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 마음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췌이펑훼이 (지은이)
한국문화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한.중 마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543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9-20

책 소개

언어 구조와 의미에 나타난 현상을 살펴, 그 이면에 있는 개념적 은유를 이해해 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즉,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소 ‘마음’을 중심으로 개념적 은유에 관한 표현이 어떤 기제를 통해 표현되고,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총론
1.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2. 이 책에 대하여

제1장 ‘마음(心)’의 일반적 해석
1. 고대 철학속의 ‘마음(心)’
2. 전통 의학속의 ‘마음(心)’
2.1. ‘마음(心)’의 생리적인 기능
2.2. 전통 의학 속에 ‘마음(心)’의 은유 표현
3. 현대 사전속의 ‘마음(心)’

제2장 이론적 배경
1. 인지언어학의 성격
2. 개념적 은유의 기본 개념
3. 개념적 은유의 작용 원리와 유형
4. 개념적 은유의 설명력



제3장 한·중 ‘마음(心)’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1. 들머리
2. 3차원 은유 표현
3. 2차원 은유 표현
4. 1차원 은유 표현
5. 마무리

제4장 한・중 ‘마음(心)’ 표현과 시간 은유
1. 들머리
2. 시간 은유 표현
3. 마무리

제5장 한・중 ‘마음(心)’ 표현과 감각 은유
1. 들머리
2. 시각 은유 표현
3. 청각 은유 표현
4. 미각 은유 표현
5. 후각 은유 표현
6. 촉각 은유 표현
7. 마무리

제6장 한・중 ‘마음(心)’ 표현과 색채 은유
1. 들머리
2. 검은색(黑色) 은유 표현
3. 흰색(白色) 은유 표현
4. 빨간색(红色) 은유 표현
5. 노란색(黄色) 은유 표현
6. 파란색/푸른색(绿色) 은유 표현
7. 회색(灰色) 은유 표현
8. 마무리

제7장 한・중 ‘마음(心)’ 표현과 감정 은유
1. 들머리
2. 화 은유 표현
3. 걱정 은유 표현
4. 두려움 은유 표현
5. 미움 은유 표현
6. 슬픔 은유 표현
7. 긴장 은유 표현
8. 기쁨 은유 표현
9. 사랑 은유 표현
10. 마무리

