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915159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12-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해 알고 싶은 것들
• 도서관협력수업이란 무엇인가?
• 왜 도서관협력수업을 해야 하는가?
• 도서관협력수업 누구와 할까?
• 도서관협력수업을 하기로 했다면 준비해야 할 것은?
• 도서관협력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나눌까?
• 수업 진도 나가기도 바쁜데 어떻게 도서관협력수업을 할 수 있을까?
• 도서관 교육 여건이 안 좋은데 협력수업을 할 수 있을까?
• 도서관협력수업을 할 때 생기는 문제는?
• 도서관협력수업에서 학생 평가는 어떻게 할까?
• 도서관협력수업 후 생활기록부 작성 방법은?
• 도서관협력수업을 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 교사들이 생각하는 도서관협력수업의 의미는?
• 도서관협력수업, 이것만 시도하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다
2 도서관협력수업의 다양한 방법들
• 처음 협력수업을 시작하는 교사를 위한 수업
사례┃독서 ‘책 읽고 대화하기’
• 수업 자료 개발을 함께하는 협력수업
사례┃통합사회 ‘통합적 관점을 활용한 주제 탐구’
•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을 하는 협력수업
사례┃생활과 윤리 ‘윤리적 탐구 과정’
• 수업 설계부터 평가까지 함께하는 협력수업
사례 ❶┃독서 ‘학술적 글쓰기’
사례 ❷┃심화 국어 ‘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에 기반한 토론하기’
사례 ❸┃화법과 작문 ‘인포그래픽 제작하기’
• 여러 교사가 함께하는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 융합 수업
사례┃교과 융합 ‘왜 이타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 여러 학교 교사가 함께하는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 융합 수업
사례┃4개 학교 연합 대토론회 ‘상상력으로 타자를 만나다’
맺음말
부록
책속에서
지금의 고립된 형태의 교육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기능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효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학교도서관에 주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왜 도서관협력수업을 해야 하는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은 정보 탐색, 이용, 종합, 평가의 과정을 교육하여 학생의 정보활용 역량을 향상시킨다. 특히 국어, 사회, 도덕, 과학 등 자료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하는 교과와 연계하면 해당 교과의 성취 기준 달성에 큰 도움이 된다.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을 하는 협력수업’
‘밀접협력형 수업은 여러 교과와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만들고 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융합적 사고 역량을 키우는 것을 지향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맥락이 같다. -수업 설계부터 평가까지 함께하는 협력수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