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간옹우묵

간옹우묵

이기 (지은이), 신익철, 조융희, 이철희 (옮긴이)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450원
16,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간옹우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간옹우묵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71057636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0-12-25

책 소개

'AKS 역주총서' 1권. <간옹우묵>은 16세기 말엽 이기가 저술한 필기잡록으로 19세기 초 김려가 편찬한 야사총서인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와 편자미상의 <패림稗林>에 수록되어 전해진다. 조선 중기 사대부 계층에 속했던 저자에게 흥미롭게 여겨졌던 이야기들이 자유롭게 기술되어 있어 이 시기의 사회상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준다.

목차

책머리에 4

일러두기 11
11. 뇌물을 바치지 않아 파직당한 마운룡 ─ 12
12. 청렴은 선비의 당연한 덕목 ─ 16
13. 의리와 명절이 선비의 길 ─ 17
14. 선비는 벗을 가려 사귀어야 ─ 18
15. 군자의 선행과 소인의 악행 ─ 19
16. 청렴의 중요함 ─ 20
17. 그림자로 사람을 살피는 방법 ─ 22
18. 권세를 탐하는 신하의 죄악 ─ 23
19. 소인은 없애기가 힘든 법 ─ 25
10. 대간은 공론을 좌우하는 자리 ─ 28
11.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뇌물죄 ─ 29
12. 군주의 총명함은 덕에서 나와야 ─ 31
13. 상벌이 공정해야 하는 이유 ─ 32
14. 명분과 절개의 소중함 ─ 33
15. 군자는 내면의 덕을 쌓아야 ─ 34
16. 군자는 위엄을 지켜야 ─ 35
17. 세자를 교육하는 방법 ─ 36
18. 세자를 보좌하는 어려움 ─ 38
19. 군자와 소인의 다른 점 ─ 39
20. 세자시강원 관원들에게 생강을 하사한 인종 ─ 40
21. 현량과를 회복하라는 인종의 유언 ─ 41
22. 시대의 인재 ─ 43
23. 전란을 평정할 인재가 없는 안타까움 ─ 44
24. 양사의 서경과 사전출사 ─ 46
25. 뇌물이 성행하는 풍조 ─ 47
26. 이곡이 곡회曲會에서 지은 시 ─ 48
27. 구양현이 탄복한 이색의 시구 ─ 49
28. 황희의 도량 ─ 51
29. 원보륜의 검소한 행실 ─ 52
30. 정온의 겸손한 인품 ─ 54
31. 원순조가 두 딸을 가르친 법도 ─ 55
32. 백성들을 너그럽게 대한 이장윤 ─ 57
33. 나이 팔십에 삼년상을 행한 송흠 ─ 58
34. 노수신이 진도에서 아우와 이별하는 모습 ─ 59
35. 노수신의 효성 ─ 60
36. 자신의 봉급으로 궤장연을 치른 이준경 ─ 61
37. 안현의 청렴 ─ 62
38. 이몽린에게 두릅나물을 대접한 안현 ─ 63
39. 분재分財하는 날 부인을 보낸 김덕룡 ─ 64
40. 평안도 사람들이 칭찬한 이준경과 김덕룡의 청빈 ─ 65
41. 위급한 병중에도 법도를 지킨 이여 ─ 66
42. 상례에 엄격했던 외조부 원선 ─ 68
43. 권근이 쓴 이색의 행장 ─ 70
44. 김안국의 민첩한 시재 ─ 72
45. 장수의 재목이 없음 ─ 74
46. 모임에 일찍 참석하여 얻는 세 가지 즐거움 ─ 76
47. 이준경의 근엄한 인품 ─ 78
48. 청렴을 일깨우려 한 김정국의 편지 ─ 79
49. 고형산과 김양진의 술 마시기 시합 ─ 83
50. 노수신의 시재詩才 ─ 85
51. 황형의 자식 교육 ─ 87
52. 예의염치가 무너진 나라 ─ 88
53. 인육까지 먹을 정도로 인간의 본성을 잃어버린 세태 ─ 91
54. 안일해진 백성들의 삶에 대한 경계 ─ 93
55. 임진왜란의 전조 ─ 95
56. 관리들의 해이해진 기강 ─ 98
57. 공명정대함이 사라진 정치 ─ 99
58. 윤풍형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한 기녀들 ─ 101
59. 정사룡의 호기豪氣 ─ 103
