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가/혁명가
· ISBN : 9788970924748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12-03-10
목차
읽는이들을 위한 저자의 몇 가지 일러두기
이 책의 주제와 관련해 저자가 이미 출판한 글들
수정증보에 붙여
책 머리에(초반)
제1장 구한말의 풍운과 망국의 비애 속에서의 사상적 조숙
제1절 두산의 어버이와 안중군
제2절 박동화 선생으로부터 한학을 공부하다
제3절 3.1 독립운동에 참가하다
제4절 평양의 신식학교에 입학하다
제5절 민족지도자들의 강연을 듣다
제2장 일본유학, 그리고 정치학도로서의 민족적 자각과 마르크시즘 수용
제1절 세이세이코중학에서 민족주의 청년으로 성장하다
제2절 야무구치고등학교에서 사회주의에 접하다
제3절 도쿄제국대학 정치학과에서 마르크시즘을 받아들이다
제4절 폐결핵과의 싸우면서 마르크시즘에 대한 공부를 계속하다
제5절 군국주의시대에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유물론적 폭력주의를 버리다
제3장 일제말기 여운형과의 만남, 그리고 민족해방준비와 제1차 투옥
제1절 민족지도자들과 교우하다
제2절 중앙불교전문학교와 혜화전문학교에서 정치학을 가르치다
제3절 나치독일의 소련침공이 가져올 국제상황을 분석해 여운형에 보고하다
제4절 첫 번째 투옥, 그리고 일제경찰의 혹독한 고문
제5절 일제의 종말을 바라보며 여운형의 해방준비를 보좌하다
제4장 해방으로붙 6.25전쟁까지 남과 북에서의 활동
제1절 여운형이 주도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하다
제2절 북행과제1절 『민주조선』주필 취임
제3절 모스크바삼상회의의 결정을 지지하다
제4절 북한의 6.25남침을 보고 대한민국을 선택하다
제5절 두산의 북한공산체제비판
제5장 미소 평화공존론의 옹호로 말미암은 제2차 투옥
제1절 경북대학교 교수로 래스키와 켈젠을 강의하다
제2절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뒤베르제를 강의하다
제3절 서울대학교 문리대 정치학과에서의 평화공존론 강연이 문제가 돼 구속되다
제4절 흐루교프의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의 연설을 분석하다
제5절 볼셰비즘에 대한 비판활동을 계속하면서 민주사회주으론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다
제6장 조봉암 및 서상일과의 만남, 그리고 제1공화정 시대에 전개된 혁신운동 참여
제1절 혁신운동이 조직적으로 시작되게 된 국내정치적 상황
제2절 조봉암과 서상일이 걸어온 길
제3절 조봉암과 서상일을 중심으로 한 진보당창당운동
제4절 진보당창당준비위원회가 발족하다
제5절 진보당 강령을 기초하다
제7장 진보당 이탈과 민주혁신당 참여, 그리고 제3차 투옥
제1절 진보당의 창당 및 민주혁신당의 창당
제2절 진보당사건의 발생과 제3차 투옥
제3절 진보당의 평화통일론에 대한 검찰의 주장과 진보당의 반론
제4절 진보당 사건 직후의 대학복귀와 이 사건에 대한 회고
제5절 조봉암처형 이후 진보당사건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 그리고 조봉암의 신원
제8장 과도정부와 제2공화정 시대에 전개된 혁신운동에서의 주도적 역할 수행
제1절 혁신운동이 재개될 수 있는 국내정치적 여건이 형성되다
제2절 혁신운동을 고무시킨 김일성정권
제3절 혁신세력의 재등장과 평화통일론의 재대두
제4절 통일사회당 참여와 주도적 역할수행
제5절 제2공화정의 기간에 민주사회주의에 관한 이론을 계속해서 전파하다
제9장 5.16군사혁명과 제4차 투옥, 그리고 석방 이후 혁신계원로로 민주사회주의 운동지도
제1절 혁신계지도자들, 소급법에 의해 처벌되다
제2절 석방 이후 혁신운동재건에 참여하다
제3절 민주회복운동과 민족통일운동에 참여하다
제4절 민주사회당 창당에 참여하다
제5절 민주화합추진위원회를 통해 활동하다
맺는 생각들
참고문헌
두산 이동화 연보
찾아보기
感謝의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