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학지리학개론

문학지리학개론

증대흥 (지은이), 정우락, 서주영, 전설련, 부량 (옮긴이)
경북대학교출판부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학지리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지리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71805879
· 쪽수 : 654쪽
· 출판일 : 2022-10-10

책 소개

문학지리학은 인간의 문학 활동을 공간에 입각점을 두고 미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학문이다. 문학지리학의 연구 대상은 작가를 키워 낸 지리 공간, 문학작품이 생성된 공간, 문학작품의 내적 공간, 문학작품의 수용과 전파 공간등을 두루 포괄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문학지리학의 연구 대상과 전공 설정
제1절 문학지리학의 연구 대상
제2절 문학지리학의 전공 설정
제3절 문학지리학의 지식 체계
1. 문학지리학 학술사
2. 문학지리학 원리
3. 문학지리학의 연구 방법
4. 문학지리학비평
5. 다양한 문학지리
제4절 문학지리학의 의의
1. 문학 감상과 관련한 의의
2. 문학 창작과 관련한 의의
3. 문학비평과 관련한 의의
4. 전공 설립과 관련한 의의
5. 환경 보호 및 개선과 관련한 의의
6. 장소감 촉진과 관련한 의의

제2장 지리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자연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1. 작가의 기질과 인격에 미치는 영향
2. 문학 제재와 문학지리 공간, 문학 풍격에 미치는 영향
제2절 인문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1. 국가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2. 지역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3. 가정환경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3절 문학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환경의 핵심 요소
1. 자연기후가 문학에 미치는 영향
2. 인문기후가 문학에 미치는 영향
제4절 지리환경이 문학에 영향을 주는 경로와 원리
1. 작가의 생명 의식
2. 생명 의식 촉발의 매개
3. 지리환경이 문학에 영향을 주는 원리

제3장 작가의 지리 분포
제1절 적관·조적·군망·객적
제2절 작가의 정태 분포
1. 분포 방식
2. 분포 법칙
제3절 작가의 동태 분포
1. 장기 동태 분포
2. 단기 동태 분포
제4절 정태 분포 및 동태 분포의 의의 비교

제4장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제1절 지역, 구역 및 공간
1. 지역과 구역
2. 지역, 구역과 공간
제2절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요소
1. 숨겨진 요소: 감정, 사상
2. 드러난 요소: 경관, 실물, 인물, 사건
제3절 문학작품의 지리 공간 구축
1. 공용어와 방언
2. 지리 공간 구성의 기본 양식

제5장 문학의 확산과 수용
제1절 문학 발원지의 가치와 배경
1. 문학 발원지의 가치
2. 문학 발원지의 배경
제2절 문학 확산의 두 가지 주요 유형
1. 이전 확산
2. 확대와 확산
제3절 문학 확산의 세 가지 효과
1. 명가 효과
2. 중심지 효과
3. 차이 효과
제4절 문학 확산과 지리환경
제5절 문학 수용의 지역 차이

제6장 문학경관
제1절 경관과 문화경관
제2절 문학경관의 정의, 유형 및 식별 기준
제3절 문학경관의 의의
제4절 문학경관의 가치

제7장 문학 영역
제1절 문학 영역의 정의와 특징
제2절 문학 영역의 유형
제3절 문학 영역의 구분 근거
1. 지리적 근거
2. 역사적 근거
3. 문학적 근거
제4절 중국 경내의 주요 문학 영역
1. 동북 문학 영역
2. 진롱 문학 영역
3. 삼진 문학 영역
4. 중원 문학 영역
5. 연조 문학 영역
6. 제노 문학 영역
7. 파촉 문학 영역
8. 형초 문학 영역
9. 오월 문학 영역
10. 민대 문학 영역
11. 영남 문학 영역

제8장 문학지리학 연구 방법
제1절 계지법
제2절 현지 연구법
제3절 공간 분석법
제4절 구역 분리법
제5절 구역 비교법
제6절 지리 의상 연구법