60. 강릉의 넉넉한 인심 ─ 105
61. 흥원군의 호방한 기상 ─ 106|8
62. 왕상과 관련된 오해 ─ 107
63. 사행길에 길가의 곡식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 108
64.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이들의 물자 남용 ─ 109
65. 노즙의 짧은 생애 ─ 111
66. 노즙이 써준 시 ─ 114
67. 김화길이 써준 시 ─ 116
68. 서경덕의 시 ─ 117
69. 서경덕을 노래한 신광한의 시 ─ 119
70. 이색의 시 ─ 121
71. 사행길에 잃은 말에 대한 안타까움 ─ 123
72. 사행길에 바치는 예물例物 ─ 124
73. 장원봉에 얽힌 사연 ─ 126
74. 고려의 멸망을 탄식한 승려 선탄의 시 ─ 128
75. 최숙정의 민첩한 시재詩才 ─ 129
76. 신광한이 신잠에게 준 시 ─ 130
77. 신광한의 시 ─ 132
78. 소세양의 시재詩才 ─ 134
79. 윤풍형이 수연壽筵에서 쓴 시 ─ 136
80. 윤풍형의 시 ─ 137
81. 신광한이 동화사에서 쓴 시 ─ 139
82. 세상일을 잊겠다고 노래한 김정국과 김안국 ─ 141
83. 서림처럼 가혹해진 기대항 ─ 144
84. 앞날을 예견한 한억령 ─ 146
85. 신광한의 경장 십영시 ─ 147
86. 정사룡의 철원 제영시 ─ 154
87. 신광한이 노즙에게 보낸 시 ─ 159
88. 이희보의 숙직을 두고 장난친 정사룡 ─ 160
89. 유영길의 매화시 ─ 162
90. 아랫사람들에게 가혹했던 임형수 ─ 163
91. 기생에게 정을 준 조선규에게 조인규가 써준 시 ─ 164
92. 신숙주의 시에 재치로 화답한 윤자운 ─ 165
93. 강원도의 지형에서 나온 훌륭한 시구 ─ 166
94. 문란해진 서장관의 위계 ─ 167
95. 꿈이 예견한 과방科榜의 순위 ─ 170
96. 감사들의 별명 ─ 171
97. 거짓으로 제사와 상례를 핑계 댄 윤백원과 정담 ─172
98. 일자무식으로 합격한 고수억 ─ 173
99. 호랑이를 쫓은 퇴역 무관 ─ 176
100. 귀먹은 김진사 ─ 177
101. 가짜 호랑이에 놀라 야변증을 고친 조좌수 ─ 178
102. 계란을 순무라 속이고 몰래 먹은 노승 ─ 180
103. 밥을 얻어먹고 무잎으로 복통약을 지어준 종 ─ 181
104. 소대변이 막힌 병을 고친 문수사의 중 ─ 182
105. 통곡하여 정국공신이 된 이곤 ─ 183
106. 노인이 젊은이와 다른 세 가지 ─ 184
107. 여색을 밝힌 환관 박한종 ─ 185
108. 중종 앞에서 긴장한 관원의 모습 ─ 186
109. 성균관의 맞수 이선범과 강학손 ─ 187
110. 동료의 말에 속아 넘어간 성균관 유생 이철광 ─ 188
111. 독을 막아보겠다고 똥물을 먹다 죽은 이옥정 ─ 190
112. 온갖 재주를 부리는 원숭이 ─ 191
113. 다시 볼 수 없는 사행길의 풍류 ─ 192
114. 조상의 추모에 정성을 다한 한성군 ─ 194
115. 아흔이 되도록 성묘를 한 고두명 ─ 195
116. 노년에도 상례의 정도를 지킨 충의공 ─ 196
117. 부모 제사에 정성을 다한 참봉공 ─ 197
118. 부모님 봉양에 정성을 다한 별좌공 ─ 198
119. 문중이 사당에 모여 죄를 다스리는 가풍 ─ 201
120. 풍랑을 가라앉힌 의원의 처방 ─ 202
121. 옥당의 꿈과 점쟁이의 예언 ─ 204
122. 양주목사로 부임하기 전에 꾼 꿈 ─ 206
123. 명나라 사신 공용경이 칭송한 정사룡의 시 ─ 207
124. 흠휼欽恤의 뜻 ─ 208
125. 상주의 송원이 촉석루나 영남루보다 아름다운 이유 ─ 209
126. 술잔을 들면 잊을 수 없는 기생 ─ 211
127. 임금의 친필과 귤을 하사받은 이기 ─ 212
128. 남의 신부를 빼앗아 달아난 계룡산 도적 ─ 217
129. 수청을 거부한 공주 기생 ─ 218
130. 어린 나이에 재능을 보인 신광한과 정사룡 ─ 220
131. 성균관에서 다시 볼 수 없는 기풍 ─ 222
132. 부인의 정절을 시험한 신생 ─ 224
133. 저마다 다른 어사의 모습 ─ 225
134. 사관으로 낙점을 받지 못한 임내신 ─ 228
135. 이희보의 시 ─ 229
136. 말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 ─ 231

