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가문화, 대중과 만나다

종가문화, 대중과 만나다

김미영, 문옥표, 백운용, 이배용, 이상균, 이영찬, 정우락, 주영하 (지은이),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민속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가문화, 대중과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가문화, 대중과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2852028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종가’는 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주목받으면서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핫플’이 되었다. 다만 오늘날의 종가문화는 고택과 음식을 중심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다. 종가문화는 단순히 외형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가문의 시조 이래 지금의 종손과 종부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이어져 온 문화적 전통이 있는데, 이를 가통이라고 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이배용 / 한국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치와 전망
1. 유네스코 세계 유형문화유산의 현황
2.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 유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3. 유네스코 세계 인류무형유산의 현황
4. 한국 종가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검토사항
5. 한국종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치

문옥표 / 세계 속의 한국 종가문화: ‘유산화遺産化’(heritagisation)의 딜레마와 과제
1. 한국의 종가와 종가문화의 독특성
2. 사회변화와 종가문화에 대한 인식
3. 종가, 종가문화의 보호와 문화유산화
4. 유산화遺産化(heritagisation)의 딜레마와 과제
5. 맺음말

이상균 / 종가문화의 보존과 발전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에서 한국 종가문화의 특수성
3. 종가 탄생의 문화적 맥락
4. 사례로 본 종가문화의 탄생과 확산
5. 종가문화의 보존과 발전방안

주영하 / 종가음식의 관광화와 상품화
1. 문제제기
2. 종가음식에 관한 학술적 관심
3. 종가 제례음식의 변화
4. 상품화와 관광화의 욕구와 대응
5. 대안은 무엇일까? : ‘실천 종가음식’과 ‘문헌 종가음식’의 서로 다른 길

김미영 / 종가제례의 전승과 변화의 딜레마
-불천위 제례를 중심으로-
1. 종가와 불천위 제례
2. 제례음식, 규범을 넘어 다양화와 웅장함으로
3. 전승력 확보를 위한 합리적 변화
4. 수행기반의 해체에 따른 전승 위기
5. 불천위 제례의 문화유산적 의미와 가치

정우락 / 종가, 공존과 상생을 위한 새로운 문화공동체
1. 두 힘의 길항과 융회
2. 위기의 한국 사회와 ‘종가’의 재발견
3. 종법제도와 종가의 탄생
4. 종가와 새로운 문화공동체
5. 세계유산으로서의 가능성 모색

백운용 / 종가의 문화적 가치와 미래
1. 종가의 문화적 가치
2. 종손의 역할, 그리고 종가의 미래

이영찬 / 현대사회에서 유교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성
1. 머리말
2. 성주 유교공동체의 실태와 활동
3. 성주지역 유교공동체의 활동
4. 유교공동체간 상호연결망
5. 결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유교공동체

저자소개

문옥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 인류학과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From Paddy Field to Ski Slope: The Revitalisation of Tradition in Japanese Village Life』,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공저), 『조선양반의 생활세계』(공저), 『교토 니시진오리의 문화사』 등이, 역서로 『문화의 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억력이 특출한 역사학자, 감동적인 문화해설가, 한국의 사찰과 서원을 유네스코(UNESCO)에 등재시킨 문화 대사, 여성계의 대표 리더, 저자에게 붙여진 수식어이다.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서강대학교에서 한국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장, (사)코피온 총재(해외봉사단체),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 단장을 역임했다. 현재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학학술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 광업침탈사 연구』(1989, 일조각),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2005, 어진이),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공저)』(1997, 이대출판부), 『브랜드 코리아(공저)』(2011, 나남출판), 『Women in Korean History』(2008, 이대출판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주영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음식을 문화와 인문학, 역사학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연구하는 음식인문학자. 한국 음식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 음식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세계사적 맥락을 살피는 연구를 하고 있다. 마산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공부했다. 1998년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민족학·사회학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민족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장서각 관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2008년 일본 가고시마대학교 심층문화학과, 2017~2018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아시아학과에서 방문교수로 지냈다. 《음식전쟁 문화전쟁》, 《차폰 잔폰 짬뽕》, 《음식 인문학》, 《식탁 위의 한국사》, 《장수한 영조의 식생활》, 《밥상을 차리다》, 《조선 지식인이 읽은 요리책》(공저),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조선의 미식가들》, 《백년식사》, 《음식을 공부합니다》,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등 다수의 책을 썼다. 《중국 음식 문화사》를 우리말로 옮겼고, ‘식탁 위의 글로벌 히스토리’ 시리즈(전 10권)와 《옥스퍼드 음식의 역사》를 감수하고 한국어판 특집글을 썼다.
펼치기
김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일본 도요대학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가례의 수용과 조선사대부의 집안 다스리기』, 『유교공동체와 의례문화』,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도학의 길을 걷다, 안동 유일재 김언기 종가』, 『학봉 김성일, 충군애민의 삶을 살다』, 『숭정처사의 삶을 살다, 봉화 팔오헌 김성구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영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프랑스의 프랑쉬-꽁떼(U. de Franche-comte) 대학에서 DEA 및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관심분야는 유교사회학이다. 저서로『유교사회학』(2001),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2008)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백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해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경북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 강사다. 저서로는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예문서원, 2017),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 사업의 위상과 전망》(공저, 택민국학연구원, 2021), 역서로 《창선감의록》(박이정,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구 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퇴계학과 전통문화,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연구진흥실장
펼치기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정보 더보기
한국국학진흥원은 ‘국학진흥을 통한 글로컬 시대의 인류문화 창달에 기여’라는 목표 아래 전통 기록유산을 중심으로 민간 소장 국학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 보존과 연구 활용 사업을 펼치고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 고문헌과 유교 책판 등의 기록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데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런 기록유산들 속에 알알이 박혀 있는 한국적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여 콘텐츠 제작 현장에 제공하는 일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을 통해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선현들의 지혜를 전승하고, 한문교육원과 유교문화박물관을 운영함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에도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