제9장 문학지리학 비평
제1절 문학지리학비평의 성질
1. 문학지리학비평의 성질
2. 두 가지 공간비평
제2절 문학지리학비평의 기본원칙
1. 텍스트 분석의 중시
2. 인간을 주체로
3. 시공간에 대한 중시
4. 환원의 한계
5. 환경의 간섭
제3절 문학지리학비평의 기본 순서
1. 텍스트에서 출발
2. 텍스트 탄생의 지리환경 고찰
3. 작가 개인 요소의 고찰
4. 텍스트 전파 효과 분석

부록: 문학지리학 연구사 검토
1. 중국 문학지리학 발전의 3단계
1) 단편적 언설 단계(B. C. 544~A. D. 1905)
2) 체계적 연구 단계(1905~2011)
3) 전공 건설 단계(2011~현재)
2. 외국 문학지리학의 주요 지역
1) 서유럽 지역(프랑스, 독일, 영국)
2) 북미 지역(미국, 캐나다)
3) 동아시아 지역(일본, 한국)
3. 문학지리학 전공이 중국에서 탄생한 원인
1) 중국문학지리학 연구의 특징
2) 중국문학지리학 연구의 단점
3) 문학지리학 전공이 중국에서 탄생한 원인

저자소개

증대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호북성 적벽 출신으로 중국 광주대학 교수이다. 중국 문학지리학회 회장·중국사학(詞學)연구회 상무이사·중국 문학지리학연구중심 주임을 맡고 있으며, 중국 중앙 CCTV 방송국 ‘백가강단(百家講壇)’에서 중화명루(中華名樓)에 대해 강연했다. 주로 중국 사학(詞學)·문학지리학·영남문화 등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을 발표하고, 『유영과 그의 사(柳永和他的詞)』, 『중국 역대 문학가의 지리 분포(中國歷代文學家之地理分布)』 등 학술 저서 20여 권을 출판했다.
펼치기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설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종가연구팀 연구원으로 있다. 논문으로는 <백하일기(白下日記)의 서술 방식(敍述方式)과 그 문학적(文學的) 성격(性格)>, <서천 조정규의 중국 체험의 시적 구현과 그 의의>, <대눌(大訥) 노상직(盧相稷)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 특징과 만주 인식>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안자(晏子)≫(바닷바람, 2019)가 있다.
펼치기
서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중국을 무엇이라고 말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크고 넓다는 것으로 정의해보고 싶다. 즉, 중국은 다양한 가치를 허용하는 문화적인 겸용성(compatibility)을 가지고 있어서, 고대와 근대의 가치가 뒤섞여 있고, 동서양을 아우르는 다양한 삶의 방식이 혼재해 있다. 이런 문화혼종성(Cultural Hybridity)이 강한 사회에서 살아야 했던 중국인은 이러한 세계를 해석하기 위해 변화와 불변의 가치에 대해 숙고하게 되었고, 나아가 개인의 행복과 삶의 의의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저자는 중국 고전문학 전공자로서 중국인들의 이러한 고민에 공감하고, 이들이 발견하고 창조한 가치들의 현재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자는 중국 문학과 선진 문헌에 대한 연구와 한국적 수용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또, 중국 영화를 통해 중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朝鲜道家隐者文学与《庄子》接受研究’,‘朝鮮書目書의 『莊子』書目 考察’, ‘〈齊物論〉에 대한 玄學과 宋學의 해석 비교’, ‘남명(南冥)의 『장자(莊子)』 수용 형태 고찰’, ‘동아시아 영화들에 구현된 폭력의 상징으로서의 기차와 그 극복’, ‘현대 한・중 리얼리즘 영화의 사회적 시선’이 있다.
펼치기
부량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하얼빈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길림외국어대학(吉林外國語大學) 한국어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한국어 인칭접미사 ‘-꾼’의 의미적 선호와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중국어 신어의 단어 형성과 사회·문화적 특징: 2017, 2018년 신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