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6817798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08-28
책 소개
목차
▪서문
▪이 책의 구성
제1부
언어 자료 분석의 변천과 언어 자료
제1장 언어 자료 분석 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변천
1. 학습자는 왜 오류를 만들까: 오류 분석
2. 어떤 문법 형태는 왜 잘 사용할까: 필수 경우 분석과 빈도 분석
3. 언어 형태는 어떤 기능을 수행할까: 형태-기능 분석과 기능-형태 분석
4. 학습자의 언어 발달은 무엇으로 측정할까: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 분석
5. 언어 학습의 상대방은 학습자에게 어떤 역할을 할까: 상호작용 분석과 대화 분석
제2장 언어 자료 수집 방법과 연구 자료 선택
1. 어떤 연구 자료를 가지고 있는가 : 연구 자료 모으기
2. 종적 연구의 자료와 횡적 연구의 자료는 다른가: 연구 방법 선택하기
3. 필요한 자료는 어떤 방법으로 모을까: 연구 자료 수집 방법
4. 학습자 말뭉치(corpus)는 모든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가: 말뭉치 기반 연구
제2부
학습자 언어 자료 분석 방법
제1장 오류 분석(Error Analysis)
1. 오류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오류 분석 연구 경향
3. 오류 분석 방법의 실제
제2장 필수 경우 분석(Obligatory Occasion Analysis)
1. 필수 경우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필수 경우 분석 연구 경향
3. 필수 경우 분석 방법의 실제
제3장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1. 빈도 분석의 방법 및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빈도 분석 연구 경향
3. 빈도 분석 방법의 실제
제4장 형태-기능 분석(Form-functional Analysis)
1. 형태-기능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형태-기능 분석 연구 경향
3. 형태-기능 분석 방법의 실제
제5장 기능-형태 분석(Functional-form Analysis)
1. 기능-형태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기능-형태 분석 연구 경향
3. 기능-형태 분석 방법의 실제
제6장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Analysing Complexity, Accuracy, Fluency)
1.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연구 경향
3.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방법의 실제
제7장 상호작용 분석(Interactional Analysis)
1.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상호작용 분석 연구 경향
3. 상호작용 분석 방법의 실제
제8장 대화 분석(Conversation Analysis)
1. 대화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대화 분석 연구 경향
3. 대화 분석 방법의 실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4. 학습자의 언어 발달은 무엇으로 측정할까: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 분석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채점하다 보면 어떤 문장에 점수를 더 줄 것인가에 대해 고민이 될 때가 있다. 다음의 예를 연결어미 ‘-느라고’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에 대한 세 학생의 답이라 가정해 보자.
예1) 어제 숙제하느라고 잠을 못 잤어요.
예2) 어제 밤에 제가 숙제가 많았어서 숙제를 다 하느라고 친구가 못 만났어요.
예3) 어제 숙제를 끝나느라고 새벽에야 잠자리에 들었어요.
예1)은 문제에 맞는 답을 제시하고 있지만 정확성에 초점을 둔 나머지 문법 항목의 사용을 자신이 아는 범위 안에서 매우 통제하여 사용한 학습자의 문장이라면, 예2)는 언어의 형태보다는 의미를 더 중요시해서 망설임 없이 말하는 학습자인데 그러다보니 문법의 오류를 보인 학습자이다. 예3)의 경우는 자신이 배운 더 어려운 어휘를 사용해 보려는 시도를 하는 학습자로 ‘숙제를 하다’가 아니라 ‘숙제를 끝내다’로 ‘잠을 자다’가 아니라 ‘잠자리에 들다’로 사용해 본 학습자의 문장이다. 오류의 개수를 센다면 예1)은 없고, 예2)는 2개의 조사 오류가 나타났으며 예3)은 어휘 오류가 하나 있다. 그러나 세 문장을 보고 누가 가장 한국어를 잘하는 학습자냐고 묻는다면 오류가 없는 예1)의 학습자를 가장 잘하는 학생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 문장의 예로 보건데 학습자의 언어 수준은 오류의 수와는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예1)은 정확성의 측면에서는 만점이겠지만 유창성이나 복잡성에서는 예2)나 예3)에 비해 떨어진다. 예2)는 정확성의 점수는 만점을 줄 수 없지만 유창성에 있어서는 가장 점수를 잘 받을 수 있을 것 같고, 예3)의 학습자는 가장 복잡한 언어 형태를 사용한 학습자이다. 그렇다면 누가 가장 한국어를 잘하는 학습자일까? 정확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예1), 유창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예2), 복잡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예3)인데, 모든 기준을 다 적용해 보면 어떻게 될까?
위의 예를 통해 드러난 바와 같이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무엇으로 측정해야 하느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문법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오류가 없는 어절을 전체 어절의 비율과 비교해서 정확성을 측정하기도 하고, 종속절을 더 많이 사용하는 학습자가 더 언어 능력이 발달한 학습자라는 전제로 복잡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발달을 보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유창성의 경우는 보통 문장의 산출량과 산출 속도와 관련이 되어 있는 개념인데 쓰기와 말하기에서 다른 지표로 측정된다. 학습자가 언어 자료를 위의 기준을 적용하여 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하나의 관점으로 언어 능력을 파악하지 않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도록 해 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렇다면 왜 학습자는 세 가지 기준이 함께 발달하지 않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는 것이 심리언어학이나 정보처리이론에서 제2언어 습득을 보는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는 의미 생성을 위해 언어 형태를 선택할 때 정확하면 유창하지 않거나 유창하면 정확함을 잃어버리는 이유는 동시에 의미와 형태에 집중할 수 있는 정보의 처리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정보처리이론에서 언어 형태를 습득했다는 것은 자동화돼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자동화된 것들이 많으면 처리 용량이 늘어나서 점점 복잡한 문장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위의 세 가지 측정 기준으로 언어 자료를 연구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정확성이라는 하나의 측면으로 보지 않고 유창성과 복잡성을 함께 고려한 언어 능력의 발달을 볼 수 있는 시각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같은 수준의 학습자의 언어 사용이 특정 과제나 특정 언어
활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 있어서도 매력적이다. 그러나 복잡성이나 유창성 측정의 비슷한 척도들이 여러 연구마다 달리 사용되고 있고, 같은 복잡성을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지라도 어떤 것은 언어 능력이 발달하면서 지표가 좋아지지만 어떤 것들은 아니라면 측정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확보를 위해 무엇이 언어 발달의 복잡성이나 유창성을 측정하는 지표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할 거리가 남아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