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Gyeongju Namsan

Gyeongju Namsan (La Montana Namsan en Gyeongju, 경주 남산)

(Esculturas Budistas En La Tierra Pura Del Reino Coreano Del Silla)

김원룡 (지은이), 안토니오 도메넥 (옮긴이), 강운구 (사진)
열화당
1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0원 -0% 0원
3,600원
116,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Gyeongju Namsan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Gyeongju Namsan (La Montana Namsan en Gyeongju, 경주 남산) (Esculturas Budistas En La Tierra Pura Del Reino Coreano Del Silla)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88930103442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09-05-10

책 소개

출판계의 살아 있는 전설 <경주남산>의 스페인어판. 22년 전 초판에서 내용이나 디자인이 달라진 부분은 없다. 언어만 한국어에서 스페인어로 바뀌었을 뿐이다. 그만큼 당시의 출판물이 완성도가 높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금 보아도 내용이나 디자인 어느 하나 손댈 곳이 없다.

목차

La Belleza de los restos arqueol?gicos budistas en las monta?a Namsan
-Kim Wonyong

Ilustraciones -Kang Woongu

Importancia de la monta?a Namsan
en Gyeongju y breve historia del budismo Coreano
-Antonio J. Dom?nech del R?o

Tabla cronol?gica comparativa

?ndice de ilustraciones

Mapa de emplazamiento de los restos arqueol?gicos budistas en
la monta?a Namsan de Gyeongju

저자소개

김원룡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 졸업 미국 뉴욕대학 대학원 문학박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장 서울대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동 대학박물관장 및 대학원장
펼치기
안토니오 도메넥 (옮긴이)    정보 더보기
El traductor Antonio J. Domenech nacio en Malaga en 1965 y tras graduarse en historia de las religiones por la Universidad Sogang de Seul, se doctoro en la Facultad de Filosofia y Letras de la Universidad de Malaga. Antropologo e historiador especializado en Asia Oriental, principalmente en Corea, es en la actualidad profesor de Pensamiento y Religion en Asia Oriental de la Universidad Oberta de Catalunya. Entre sus publicaciones se encuentran: Genero y familia en Corea (2004), Religiones autoctonas de Asia Oriental: Japon y Corea. Shintoismo y chamanismo coreano, situacion contemporanea: pensamiento y religion en Asia Oriental (2005), Historia intelectual de la Corea moderna (2005) y Descubriendo los codigos: palabras claves en la concepcion del mundo de las mujeres coreanas (2007).
펼치기
강운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왔으며, 외국 사진 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학고재), 「모든 앙금」(1997, 학고재), 「마을 삼부작」(2001, 금호미술관), 「저녁에」(2008, 한미사진미술관), 「오래된 풍경」(2011, 고은사진미술관) 등의 개인전을 했으며 여러 그룹전에 참여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광장, 1978), 『경주남산』(열화당, 1987), 『우연 또는 필연』(열화당, 1994), 『모든 앙금』(학고재, 1997), 『마을 삼부작』(열화당, 2001), 『강운구』(열화당, 2004), 『저녁에』(열화당, 2008), 『오래된 풍경』(열화당, 2011)이 있다. 저서로 『강운구 사진론』(열화당, 2010)이,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문학동네, 2004), 『자연기행』(까치글방, 2008)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까치글방, 1999), 『능으로 가는 길』(창비, 2000), 『한국악기』(열화당, 2001)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