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개정판)

이선재, 장경희, 윤희상, 이숙희, 강현숙, 강민기 (지은이), 김원룡 (감수)
예경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7084301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06-03-10

책 소개

우리나라 문화유산을 전반적으로 일별하기 위해 좋은 책이다. 고고, 회화, 서예, 조각, 공예, 건축 등 전통미술과 연관된 제반사항을 항목별로 소개한다. 1000여 점의 그림과 사진을 곁들이고 사전식으로 용어를 해설해, 문화유산을 접하는 첫 안내서로 적격이다. 1994년 출간된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의 개정판.

목차

- 개정판 발행에 즈음하여
- 발간에 부쳐

1. 고고
1. 구석기문화 - 개관 l 석기 l 주요 유적
2. 중석기문화 - 개관 l 주요 유적
3. 신석기문화 - 개관 l 주거와 생계양식 l 토기 l 석기 l 골각기 l 매장풍습 l 주요 유적
4. 청동기문화 - 개관 l 주거와 생계양식 l 매장양식 l 토기 l 석기 l 청동기 l 장식품.예술 l 주요 유적
5. 초기 철기문화 - 개관 l 집자리 l 무덤 l 토기 l 석기 l 청동기 l 철기 l 골각기 l 주요 유적
6. 원삼국문화 - 개관 l 생활유적 l 무덤 l 토기 l 철기 l 장신구 l 주요 유적
7. 삼국의 문화 - 고구려문화 l 백제문화 l 신라문화 l 가야문화
8. 통일신라의 문화 - 개관 l 무덤 l 토기 l 토용 l 기와, 전 l 주요 무덤 l 경주의 유적들

2. 서화

[ 서예 ]
1. 서체의 종류 - 한자서체 l 한글서체
2. 우리나라의 서예 - 고려시대 이전의 서예 l 고려시대의 서예 l 조선시대의 서예

[ 일반 회화 ]
1. 한국화 이해의 기초 - 제작태도 l 재료 l 필묵의 운용 l 시점과 구도 l 낙관과 제발 l 표구 l 회화의 품등
2. 한국회화의 역사 -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l 고려시대 l 조선시대
3. 산수화 - 조선시대 이전의 산수화 l 조선시대의 산수화 l 산수화의 화풍 l 산수화의 주요 주제 l 준법
4. 인물화 - 고사인물화 l 도석인물화 l 풍속화 l 기록화 l 초상화 l 인물화의 묘법
5. 영모화조화 - 영모화조화의 분류 l 소재와 상징적 의미
6. 문인화.사군자 - 문인화 l 사군자
7. 민화 - 십장생도 l 효제문자도 l 책거리그림 l 평생도

[ 불교회화 ]
1. 불화의 종류 - 벽화 l 탱화 l 경화
2. 전각과 불화 - 상단과 중단불화 l 하단불화
3. 불화의 주제 - 석가모니불화 l 비로자나불화 l 아미타불화 l 약사여래도 l 관음보살도 l 미륵불화 l 지장보살도 l 지옥과 시왕도 l 나한도 l 칠성신앙과 칠성도 l 산신도 l 경변상도

3. 조각

[ 일반조각 ]
1. 토우
2. 십이지상
3. 능묘조각
4. 장승

[ 불교조각 ]
1. 불교조각의 역사 - 삼국시대 l 통일신라시대 l 고려시대 l 조선시대
2. 불상의 형식 - 32길상 80종호 l 자세 l 수인과 지물 l 법의
3. 불상의 종류 - 불타 l 보살 l 명왕 l 천부 l 나한
4. 불상의 재료와 제작방법 - 석불 l 목조불 l 금불 l 금동불 l 천불 l 소조불 l 건칠불

