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7013212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00-08-24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7013212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00-08-24
책 소개
역사소설과 역사드라마에 대한 대중적 인기는 높은 편이지만 그 동안 우리는 역사소설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한 바 없다. 루카치 등의 이론을 빌려와 작품을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것에서 벗어나 우리의 역사소설을 우리 스스로 범주화하고 분석하자고 제안하는 책.
목차
- 책을 쓰게 된 동기
1. 역사는 담론의 구성물이다
1) 역사와 허구는 다르지 않다
2) 역사의 텍스트성.텍스트의 정치성
3) 사실성이란 사실-효과를 통해 만들어진 것일 뿐이다
2. 민족적 주체는 곧 남성적 주체였다
1) 민족주의 담론에 내재된 남성 중심주의의 실체
2) 식민지 여성에 대한 혐오와 영웅적 남성상을 향한 욕망
3. 역사소설을 효과적으로 읽으려면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1) 역사적 인물과 허구적 인물의 형상화 방식은 다르다
2) 조망의 차이가 곧 구성의 차이를 가져온다
4. 역사소설의 유형론은 왜 필요한가
1) 장르는 고정된 것이 아니다
2) 고전적 모델/고전적 모델의 모방/고전적 모델의 패러디
3) 목가/극적 에너지의 원천/주체로서의 역사
4) 기록적/가장적/창안적 역사소설
5) 역사적/알레고리적/환상적 양식
6) 기록적/가장적/창안적/환상적 역사소설
5. 역사소설에 역사는 없다
- 주
-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거의 역사는 과거 인간들에 의해 해해진 실제적인 사건이나 행위이기도 하지만 그런 사건이나 행위들에 관한 서술이기도 하다. 따라서 객관적인 인식론의 층위에서 보자면, 과거 사건에 관한 서술은 이상적으로 과거의 실제 행위들을 그대로 반영해야 하고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