 아는 것이 풍수지리風水地理다.

- 풍수전문가는 천부적으로 땅의 기를 느낀다.
- 한국 전통건축의 도면은 대목장의 머릿속에 들어 있다.
- 갓 등극한 왕이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선왕을 묻는 일이었다.

한국의 산은 집이나 고을의 중심축이다.
- 뛰어난 인재는 영험한 땅에서 나온다
- 삼각산은 서울을 지켜주는 진산이다.

대문은 밀고 들어가는 것이다.
- 대문 앞에 서 계신 울 엄니
- 대문은 밀고 들어가는 것이다.

안마당은 늘 비워 두어야 한다.
- 할머니와 안마당
- 동네잔치
- 안마당이 집의 명당이다.

한국의 서원
문성공묘를 중심으로 펼쳐진 소수서원

- 환란지지患亂之地 순흥
- 신의 한 수 안향의 문성공묘
- 이미 무너진 유학을 다시 이어 닦다.
- 한국건축은 주 건물을 축으로 하여 중심화 되어있다.
- 신령한 거북이 알을 품은 터
- 소수서원은 음택인 문성공묘를 축으로 서쪽으로 중심화 되어있다.
- 제자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아서는 안 된다.
-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의 원혼을 달래다.

퇴계선생의 인품을 닮은 도산서당
- 부모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자식교육이라 했던가..
- 조선 최초로 지방에서 과거시험이 치러지다.
- 20대에는 주역공부에 심취하여 병을 얻었다.
- 몽천蒙泉은 참교육이 샘솟는 원천이다.
- 서원은 선비의 인격을 함양하고 완성하는 도장道場이다.
- 서원주변이 모두 도산서당을 감싸며 숙여든다.
- 늘그막에 도산으로 되돌아와 속세를 멀리하다.

봉황의 둥지 옥산서원
- 독락당 역락재에서 하룻밤 묵다.
- 강당마당이 바로 봉황의 둥지다.

한국의 마을
돌담은 벼루요, 소나무는 붓이요, 도랑물은 먹물인 선비마을 외암리

- 돌담과 물길 그리고 소나무로 이루어진 마을
- 설화산의 불기운 찾아 삼만리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집 맹씨행단
- 돌담에 속삭이는 묵향 같이
- 단 5분 만에 마을의 비밀을 알아내다니?
- 한국건축의 뿌리 터무니
- 마을입지에서 물은 산 못지않게 중요하다.
- 가지 끝에 열리는 나무열매처럼 집은 산 끝자락에 맺힌다.
- 건축은 인문학이다.

삼남의 삼대 명당 운조루
- 초등학교 동창들과의 나들이
-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사는 집 운조루(雲鳥樓)
- 친구와 집은 꼭 닮았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낸다는 경주 양동마을
-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 입신출세를 보장한다는 문필봉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전한 살림집 서백당
- 곡창 들판을 바라보는 집 관가정
- 무첨당無忝堂, 부모님 욕보임이 없게 하리라.
- 남향한 듯 남향 아닌 동향을 한 향단香壇

낙동강에 핀 연꽃마을 하회
- 허씨 터전에 안씨 문전에 류씨 배반으로 마을이 만들어지다.
- 물 위 연꽃씨방을 쏙 빼 닮은 마을
- 미신이거니 하지만 무시할 수도 없는 풍수지리
- 좋은 기운을 받기위해 강을 향해 열려있는 집들
- 좁은 동네고샅길과 담장은 지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 서울의 좌청룡 낙산
- 창덕궁 앞 율곡로와 백운대의 쇠말뚝
- 삼정승이 태어나길 바라며 지어진 대종택 양진당
- 막았는데 막힘은 없는 병산서원
- 일인지하만인지상의 꿈을 집으로 구현해 놓다.

관계가 관점을 만든다
서애선생의 평생 집을 가상으로 방문해 보다.

- 관계가 관점을 만든다.
- 숙명처럼 이순신을 만나다.
- 원지정사遠志精舍, 북쪽 임금을 그리며 시 한 수 짓듯 집을 짓다.
- 형만한 아우 없다.
- 호랑이가 포효하듯 불려야 좋은 호號
- 옥연정사玉淵精舍, 세상을 등지고 후세를 위해 징비록을 집필하다.
- 농환재弄丸齋, 홀로 세상을 피해 은둔하다.

저자소개

서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안성 출생이다. 국문학을 전공하고 잡지기자와 편집장을 10여 년 역임했다. 줄곧 건축 관련한 월간지 및 단행본을 수백 권 만들었다. 2002년부터 도서출판 담디 발행인이 되어 현재까지 다방면의 책을 출판하고 있다. 대학원에서 건축·역사·이론·비평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주제는 <조선시대 법궁 경복궁 경회루 전각의 상징 체계>였다. 건축잡지 기자 시절부터 한국의 전통 건축에 매력을 느껴 많은 기사를 썼다. 여전히 한국전통건축을 공부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건축 속의 인문학. 2016년>, <불 마귀를 제압하라. 2023년>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