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88970924717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1-08-31
책 소개
목차
1부. 시장경제 이야기
01. 애덤 스미스: 시장경제를 발견하다 15
02. 하이에크: 시장경제는 저절로 생긴 것 18
03. 사적 소유 21
04. 자발적 교환 24
05. 개인의 자유 27
06. 가격의 기능 30
07. 시장의 위력 33
08. 경쟁 36
09. 기업가정신(1): 이병철·이건희 전 삼성 회장과 삼성반도체 39
10. 기업가정신(2): 정주영 전 현대 회장과 배 만들기·자동차 42
11. 근본경제문제 해결 45
12. 작은 정부 48
13. 정부개입(1): 법치주의 확립 51
14. 정부개입(2): 경제안정, 자원배분, 분배 54
15. 칼 마르크스: 자본주의 발전을 돕다 57
16. 시장경제로 동양을 앞서게 된 서양 60
17. 역사 발전과 자유주의의 기여 63
18. 시장경제를 이끌어온 나라 미국 66
19. 마거릿 대처: 신자유주의 뿌리를 내리게 하다 69
20. 로널드 레이건: 작은 정부를 실현하여 신자유주의 뿌리를 굳히다 72
21. 반시장 국가가 잘 못산다: 아르헨티나 이야기 75
22. 자유무역 국가가 잘산다: 싱가포르 이야기 78
23. 시장경제가 우리를 잘 살게 해준다: 한국 대 필리핀 이야기 81
<부록> 이 책을 읽는 데 도움이 될 몇 가지 경제 용어 설명 84
2부. 신자유주의와 대처리즘
01. 마거릿 대처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비판자들” 91
02. 대처리즘 106
3부. 장하준 교수가 잘못 말한 23가지
01. “자유시장이라는 것은 없다” 125
<부록> 장하준이 말하지 않는 것들·김순덕(동아일보 논설위원) 141
02. “기업은 소유주 이익을 위해 경영되면 안 된다” 145
03. “잘사는 나라에서는 하는 일에 비해 임금을 많이 받는다” 155
04. “인터넷보다 세탁기가 세상을 더 많이 바꿨다” 164
05. “최악을 예상하면 최악의 결과가 나온다” 169
06. “거시경제의 안정은 세계 경제의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184
07. “자유시장 정책으로 부자가 된 나라는 거의 없다” 198
08. “자본에도 국적은 있다” 214
09. “우리는 탈산업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217
10.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가 아니다” 222
11. “아프리카의 저개발은 숙명이 아니다” 233
12. “정부도 유망주를 고를 수 있다” 237
13. “부자를 더 부자로 만든다고 우리 모두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245
<부록> 한 명 세금 갖고 두 명 먹고 사는 스웨덴·박지향(서울대 교수) 270
14. “미국 경영자들은 보수를 너무 많이 받는다” 273
15.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부자 나라 사람들보다 기업가 정신이 더 투철하다” 278
16. “우리는 모든 것을 시장에 맡겨도 될 정도로 영리하지 못하다” 282
17. “교육을 더 시킨다고 나라가 더 잘 살게 되는 것은 아니다” 296
18. “GM에 좋은 것이 항상 미국에도 좋은 것은 아니다” 306
19. “우리는 여전히 계획경제 속에서 살고 있다” 315
20. “기회의 균등이 항상 공평한 것은 아니다” 318
21. “큰 정부는 사람들이 변화를 더 쉽게 받아들이도록 만든다” 327
22. “금융시장은 보다 덜 효율적일 필요가 있다” 336
<부록> 금융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안재욱(경희대 교수) 345
23. “좋은 경제정책을 세우는 데 좋은 경제학자가 필요한 건 아니다” 348
결론 “세계 경제를 어떻게 재건할 것인가” 352
<부록> 장하준 교수가 잘못 말한 것들·박동운(필자) 359
<책을 마치며> 한국경제 발전을 위한 여덟 가지 제언 365
참고문헌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