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0186513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5-11-03
책 소개
목차
간행의 말 11
일본어판 범례 16
참고문헌에 대해 19
제1강 정치적 사고의 특질들 29
1. 정치적 리얼리즘과 상황 인식 32
2. 상황 인식에서의 리얼리즘 37
3. 리얼한 상황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 55
4. 결단·이념·‘악’ 62
제2강 태도·의견 및 행동 85
1. 정치적 분석의 방법들 85
2. 정치적 태도의 형성과 변화 92
3. 정치적 태도의 구조 127
4. 정치적 무관심의 문제
(권력 상황으로부터 물러앉는 태도) 136
제3강 집단과 리더십의 정치과정 169
1. 서설: 집단 관계에 대한 접근 각도 169
2. 집단화의 형태들 174
3. 리더십의 과제와 기능 204
4. 결어 259
제4강 정당 및 대표제 263
1. 정치적인 것: 정치체 혹은 정치적 시스템 265
2. 정당의 본질과 발전 288
3. 정당과 데모크라시: 정당론의 결말 325
4. 대표의 이론과 그 형태들 341
5. 대표제의 현대적 문제 370
제5강 통치 구조론 383
제6강 정치체의 균형과 변동 387
결어 391
부록 395
역자 후기 413
찾아보기 423
책속에서
앞서 서술했듯이 현대의 테크놀로지와 생산력이 고도로 발전하고 관료화가 진전되고 있는, 또한 대중의 관심이 소비생활로 향하고 있는 조건을 갖춘 곳에서는 정치적 에퍼시가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대중의 정치의식에 관한 본질현현론을 통해 바라보자면 현실에 의해 호되게 보복당한다. 그런 한에서 ‘광범위한 대중은 점점 더 각성하면서 들고 일어나는 중이다’ ‘권력은 매스컴을 구사하여 대중을 기만하는 중이다’라는 단순 이분법적 발상을 통해서는 현실을 해명할 수 없으며, 그런 이분법적 전제에 기초하여 작용을 가할지라도 유효성은 턱없이 부족하다.
리더십의 본질은 누군가가 리더인 것[리더인 상태 그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리더십의 적극적 기능이 수행되는 데 있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당면한 긴급사緊急事는, 리더십을 요청하는 것이 지도자주의(특정 지도자의 신화神化 및 만능화)로 전락할 위험성과 거꾸로 민주적 정치과정이 리더십 결여된 무책임이나 결정불능indecision[우유부단]에 빠질 위험성이라는 두 가지 위험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일이다.
대표가 지닌 일체성의 계기에만 강조점을 찍으면, 인민투표적 지도자로 정치권력의 집중 경향이 더욱 짙어지며, 결국에는 파시즘 독재정으로 이행하게 된다. 개별적·집단적 이득손실에 대한 대표에만 강조점을 찍으면, 직능대표제가 품은 문제에 당면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대표제의 관점에서 본 현대 정치의 딜레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