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7084301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06-03-10
책 소개
목차
- 개정판 발행에 즈음하여
- 발간에 부쳐
1. 고고
1. 구석기문화 - 개관 l 석기 l 주요 유적
2. 중석기문화 - 개관 l 주요 유적
3. 신석기문화 - 개관 l 주거와 생계양식 l 토기 l 석기 l 골각기 l 매장풍습 l 주요 유적
4. 청동기문화 - 개관 l 주거와 생계양식 l 매장양식 l 토기 l 석기 l 청동기 l 장식품.예술 l 주요 유적
5. 초기 철기문화 - 개관 l 집자리 l 무덤 l 토기 l 석기 l 청동기 l 철기 l 골각기 l 주요 유적
6. 원삼국문화 - 개관 l 생활유적 l 무덤 l 토기 l 철기 l 장신구 l 주요 유적
7. 삼국의 문화 - 고구려문화 l 백제문화 l 신라문화 l 가야문화
8. 통일신라의 문화 - 개관 l 무덤 l 토기 l 토용 l 기와, 전 l 주요 무덤 l 경주의 유적들
2. 서화
[ 서예 ]
1. 서체의 종류 - 한자서체 l 한글서체
2. 우리나라의 서예 - 고려시대 이전의 서예 l 고려시대의 서예 l 조선시대의 서예
[ 일반 회화 ]
1. 한국화 이해의 기초 - 제작태도 l 재료 l 필묵의 운용 l 시점과 구도 l 낙관과 제발 l 표구 l 회화의 품등
2. 한국회화의 역사 -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l 고려시대 l 조선시대
3. 산수화 - 조선시대 이전의 산수화 l 조선시대의 산수화 l 산수화의 화풍 l 산수화의 주요 주제 l 준법
4. 인물화 - 고사인물화 l 도석인물화 l 풍속화 l 기록화 l 초상화 l 인물화의 묘법
5. 영모화조화 - 영모화조화의 분류 l 소재와 상징적 의미
6. 문인화.사군자 - 문인화 l 사군자
7. 민화 - 십장생도 l 효제문자도 l 책거리그림 l 평생도
[ 불교회화 ]
1. 불화의 종류 - 벽화 l 탱화 l 경화
2. 전각과 불화 - 상단과 중단불화 l 하단불화
3. 불화의 주제 - 석가모니불화 l 비로자나불화 l 아미타불화 l 약사여래도 l 관음보살도 l 미륵불화 l 지장보살도 l 지옥과 시왕도 l 나한도 l 칠성신앙과 칠성도 l 산신도 l 경변상도
3. 조각
[ 일반조각 ]
1. 토우
2. 십이지상
3. 능묘조각
4. 장승
[ 불교조각 ]
1. 불교조각의 역사 - 삼국시대 l 통일신라시대 l 고려시대 l 조선시대
2. 불상의 형식 - 32길상 80종호 l 자세 l 수인과 지물 l 법의
3. 불상의 종류 - 불타 l 보살 l 명왕 l 천부 l 나한
4. 불상의 재료와 제작방법 - 석불 l 목조불 l 금불 l 금동불 l 천불 l 소조불 l 건칠불
4. 공예
[ 일반공예 ]
1. 도자공예 - 제작과정의 이해 l 도자기의 종류
2. 금속공예 - 금속재료 l 금속공예의 문양제작 기술 l 금속공예의 종류
3. 목칠공예 - 목칠공예의 종류 l 가구 l 짜임과 이음
4. 염직공예 - 염색 l 직조
5. 복식 - 남자 복식 l 여자 복식 l 어린이 복식
6. 종이공예 - 한지의 제작 l 종이공예품의 기법 l 종이공예품의 종류
7. 초고공예
[ 불교공예 ]
1. 의식법구 - 범종 l 금고 l 운판 l 목어 l 금강저 l 금강령 l 경 l 경책 l 죽비 l 북 l 동라 l 동발 l 불자 l 법라
2. 장엄구 - 당번 l 천개 l 불단 l 화만 l 사리구
3. 공양구 - 향로 l 화병 l 촛대 l 정병 l 발우
4. 생활용구 - 석장 l 여의 l 염주
5. 건축
1. 한국 전통건축의 이해 - 공간적 이해 l 구조적 이해