4. 공예

[ 일반공예 ]
1. 도자공예 - 제작과정의 이해 l 도자기의 종류
2. 금속공예 - 금속재료 l 금속공예의 문양제작 기술 l 금속공예의 종류
3. 목칠공예 - 목칠공예의 종류 l 가구 l 짜임과 이음
4. 염직공예 - 염색 l 직조
5. 복식 - 남자 복식 l 여자 복식 l 어린이 복식
6. 종이공예 - 한지의 제작 l 종이공예품의 기법 l 종이공예품의 종류
7. 초고공예

[ 불교공예 ]
1. 의식법구 - 범종 l 금고 l 운판 l 목어 l 금강저 l 금강령 l 경 l 경책 l 죽비 l 북 l 동라 l 동발 l 불자 l 법라
2. 장엄구 - 당번 l 천개 l 불단 l 화만 l 사리구
3. 공양구 - 향로 l 화병 l 촛대 l 정병 l 발우
4. 생활용구 - 석장 l 여의 l 염주

5. 건축
1. 한국 전통건축의 이해 - 공간적 이해 l 구조적 이해
2. 궁궐건축 - 궁궐의 변천 l 조선시대의 궁궐건축
3. 사찰건축 - 가람의 성립과 배치 l 삼국시대의 가람형성 l 통일신라의 가람배치 l 고려시대의 가람구성 l 조선시대의 가람구성
4. 주택건축 - 주택의 성립과 변천 l 조선시대의 주택 l 주택의 실례
5. 관아건축 - 고려시대의 관아조직과 건축 l 조선시대의 관아건축
6. 향교 및 서원건축 - 향교 l 서원
7. 성곽건축 - 성곽의 성립과 변천 l 성곽의 종류 l 성곽의 구성요소
8. 석조물 - 탑 l 부도 l 석등 l 당간지주 l 석비 l 석조
9. 한국의 전통조경 - 전통조경의 이해 l 전통조경의 구성요소 및 실례

6. 문화일반
1. 도량형과 화폐 - 도량형 l 화폐
2. 문양 - 문양의 기원과 발전 l 문양의 요소 l 문양의 구성과 배치 l 문양의 상징적 의미
3. 인쇄 - 목판인쇄 l 활자인쇄 l 활자 주조법
4. 인장 - 인장의 재료 l 인장의 형식 l 전각 l 인장의 종류
5. 악기 - 현악기 l 관악기 l 타악기
6. 무기와 탈것 - 무기 l 탈것
7. 왕릉 - 삼국시대의 왕릉 l 고려시대의 왕릉 l 조선시대의 왕릉

7. 문화재
1. 문화재 - 유형문화재 l 무형문화재 l 기념물 l 민속자료 l 문화재 보호기관 l 문화재 지정 현황 l 문화재 관련 사이트 주소
2. 한국의 세계유산 - 세계유산 l 세계 기록유산 l 세계 무형유산 l 유산 잠정목록
3. 박물관 - 국립.공립 박물관 l 사립.법인 박물관 l 대학박물관
4. 주요 능, 원, 묘 - 삼국시대의 고분 l 고려시대의 능, 원, 묘 l 조선시대의 능, 원, 묘
5. 주요 건축

