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고전문학 강독

한국 고전문학 강독

정우락, 백운용, 조유영, 류명옥, 김종구, 이윤선, 서정현, 최은주, 최형우, 황명환, 전설련, 김소연, 신소윤, 김선영 (지은이), 한국문학사상연구실 (엮은이)
경북대학교출판부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고전문학 강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고전문학 강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1806340
· 쪽수 : 732쪽
· 출판일 : 2024-03-04

책 소개

이 책에서는 시간적으로는 고대, 중세, 근대로의 이행기로 나누고, 이를 다시 구비문학, 국문문학, 한문문학으로 갈래를 구분하여 100편의 작품을 선택하여 안배하고 해설했다.

목차

머리말
서론: 한국 고전문학의 위상과 특질

제1장 고대문학
1. 단군신화(檀君神話)
2. 구지가(龜旨歌)
3. 송당본향당본풀이

제2장 중세 전기 제1기 문학
4. 최치원의 한시
5. 발해 문인의 한시
6. 정읍사(井邑詞)
7. 제망매가(祭亡妹歌)
8.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
9. 김후직의 상진평왕서(上眞平王書)
10. 설총의 화왕계(花王戒)
11. 김현감호(金現感虎)

제3장 중세 전기 제2기 문학
12. 야래자 설화(夜來者說話)
13. 작제건 설화(作帝建說話)
14. 고려 전기의 한시
15. 정지상과 김부식의 한시
16. 도이장가(悼二將歌)와 정과정곡(鄭瓜亭曲)

제4장 중세 후기 제1기 문학
17. 오세재·이인로·진화의 한시
18.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
19. 최자의 삼도부(三都賦)
20. 이승휴의 제왕운기(帝王韻紀)
21. 안축의 관동와주(關東瓦注)
22. 정몽주의 한시
23. 한림별곡(翰林別曲)
24. 청산별곡(靑山別曲)
25. 이방원과 정몽주의 시조
26. 이규보의 논시중미지략언(論詩中微旨略言)
27. 임춘의 국순전(麴醇傳)
28. 최해의 예산은자전(猊山隱者傳)

제5장 중세 후기 제2기 문학
29. 서거정과 강희맹의 한시
30.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
31. 정여창·김굉필·조광조의 한시
32. 서경덕과 이언적의 한시
33. 조식의 민암부(民巖賦)
34. 정사룡·노수신·황정욱의 한시
35. 삼당시인의 한시
36. 정도전의 신도가(新都歌)
37. 정인지 외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38. 맹사성과 이현보의 시조
39.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40. 정철의 훈민가(訓民歌)
41. 송순의 면앙정가(俛仰亭歌)
42. 정철의 사미인곡(思美人曲)
43. 정도전의 불씨잡변(佛氏雜辨)
44. 길재의 후산가서(後山家序)
45. 성현의 악학궤범서(樂學軌範序)
46. 남효온의 육신전(六臣傳)
47. 김우옹의 천군전(天君傳)
48. 이이의 증최립지서(贈崔立之序)
49.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
50. 채수의 설공찬전(薛公瓚傳)

제6장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 문학
51. 권필의 한시
52. 이익의 해동악부(海東樂府)
53. 유득공의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54. 정약용의 한시
55. 조수삼의 추재기이(秋齋紀異)
56.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
57. 박인로의 오륜가(五倫歌)
58. 윤선도의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59. 사설시조 두 편
60. 박인로의 누항사(陋巷詞)
61. 허초희의 규원가(閨怨歌)
62. 김인겸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63. 해동만고가(海東萬古歌)
64. 이가환·김원성의 경세가(警世歌)
65. 정학유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66. 홍순학의 병인연행가(丙寅燕行歌)
67. 덴동어미화전가
68. 회심곡(回心曲)
69. 한문사대가의 한문 산문
70. 허균의 문설(文說)
71. 박두세의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
72. 홍대용의 대동풍요서(大東風謠序)
73. 박지원의 소단적치인(騷壇赤幟引)
74. 조위한의 최척전(崔陟傳)
75. 박지원의 허생전(許生傳)
76. 박씨전(朴氏傳)
77. 홍길동전(洪吉童傳)
78. 왕랑반혼전(王郞返魂傳)
79. 김만중의 구운몽(九雲夢)
80.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81. 유충렬전(劉忠烈傳)
82.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83. 배비장전(裵裨將傳)

제7장 근대로의 이행기 제2기 문학
84. 서사무가 바리공주
85. 세경본풀이
86. 진주낭군
87. 이사원네 맏딸애기
88. 경복궁타령(景福宮打令)
89. 유산가(遊山歌)
90. 아기장수 전설
91. 지하국대적퇴치 설화(地下國大賊退治說話)
92. 봉산탈춤
93. 박규수의 봉소여향(鳳韶餘響)
94. 황현의 논시잡절(論詩雜絶) 14수
95. 최제우의 용담유사(龍潭遺詞)
96. 김한홍의 해유가(海遊歌)
97. 이태일의 오도가(吾道歌)
98. 김대락의 분통가(憤痛歌)
99. 이건창의 답우인논작문서(答友人論作文書)
100. 안국선의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저자소개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백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해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경북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 강사다. 저서로는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예문서원, 2017),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 사업의 위상과 전망》(공저, 택민국학연구원, 2021), 역서로 《창선감의록》(박이정,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구 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퇴계학과 전통문화,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설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종가연구팀 연구원으로 있다. 논문으로는 <백하일기(白下日記)의 서술 방식(敍述方式)과 그 문학적(文學的) 성격(性格)>, <서천 조정규의 중국 체험의 시적 구현과 그 의의>, <대눌(大訥) 노상직(盧相稷)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 특징과 만주 인식>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안자(晏子)≫(바닷바람, 2019)가 있다.
펼치기
최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한 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고전문학을 전공하여 주로 문학작품이 생성된 공간과 그 공간에서 향유된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의 저서와 「慕堂 孫處訥의 시에 나타난 교유와 그 의미」, 「大菴 朴惺의 사물인식방법과 의식지향」, 「근대전환기 향촌 지식인의 문학적 교유와 그 의미」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조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글로벌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 교육연구단에서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를 넓혀 근대 전환기 시가 문학의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대구 공간과 문화어문학』(공저),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류명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글로벌한국학전공 강의초빙교수
펼치기
김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
펼치기
이윤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펼치기
서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경북대학교 교양교육센터 강사
펼치기
최형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펼치기
황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펼치기
김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펼치기
김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 수료 한국국학진흥원 학예연구사
펼치기
한국문학사상연구실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문학사상을 연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사상은 문학에 관한 사상, 문학에 나타난 사상, 문학에 작동하는 사상을 포괄한다. 문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문학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제일의第 一義로 삼는다. 이 연구실에서는 『심경』과 『삼 국유사』 등 동양고전을 두루 읽으며 한국문학 독해의 기반을 다지고, 여기서 더 나아가 문학 연구가 인문학에 기능하는 점을 심도 있게 다룬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