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71967010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00-07-05
목차
1권
- 이 책을 내면서
서장 관아의 구성
이야기 한 도막-관아터가 반가의 묫자리로
1) 관아의 입지 조건
2) 관아 안 각 건물들의 입지
3) 나무와 숲
4) 각 신분의 영역
1장 동헌 : 수령의 집무처
1. 동헌의 건축적 의미
1) 공간의 영역별 구획- 삼문의 역할
2) 건축 양식과 의장
3) 신분별 영역
4) 퇴와 뜰 - 사법 공간
5) 당호 이야기
2. 수령과 권한과 생활
1) 칠사와 수령의 의무
2) 수령의 권한
3) 고을살이
4) 사생활-기생의 수청은 합법이었나
5) 퇴임 후의 나날
6) 지방 관청의 재정
2장 객사 : 왕의 사당. 사신의 숙소
1. 객사와 길
1) 객사와 왕권
2) 사신이 오가던 길
2. 중세의 여행자들
1) 여행자들이 묵은 곳
2) 도로 사정
3) 일일 생활권과 식의 의미
3. 역제가 무너지다
1) 역마 이용자들
2) 역에 딸린 사람들
3) 역제와 역로의 붕괴
3장 향청 : 고을 양반들의 징세 기구
이야기 한 도막
1. 양반이 무엇이기에
1) 양반의 지위
2) 양반의 거주지와 집
3) 양반의 개념
2. 향청이 어떻게 관아 기구가 되었나
1) 향청의 유래
2) 양반과 노비
3) 향청의 권한과 운영
4) 양반 사회 붕괴에 대한 이설
4장 형옥 : 공권력 최후의 보루
1. 감옥. 공권력 최후의 보루
1) 원옥이라 불러 다오
2) 재판을 들여다본다
3) 형벌의 종류
4) 귀양살이
5) 흥부와 매품팔이는 실제였나
2. 인권. 사회 발전의 지표
1) 고전 속의 인권
2) 자연의 보복과 휼형론
3) 미란다여. 어서 오라
- 주
- 색인
2권
- 이 책을 내면서
5장 질청 : 아전들의 집무처
이야기 한 도막 -아전 노릇을 한 서울 유생
1. 질청과 아전의 역사
1) 질청 건축
2) 아전들이 남긴 전통
3) 아전의 역사
4) 육방 아전과 하례들
2. 아전의 생활과 문화
1) 거주지의 일과
3. 아전의 역사적 지위
1) 이두의 전승자
2) 탈춤의 주재자
3) 판소리의 후원자
4) 양반 신분을 향하여
6장 교방 : 기생들의 처소
1. 기생 습속
1) 관아에 구실 다니는 여자들
2) 기생의 일상
3) 교방
4) 여악과 수청
5) 구실에서 놓여나다
2. 성 풍속을 다시 본다
1) 기방 풍속
2) 사랑 -생과 사의 고리
7장 관노청 : 노비들의 장소
이야기 한 도막 -도방한 종을 찾습니다!
1. 관아 안 노비들의 장소
2. 역사로 보는 노비
1) 노비는 재산이다
2) 노비의 가격
3) 노비 부리는 풍속
4) 노비제 시비
5) 무너지는 노비제
3. 고전 속에 나오는 종들
8장 헐소와 뜰 : 양인들의 대기소
1. 역사의 주인, 양인
1) 양인이란 어떤 신분인가
2) 관아 안에서 양인의 자리
3) 양인의 일상
4) 세상은 무엇으로 바뀌나
2. 나라를 먹여 살리는 이들
1) 양인의 부담
2) 징세 방법과 세의 종류
3) 군역의 무게
4) 촌계와 자치
3. 백성이 진 부담을 환산한다
1) 베 한 필 짜는 데 얼마만큼의 공력이 들었나
2) 농민의 실제 부담은 얼마였나
9장 관아 밖 풍경 : 다시 보는 성황당
이야기 한 도막 -부사또, 내 사당을 되찾아 주오
1. 성황당을 다시 본다
1) 성황당은 관아 시설이다
2) 성황당은 서낭당이나 산신당과 어떤 관계가 있나
3) 산신을 삼킨 국가 권력
4) 사전 체계 속에 들다
2. 현지에서 다시 본다
1) 지역 영웅들이 성황신이 되다
2) 순창에서 -성황대신 사적기가 말하는 것
3) 곡성에서
4) 해평에서
5) 순흥에서
3. 성황제, 드디어 면 제사가 되다
1) 옛 사람들의 생활상과 초군청
2) 풀굿과 산신제
0장 나는 무엇을 말하려 했는가?
-주 / 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