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8230141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5-07-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원효의 공부입문
   1강 원효 강의를 시작하면서 
  
   2강 원효사상과 철학의 수행을 위한 입문
     1. 원효의 퍼스낼러티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원효사상과 철학의 공부법 
     3. 원효사상의 지향점(바램) 
     4. 발심수행장에 나타난 원효의 수행법(마음 닦기) 
   3강 원효의 교화법 
    
   4강 원효의 수행.공부법 
2부 원효의 생애 
   5강 원효의 생애
     1. 출생~출가까지 : 사상의 형성기
      1 출생(617년)
      2 화랑으로서의 활동 
     2. 출가~깨달음 : 사상의 정립기 
      1 출가(出家) 
      2 성도(成道) 
     3. 요석공주와의 만남과 봉황사의 절필 : 대중교화의 길(사상의 실천기)
      1 요석공주와의 만남 
      2 분황사에서의 절필 
3부 원효의 세계관과 정치사상 
   6강 원효의 세계관 
     무지의 지
     1. 인간관 
      1 평등적 인간관 
      2 주체적 인간관 
      3 보편적 인간관 
     2. 인생관 
      1 욕심이 모든 고통의 원인이라는 인생관
      2 분별심을 버려야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인생관        
      3 불법에 의거한 민중에의 사랑을 실천하는 인생관 
   7강 원효의 정치사상 
     1. 일심론 
     2. 화쟁론 
     3. 무애론 
     4. 원효의 정치사상 평가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원효를 제대로 공부하고 연구하려면 반드시 전제조건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연구자 개인이 어떤 인식체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합니다. 원효는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그냥 관념 속의 유희로써만 머물게 하지 않고 현실에서 실천하였습니다. 그것도 보통 학자들이 흉내 내기 어려운 파격적인 방법으로 그는 민중들과 삶을 공유하면서 자신의 철학을 폈습니다. 
이러한 그의 지행합일의 행동은 우리 역사상 일찍이 유례가 없을 정도로 치열한 삶을 살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원효는 단순한 사상가가 아닙니다. 그의 사상과 철학은 현실과 유리된 형해화된 탁상공론이 아니라 민중의 삶과 직결되는 수순으로 전개되었습니다. 
- 머리말 中
원효를 공부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철학의 본령인 ‘무지의 지’에 대한 깨달음입니다. 무지의 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원효에 대한 정확한 올바른 이해는 절대 불가합니다. 무지의 지는 자아를 버리고 독선으로 무장된 지식체계를 버릴 때 터득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효를 공부하는 이들은 스스로 순수한 심성을 가져야 합니다. 사특하고 탁한 이들은 결코 원효에 대한 올바른 공부에 이를 수 없습니다. 원효 자체가 너무나 순백하고 순수한 인간의 전형이기 때문에 원효를 공부하는 이 역시 순백하고 순수함을 유지하고 있어야 원효에 대한 제대로 된 공부를 진척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 책은 무엇보다 원효에 대한 공부법부터 논의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 머리말 中
그는 한국사에서 보기 드문 위대한 철학자이자 자유인이었습니다. 어디에도 걸림이 없이, 구애도 받지 않고 오직 자기 뜻대로, 자기가 정한 대로, 자기 언어와 자기의 원칙을 가지고 삶을 살았습니다. 그는 제도권 내의 기존의 귀족적인 학자와 승려와는 타협될 수 없는 순수함, 따뜻한 마음, 민중에의 사랑 이 세 가지를 가지고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천대받던 광대, 백정, 기생, 시정잡배들은 물론이고 코흘리개까지 함께 어울리고 노래하고 춤추고 술 마시고 하였습니다. 그는 모든 격식과 허식을 버리고 성(聖)과 속(俗)의 일체와 통일에 전념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는 불교의 교리상의 원칙, 정신은 허물지 않고 그 불교의 상을 실천함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경계 장벽을 강인한 실천의지로 허물었습니다. 
- 1강 원효 강의를 시작하면서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