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9150189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공릉동을 아시나요?
1장. 우리 마을에 우물터가 생겼다
공릉동 골목에 들어선 한 청소년센터
마스코트 설기
융합 혹은 잡종
에어컨과 와이파이
한계 속에서 콘셉트를 발견하다
마을교육력과 마을공동체
2장. 우리는 마을에서 모여 논다
우리가 마을에서 하는 일
달팽이처럼 느리지만 분명한 변화_시작된변화 프로젝트
[활동 사례] 우리 마을의 공기가 달라졌다!
도서관에서 생긴 일_도서관일촌
[활동 사례] 화랑도서관에 놀러와
문화다양성이란 무엇일까_지구마을 탐방
놀 줄 아는 아이들_놀이공간 유스카페
[활동 사례] 당구 한 판 할래
관계와 사귐의 노동
3장. 마을에서 꿈 찾기
마을에서 내 꿈 찾기_누구도하지못한프로젝트
[활동 사례] 나의 꿈, 나의 Story를 찾아서
예술하는 아이들_청소년 문화예술 동아리
[활동 사례] 모든 청소년은 예술가다
학교 밖 청소년의 공간이자 활동_나도, 꽃
[활동 사례] 나도, 꽃이야
우리 동네 탐방과 마을 여행_마을해설사
[활동 사례] 꿈마을여행 코스
마을 인문학, 엄마 인문학_부모를 위한 인문학 강좌
[활동 사례] 우발적이지만 감동이 있는 플랫폼
4장.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꿈마을공동체
꿈마을공동체의 탄생
흥이 넘치는 마을 축제 한마당
꿈마을공동체 사람들
좋은 삶은 좋은 교육으로 이어진다
에필로그
부록
마을을 꿈꾸는 이들에게
꿈마을 사람들 이야기
책속에서
모든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임시로 센터를 개관했을 때, 많은 청소년과 주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사람들의 기대는 높았고, 궁금증도 넘쳤다. “어떤 프로그램을 할 건가요?” “도서관에는 책이 몇 권이나 있어요?” “상담 프로그램은 운영하나요?” “이 마을의 상황에 대해 좀 아시나요?” 초등학생 여자아이들이 찾아와 재잘재잘 이야기를 쏟아내기도 했다. “선생님 우리 마을에 왜 이렇게 좋은 일이 생기는 거예요? 예전에 우리 마을에 좋지 않은 일들이 많았어요. 계속 싸우고, 경찰 버스도 서 있고는 했어요. 하여튼 청소년센터에 재미있는 일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 「공릉동 골목에 들어선 한 청소년센터」
센터 활동에 주민들의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약간의 우발적인 상황이 생겨나기도 한다. 전통적인 행정조직이라면 우발적인 요소를 예측하고 제어하는 데에 힘을 쏟겠지만, 우리는 큰 방향에만 맞는다면 우발적인 상황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서 어느 정도 허용하는 편이다. (중략) 사람과 마을은 유기체이기 때문에 짜여진 틀에 맞출 수는 없다. 유기체적 체계성도 중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 센터가 가진 또 하나의 콘셉트다.
― 「한계 속에서 콘셉트를 발견하다」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교육이라는 것이 이제 학교의 노력만으로는 절대 완성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아마도 우리가 지금 필요로 하는 새로운 교육은 마을과 학교가 힘을 합할 때만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진로교육, 인성교육, 자유학기제, 교육복지 등의 새로운 교육적 화두는 학교를 넘어 마을 속에서 일어나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교육적 내용은 부모와 이웃, 마을 사람들을 통해 일상의 삶으로 가르치고, 배워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 「우리가 마을에서 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