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17735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03-02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1부 긍정 도덕교육의 이해
1장 기로에 선 도덕교육
1. 도덕교육의 현 좌표는?
2. 도덕교육의 새 활로
2장 학교 기반 긍정심리학 개입과 도덕교육
1. 긍정심리학과 긍정교육의 이해
2. 학교에서의 긍정심리학 개입 사례
3. 도덕교육에의 시사점
3장 긍정교육과 인성교육
1. 긍정교육의 이론 체계
2. 긍정교육의 적용과 평가
3. 인성교육에 대한 시사점
2부 긍정 도덕교육의 실제
4장 삶의 목적과 도덕교육
1. 삶의 목적의 의미와 기능
2. 삶의 목적의 발달 과정 및 효과
3. 삶의 목적의식 함양을 위한 지도 방법
5장 삶의 의미와 도덕교육
1. 철학과 심리학에서 삶의 의미
2. 삶의 의미의 발달 토대
3. 삶의 의미 증진을 위한 지도 방법
6장 자기 자비와 도덕교육
1. 자기 자비 구인의 등장 개념
2. 자기 자비의 개념 및 구성 요소
3. 자기 자비의 심리적 기능 및 효과
4. 자기 자비의 함양을 위한 교수 방법
7장 희망과 도덕교육
1. 희망 이론의 이해
2. 학교에서의 희망 개입 사례
3. 초등 도덕교육에서 활용상의 유의점
8장 음미와 도덕교육
1. 긍정 정서의 유형과 기능
2. 긍정 정서 조절로서의 음미
3. 음미 전략의 활용 방안
9장 감사와 도덕교육
1. 감사의 개념과 도덕적 기능
2. 감사 교육 활동의 방법과 성과
3.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
10장 회복탄력성과 도덕교육
1.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2.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
3.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도덕과 지도 방법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 저자서평
이 책은 그간 내가 긍정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면서, 도덕교육에 쉽게 적용하여 도덕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더불어 증거 기반 실천 방안을 정리한 것이다. 이 책에 실린 대부분의 내용은 그동안 내가 학술지에 발표했던 긍정교육에 관한 논문에서 비롯되었다. 내 논리대로 글을 쓰는 것보다는 익명의 심사위원의 학문적 검증을 통해 더욱 탄탄한 논리를 갖춘 책을 만드는 것이 좋겠다는 의도에서 나는 이 책의 목차를 머릿속에 그리면서 먼저 논문을 작성하여 게재하고, 다시 수정과 보완을 거쳐 한 권의 책으로 만드는 어렵고 힘든 길을 선택하였다. 그러다 보니 3년 이상의 긴 세월에 걸쳐 이 책의 집필을 마칠 수 있었다. 나는 이 책에서 긍정교육의 핵심 구인을 가급적 모두 다루어보려고 애를 썼다. 특히 긍정심리학과 긍정교육에서 강조하는 여러 심리학적 구인 가운데 도덕교육적 함의가 크다고 여겨지는 7가지 구인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그래서 나는 삶의 의미, 삶의 목적, 회복탄력성, 감사, 희망, 자기 자비, 음미 등의 핵심 구인을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모쪼록 이 책이 학생의 웰빙이나 플로리싱을 증진하는 교육 활동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서문 중에서
1973년 하나의 독립 교과로 등장한 이래 도덕 교과는 파란만장한 교과로서의 삶을 보여 주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도덕 교과는 교육과정의 개편 때마다 존폐의 기로에 서서 교과로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참담한 전투를 벌여야 했고, 급기야 7차 교육과정에서 ‘시수 감소’라는 커다란 부상을 입은 채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도 위기는 지속되어 고등학교 도덕이 ‘통합 사회’ 과목에 편입되는 또 한 번의 아픔을 겪기도 했다. 그 사이 통일교육지원법, 인성교육진흥법의 제정과 더불어 도덕 교과의 독립성과 자립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일시적인 기대가 생기기도 했지만, 정작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하지만 파란만장했던 교과로서의 삶을 지탱해오는 가운데 오늘날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는 수능 시험의 사회 탐구 영역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목이 되었으며, ‘윤리와 사상’을 선택하는 학생의 숫자도 미약하지만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윤리와 사상’을 선택하면 ‘생활과 윤리’는 보너스라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 적어도 수험생에게 도덕 교과가 차지하는 위상은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그래서 나는 오늘 1장의 제목을 ‘기로에 선 도덕교육’으로 정했다. 여기서 나는 도덕교육을 전공하는 우리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과 표적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어쩌면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1981년 이후 도덕교육에 몸을 담았던 나 자신의 철저한 학문적 자기반성의 산물이며, 그러한 나 자신의 고민을 이 자리에서 상호 공유하는 것이 향후 우리의 도덕교육이 진일보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는 소박한 절규일 수도 있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나는 여기서 두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하나는 우리의 도덕교육이 서 있는 좌표를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도덕교육 연구와 실천이 지향해야 할 10가지 지침을 제안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그간 나 자신의 이론 연구와 경험 연구 결과에서 나온 한갓 개인적 내러티브에 불과하지만, 도덕교육에 관심이 있는 많은 사람과 진지하게 고민해 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