결론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췌이펑훼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허난성(河南省) 출생 중국 정주(?州)대학교 대외한어(?外??)과 졸업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문학석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 (문학박사) 대구고등학교 중국어 교사 (2013) 대구지역 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심사위원 (2016) 현)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글로벌교육부 중국어 교사 (2014~) 현) 대구외국어영재교육원 중국어 프로젝트 담당교사 (2016~) 논문 「한·중 완곡어 구성 방식의 대조 연구」 (2009)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ㆍ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2012) 「색채 은유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마음(心)’을 중심으로」 (2015) 공저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2015)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 표현들을 살펴보고, 개념적 은유 이론을 통해 ‘마음’의 의미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은유는 전통적으로 미학이나 수사학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지인영 2006). 이러한 견해에 반하여 Lakoff & Johnson(1980)은 은유가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이며, 인간의 인지, 사고, 언어 그리고 행위 저변에 깔려있는 ‘개념체계(conceptual system)’ 자체가 은유적이라고 주장한다. 즉, 은유는 단순히 언어적 특성을 넘어선 개념적인 현상으로, 언어현상을 포함한 일상적인 삶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으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인지언어학에서는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의 체계를 연구해 왔는데, ‘개념적 은유’란 은유를 단순히 단어 차원의 현상이 아니라, 언어로 부호화되기 이전 단계의 개념 세계의 현상, 혹은 인지적 방법으로 간주한다(임지룡 1995: 157).
물리적 개체나 실체에 대한 경험은 추상적 경험을 이해하는 기반이 되며, ‘개념적 은유 이론’에서는 이를 ‘존재론적 은유(Ontological Metaphors)’로 분류한다. 즉, ‘존재론적 은유’는 추상적인 사건, 행위, 감정, 사고 등을 개체나 실체처럼 파악하여, 이들을 지시하고, 범주화하고, 분류하며, 수량화하여 이에 대한 추론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물론 ‘존재론적 은유’도 인간이 세상을 인지하고 이해하는 인식 과정에서 개입하는 것으로서 본질적으로 개념적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볼 때 마음에 관한 가장 두드러진 ‘존재론적 은유’는 <MIND IS AN ENTITY(마음은 개체)>로 제시된다. 즉, 만질 수도 볼 수도 없는 ‘마음’을 물리적 개체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MIND IS AN ENTITY(마음은 개체)>는 다시 세분화된 개념적 은유 <MIND IS A MACHINE(마음은 기계)>로 구체화 될 수 있다. 한 단계 더 나아간 은유 <THE MIND IS A COMPUTER(마음은 컴퓨터)>는 인간의 사고 작용을 컴퓨터에 비교하는, 즉 인간의 추론과정과 유사한 작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인식하는 저변에 깔려 있는 것이 ‘개념적 은유’이다.
대부분의 ‘개념적 은유’는 신체적 경험에 기반을 두면서 은유 사용에 동기를 부여한다고 주장한다(Johnson 1987). 이것은 <MIND IS A BODY(마음은 몸)>이라는 개념적 은유를 전제한다. 마음은 눈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것이지만 눈으로 볼 수 있는 몸인 것처럼 이해한다는 것이다. <MIND IS A BODY(마음은 몸)>라는 개념적 은유는 보다 친숙한 ‘몸’의 모든 의미 국면, 은유적 함의를 포함하는 ‘영상도식(image schema)’이 ‘마음’에 ‘사상(mapping)’되어 개념화된다(Langacker 1987).
인간의 인지능력은 생물학적으로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된다(지인영 2006). 이를 통해 언어 차원 이전의 인지과정, 개념화 과정의 구조 속에서 개념적 은유 또한 언어 차이를 넘어서서 보편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언어로 표현될 때는 그 개념적 은유와 관련된 언어 표현이 사용되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마음(心)’을 나타내는 표현들을 통해, 두 언어에서 ‘마음(心)’의 의미 구조를 비교하고, 그 의미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마음’에 대한 연구는 ‘개념적 은유 이론(Conceptual Metaphor Theory)’을 통해 다양하게 연구되었는데, 한국어에 대한 논의로는 지인영(2006), 김선영(2012), 유권종(2013)이 있다. 첫째, 지인영(2006)은 한국어에서 인간의 언어가 보여주는 창의성의 기초라고 간주하는 Lakoff & Johnson(1980)에 기초하여 ‘마음’과 관련된 한국어 표현들을 토대로 한국인들이 ‘마음’이라는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동원하는 개념적 은유들, 즉 <마음은 몸>, <마음은 그릇(용기)>, <마음은 공간>, <마음은 생물>, <마음은 음식>, <마음은 잘 깨지는 것>, <마음은 개체(정/관심)>, <마음은 개체(정성)>, <마음은 개체(기계)>, <마음은 개체(생각)>, <마음은 개체(거울)>, <마음은 태도, 자세>, <마음은 여러 개>를 살펴보았다.
둘째, 김선영(2012)은 개념적 은유의 기반인 ‘영상도식(image schema)’으로 추상적 실체인 ‘마음’의 은유 표현 양상을 연구하였다. 즉 그릇으로서 마음을 중심으로 한 ‘그릇도식 은유’에서는 ‘안-밖 영상도식’, ‘가득함-텅빔 영상도식’, ‘초과 영상도식’, ‘열림-닫힘 영상도식’, ‘표면 영상도식’의 양상으로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이동성을 가진 대상으로서의 마음 은유 양상은 ‘경로도식 은유’에서 ‘수직성 영상도식’, ‘앞-뒤 영상도식’, ‘가까움-멂 영상도식’, ‘힘 영상도식’, ‘과정 영상도식’으로 나타났다. ‘부분-전체 도식 은유’에서는 ‘연결 영상도식’, ‘합병과 조화 영상도식’, ‘수집 영상도식’, ‘중심-주변 영상도식’으로 나타났고, ‘균형도식 은유’의 표현 양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유권종(2013)은 조선시대 및 당시 중국의 자료를 통해 유교의 마음 모형에 담긴 근원적 원리와 특징을 ‘뿌리 은유’ 및 네 가지 특징으로 구분해서 논의하였다. ‘뿌리 은유’에 해당하는 내용은 심장이라는 오장육부로부터 비롯된 ‘용기 은유’, ‘공간 은유’를 제시하였고, 그와 더불어 ‘마음(心)’은 몸이 그러하듯이 성장 혹은 질병과 관련된 은유가 있음을 밝혔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마음(心)’에 대한 논의는 여정남(2010), 췌이펑훼이(2012)가 있다. 여정남(2010)은 관용어의 의미 체계, 영상 패턴의 선택 및 인지 문화의 세 측면을 비교, 분석하였고, 췌이펑훼이(2012)는 공간의 여러 속성 중의 차원성, 즉 3차원, 2차원, 1차원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의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어에 대한 논의로는 ?振海(2003)에서 Lakoff & Johnson(1980)에 기초하여 ‘마음’의 은유 표현들을 분석하여 ‘마음’의 개념적 은유 구조를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