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시민운동/NGO/NPO
· ISBN : 9788971270028
· 쪽수 : 340쪽
· 출판일 : 1990-01-01
목차
1부 사회학적 분석 방법 001. <1> 사회학과 이웃 사회 과학 002. 사회과학을 서술하고 비교하기 위한 기준 003. 사회학 004. 경제학 005. 정치학 006. 인류학 007. 역사학 008. 심리학 009. 요약과 맺음말 2부 집합 행동과 사회 운동 이론 010. <2> 사회학적 역사 분석 011. 구조적 분화의 모형 012. 산업혁명에 대한 모형 적용 013. 몇 가지의 방법론적 문제들 014. 왜 모형을 적용하는가? 015. <3> 집합 행동의 연구 범위와 이론적 쟁점들 016. 집합행동을 정의하는 특성들 017. 연구 분야에서 보는 핵심적 문제들 018. 설명적 모형으로서의 가치-부가적 접근 방법 019. 혁명 운동의 성장 020. <4> 집합 행동의 사회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 021. 심리적 및 사회적 분석 수준들 022. 집합 행동의 사회적 요인들 023. 사회적 설명의 미비점들 024. 집합 행동의 심리적 요인들 025. 심리학적 설명이 지닌 몇 가지 결점들 026. 종합적 접근의 구성 요소들 027. 저항 운동의 사회적 및 심리적 중요성 028. 사회 저항 운동의 공통 요소들 029. 사회저항 운동이 지닌 공통 요소의 정신역학적 의미들 030. 맺음말 3부 근대화와 사회 변동 031. <5> 근대화 이론의 모색 032.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분화 033. 분화된 행위의 통합 034. 분화와 통합의 불연속 035. 정부 역할의 구조적 바탕 036. 맺음말 037. <6> 안정, 불안정 및 정치적 부패의 분석 038. 변동을 보는 '앞섬-처짐'의 관점 039. 자연적 현상으로서의 부패의 연구 040. 문화적 및 사회 구조적 관계에서의 부패 041. 정치적 형태로서 부패의 발달을 유인하는 세 부류의 조건들 042. 어떤 체제의 정당성에 대한 부패의 몇 가지 결과 043. 맺음말 044. <7> 사회변동의 일반 이론 모색 045. 머리말 046. 사회 변동 이론에 대한 기준 047. 기존 사회 변동 이론의 검토 048. 이론 통합의 모색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