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북민 트라우마 이해 (탈북민 전도와 제자화, 사회 통합에 미치는 영향)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0278841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24-09-26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0278841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24-09-26
목차
Ⅰ트라우마 단상
1. 분단폭력과 트라우마
2. 북한 체제와 트라우마
1) 김정은의 트라우마
2) 북한사람의 이중사고
3. 트라우마를 말한다는 것은
4. 왜 트라우마 신학이 요청될까?
Ⅱ 탈북민은 누구인가?
1. 탈북민의 남한살이
1) ‘선택’이 두려운 탈북민
2) 탈북민 경제-금융정착의 어려움
2. 탈북민 사회적 지위와 역할
3. 부유하는 조난자
4. 탈북민 트라우마 실상
Ⅲ 왜 트라우마에 주목해야 할까?
1. 트라우마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 사회통합 이해
2) 탈북민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
3)트라우마와 사회통합적 함의
2. 트라우마가 복음 전도에 미치는 영향
1) 전도의 정수는 제자화
2) 트라우마 비유: 좋은 밭과 돌밭
3. 트라우마가 신앙발달에 미치는 영향
1) 트라우마와 자기(self) 손상
2) 탈북민 심리-영적 아픔
Ⅳ 북한폭력 생태 체계도와 트라우마
1.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 이해
2.거시-외체계: 인간개조-사상개조의 덫
3.미시-중간체계: 비인간화의 덫
1) 아동 청소년기 경험
2) 결혼생활 세계의 여성경험
3) 폭력 및 트라우마 세대 전이
3. 시간체계: 신체적·정신적·심리적 손상
Ⅴ트라우마 극복을 위하여
1. 폭력(평화)에 대한 신학적 성찰
2. 트라우마에 대한 신학적 성찰
3. 트라우마 치유의 자원들
1)기독교 영성적 자원과 돌봄 목회
2) 사회적 자원: 안전한 생태환경의 조성
3) 심리 상담학적 자원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