8. 연표와 연호
1. 간지(干支) - 10천간 l 12지지 l 월별 이름과 절기
2. 한국미술사 연표 - 한국.중국.일본 3국의 연표 l 미술사 연표
3. 한국과 중국의 연호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선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세종대 대학원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Meton Technical Collage, London을 수료하고 New York F.I.T.와 New York University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숙명여대 생활과학대학장, 대학원장, (사)한국복식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6년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의류학 개론>, <패션머천다이징>, <유교 사상과 의례복> 등이 있다.
펼치기
장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를 나오고, 같은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박사과정을 마치고, 1999년 「조선왕조 왕실가례용 공예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문화재청과 국림문화재연구소의 상근전문위원으로 근무하면서 종묘제례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하는 일을 하면서 「朝鮮後期 凶禮‘都監’의 匠人硏究」를 비롯하여 2001년 「조선후기 왕실의 옥공예 장인 연구」를 썼다. 2003년부터 한서대학교에서 근무하면서 조선 왕릉의 정자각과 석의물 등을 제작한 장인을 밝힌 「朝鮮後期 山陵都監의 匠人硏究」(2007)은 한국연구재단의 우수학술논문으로 선정되었다. 곧이어 북한과 교류를 통해 『고려왕릉』(2008)을 발간하면서 북한의 개성에 있는 신의왕후 제릉이나 정종 후릉 및 함흥 등지의 북도 팔릉에 대한 성과를 냈다. 조선왕실의 국장이나 왕릉 및 종묘에 필요한 의장의물을 제작한 각종 장인을 연구하여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연구』(2013)을 썼고, 규장각과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는 의궤에 기록된 장인을 정리한 『의궤 속 조선의 장인』은 인천문화재단의 2013년 우현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조선왕릉』(2019), 『국장과 왕릉』(2022), 『중국황제릉』(2023) 등을 꾸준히 책자로 발간하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이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소장이다. 국사편찬위원이며, 문화관광부의 영정초상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거쳐 현재 수리기술위원이자 무형문화재전문위원이며,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및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위원이다.
펼치기
윤희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한국건축사 전공).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하였고, 목원대, 남서울대, 경원대, 홍익대에서 한국건축사를 강의하였다. 2006년 현재 경기도 문화재 위원, 신흥대 건축설계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 미술 문화의 이해>(공저), <알기쉬운 건축 CAD 프리젠테이션 16강>(공저), <수덕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6년 현재 인천공항 문화재 감정관실에 재직 중이며 홍익대, 덕성여대, 충북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한국 미술문화의 이해>(공저), <한국조각사 논저해제>(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불상의 탄생>, <인도 미술>이 있다.
펼치기
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고구려 고분연구』(진인진, 2013),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한국상고사학보』 120, 2023), 「함경도 일대 고분 조사와 북한의 발해 고분 연구」(『한국상고사학보』 116, 2022)
펼치기
강민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강사. 주요 논저로 「천경자의 예술세계」, 「정현웅의 『조선미술이야기』 연구」, 「자유로운 조형정신의 구현: 박래현의 인물화」, 『한국미술문화의 이해』(공저), 『클릭 한국미술사』(공저), 『조선시대 궁중회화』 1·2·3(공저), 『일본미술의 역사』(편역) 등이 있으며, 근현대의 화가 및 재미있는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원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 졸업 미국 뉴욕대학 대학원 문학박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장 서울대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동 대학박물관장 및 대학원장
펼치기

책속에서

통일신라시대에는 백제와 고신라의 불교조각 전통 위에 새로이 수용되는 중국 당나라 및 인도, 서역과의 문화교류로 불교미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가장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불교조각도 신체비례에 균형이 잡히고 얼굴의 세부 표현이나 몸체의 양감 및 사실적인 옷주름 처리, 정교한 역락 장식의 표현 등에서 뛰어난 조각솜씨를 보여주었다.

대표적인 불상은 대부분 경주 지역에 모여 있다. 8세기의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상 및 미륵보살입상이나 석굴암 불상군 등에서는 인도에서 서역을 거쳐 중국에서 발달한 불상양식이 신라적으로 수용, 변형되어 한국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석굴암 불상군에 나타난 종교적 숭고미와 완벽한 조각기술은 뛰어난 예술성의 극치를 보여준다. 균형과 조화를 이룬 석굴 속에는 불, 보살, 나한, 천부들이 몽서 이상적인 불국토 세계를 이루고 있다.

통일 신라 후기에는 금동불이 적어지고 조각수법이 쇠퇴하는 대신 석굴암의 본존불을 따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불좌상과 지권인(智拳印)의 철조 비로자나불좌상이 새로이 등장하여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까지 유행하였다. - 본문 14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