저자소개

이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22~1600년. 고려 말의 저명한 문인인 이곡과 이색의 후손이다. 자는 가의可依, 호는 송와松窩 또는 간옹艮翁으로,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관직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시호는 장정莊貞이다. 저술로는 필기잡록류인 <간옹우묵>, <송와잡설>이 있다.
펼치기
신익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한문학 전공 교수. 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한국 한시 및 산문이 지닌 아름다움과 가치를 해명하는 작업에 주력해 왔으며, 많은 고전 번역서를 펴냈다. 조선시대 사행 기록인 연행록에도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유몽인 문학연구』, 『연행사와 북경 천주당』, 『조선의 매화시를 읽다』, 『옛 선비의 풍류놀이와 유산 문화』, 공저로 『여암 신경준 연구』 등이 있다. 역서로 『나 홀로 가는 길』, 『연사일록』, 『역주 소파여사시집』, 공역서로 『어우야담』, 『교감역주 송천필담』, 『조희룡전집』, 『역주 이옥전집』, 『변영만 전집』, 『일암연기』, 『수기』, 『수향편』,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역주 양도팔도민은시』 등이 있다.
펼치기
조융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수향편』으로 읽는 조선 후기의 문화와 제도』(공저), 『영국 외교관의 근대 한국 탐방』(역서), 『고전으로 읽는 한국의 자연과 생명』(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추사 김정희 詩論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추사 김정희의 유희적 시세계', '‘靈慧’와 환상성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양면적 입장' 등이 있으며, 역서로 <조희룡전집>(공역), <이옥전집>(공역), <당시삼백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원주에 한 무부武夫가 살았는데 이옥정李玉貞이라고 하였다. 체구가 장대하고 힘이 세 활을 잘 쏘았다. 그러나 천성이 어리석고 인색한데가 고집이 세고 꽉 막혀 융통성이 없었다. 세상에 전하는 말이, 사람이 저절로 죽은 소의 고기를 먹어 독이 퍼질 경우, 사람의 똥물로 치료하면 아무 걱정이 없다고 한다. 이옥정의 집은 농사를 지었는데, 큰 소 두 마리가 하루아침에 모두 죽어버렸다. 이옥정은 저절로 죽은 소의 고기는 사람들이 사 먹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버리기는 아까워 소가 죽자마자 잡아서 간직해 두고 아침저녁으로 구워서 마음껏 배불리 먹었다. 그리고 그 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언제나 고기를 먹을 때마다 반드시 똥물을 한 사발씩 마셨는데, 열독熱毒이 퍼지기 전에 냉기가 먼저 속을 꽉 채워 오래지 않아 죽고 말았다. 고을 사라들이 비웃으며 말하기를, “탐욕과 인색이 부르는 화가 자기 몸을 죽이는 데까지 이르렀는데도 스스로 깨닫지 못하였다. 침 뱉을 일이지 위로할 것이 못 된다”고 하였다.
- 111. 독을 막아보겠다고 똥물을 먹다 죽은 이옥정 -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