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놀이/체험학습
· ISBN : 9788970844213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0-05-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미술영재의 이해
2부 미술영재 관련 이론
3부 어떻게 가르칠까?
4부 미술영재들의 그림 분석
부록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 일찍이 토랜스(1981)는 영재아를 비롯해 창의력이 우수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나를 변화시킨 선생님’이라는 주제로 질문을 던지고 그 답변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선생님은 친구와 사귈 수 있도록 도와주셨고, 내게 많은 질문을 해주셨으며, 내가 어떤 대답을 해도 비웃지 않고 들어주셨다. 선생님 덕분에 내가 가진 능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둘째, 선생님은 모든 것을 이해하고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셨다. 그분은 항상 내 감정을 이해해주셨다. 그분을 통해 배움이란 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즐겁고 기쁜 일임을 깨우칠 수 있었다. 셋째, 우리가 흥미를 갖고 있는 일에 푹 빠질 수 있도록 이끌어주셨다. 넷째, 언제나 격려를 해주셨으며 나에게 관심을 기울여주셨다. 선생님은 내가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 사회에서 성공하기를 진심으로 바라셨다.
- 아인슈타인의 개인 서신 130여 통을 분석한<타임>의 전 편집장 월터 아이잭슨은 “아인슈타인은 어린 시절 글도 변변히 쓰지 못하던 머리 나쁜 학생이었다. 그러나 언어 습득이 늦었던 것이 오히려 그에게 그림으로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주어 천재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동아일보>, 2007.4.12). 비록 언어 표현력은 어눌했지만 잠재된 상상력과 호기심을 계발해 세계적인 물리학자로 성장한 아인슈타인처럼, 미술영재들의 독특한 특성이나 개성은 교사에 의해 발견, 존중되어야 할 것이다.
- 동굴벽화 등을 보면 선사시대부터 인류 중에는 창조성을 타고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창조성이란, 다른 사람은 보지 못하는 새로운 것을 볼 줄 아는 능력을 뜻한다. 그 중에서 돌을 하나의 도구로 생각한 창의적인 사람은 날카롭게 갈거나 깎아서 사냥 도구로 사용하였다. 또 다른 창의적인 사람은 씨를 뿌려 곡식을 거둬들이는 방법을 발견했다. 사냥 의식을 행할 때 종교적 장소로 사용되었던 동굴에 웅장한 벽화를 그렸던 창조적인 예술가도 있었다. 그는 흙에서 얻은 물감이나 불로 구운 석탄이 동굴 벽면의 색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 웅장한 동굴벽화를 그릴 수 있었다(낸시 C. 안드리아센, 2006). 이렇게 남들이 보지 못하거나 알 수 없는 것을 발견하거나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창조적인 열정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