2. 궁궐건축 - 궁궐의 변천 l 조선시대의 궁궐건축
3. 사찰건축 - 가람의 성립과 배치 l 삼국시대의 가람형성 l 통일신라의 가람배치 l 고려시대의 가람구성 l 조선시대의 가람구성
4. 주택건축 - 주택의 성립과 변천 l 조선시대의 주택 l 주택의 실례
5. 관아건축 - 고려시대의 관아조직과 건축 l 조선시대의 관아건축
6. 향교 및 서원건축 - 향교 l 서원
7. 성곽건축 - 성곽의 성립과 변천 l 성곽의 종류 l 성곽의 구성요소
8. 석조물 - 탑 l 부도 l 석등 l 당간지주 l 석비 l 석조
9. 한국의 전통조경 - 전통조경의 이해 l 전통조경의 구성요소 및 실례
6. 문화일반
1. 도량형과 화폐 - 도량형 l 화폐
2. 문양 - 문양의 기원과 발전 l 문양의 요소 l 문양의 구성과 배치 l 문양의 상징적 의미
3. 인쇄 - 목판인쇄 l 활자인쇄 l 활자 주조법
4. 인장 - 인장의 재료 l 인장의 형식 l 전각 l 인장의 종류
5. 악기 - 현악기 l 관악기 l 타악기
6. 무기와 탈것 - 무기 l 탈것
7. 왕릉 - 삼국시대의 왕릉 l 고려시대의 왕릉 l 조선시대의 왕릉
7. 문화재
1. 문화재 - 유형문화재 l 무형문화재 l 기념물 l 민속자료 l 문화재 보호기관 l 문화재 지정 현황 l 문화재 관련 사이트 주소
2. 한국의 세계유산 - 세계유산 l 세계 기록유산 l 세계 무형유산 l 유산 잠정목록
3. 박물관 - 국립.공립 박물관 l 사립.법인 박물관 l 대학박물관
4. 주요 능, 원, 묘 - 삼국시대의 고분 l 고려시대의 능, 원, 묘 l 조선시대의 능, 원, 묘
5. 주요 건축
8. 연표와 연호
1. 간지(干支) - 10천간 l 12지지 l 월별 이름과 절기
2. 한국미술사 연표 - 한국.중국.일본 3국의 연표 l 미술사 연표
3. 한국과 중국의 연호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통일신라시대에는 백제와 고신라의 불교조각 전통 위에 새로이 수용되는 중국 당나라 및 인도, 서역과의 문화교류로 불교미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가장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불교조각도 신체비례에 균형이 잡히고 얼굴의 세부 표현이나 몸체의 양감 및 사실적인 옷주름 처리, 정교한 역락 장식의 표현 등에서 뛰어난 조각솜씨를 보여주었다.
대표적인 불상은 대부분 경주 지역에 모여 있다. 8세기의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상 및 미륵보살입상이나 석굴암 불상군 등에서는 인도에서 서역을 거쳐 중국에서 발달한 불상양식이 신라적으로 수용, 변형되어 한국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석굴암 불상군에 나타난 종교적 숭고미와 완벽한 조각기술은 뛰어난 예술성의 극치를 보여준다. 균형과 조화를 이룬 석굴 속에는 불, 보살, 나한, 천부들이 몽서 이상적인 불국토 세계를 이루고 있다.
통일 신라 후기에는 금동불이 적어지고 조각수법이 쇠퇴하는 대신 석굴암의 본존불을 따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불좌상과 지권인(智拳印)의 철조 비로자나불좌상이 새로이 등장하여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까지 유행하였다. - 본문 14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