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재 윤두서,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공재 윤두서,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박은순 (지은이)
돌베개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재 윤두서,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재 윤두서,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8897199374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0-01-20

책 소개

〈자화상〉으로 유명한 조선시대 선비화가 공재 윤두서의 작품과 인물을 살펴보는 책. 윤두서의 일생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삶의 내력에 따라 형성된 그의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저자는 윤두서가 직접 필사하여 남긴 <기졸> 記拙 및 여러 유고와 고화첩, 그리고 윤두서와 관련된 사건과 일화를 수록한 문서 및 사료 등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그의 삶을 생생하게 복원해냈다.

목차

제1장 유복한 남인 집안의 종손
들어가는 말 / 윤두서의 〈자화상〉 / 유복한 가문의 축복받은 종손 / * 해남 윤씨 종가 / 해남 윤씨 가풍의 형성과 전수 / 한양에서 보낸 꿈 많은 청년기 / 윤두서의 교유와 인척 / 당쟁의 심화와 생부 윤이후의 은둔 / 윤두서의 문집 『기졸』記拙과 그의 내면세계 / 여행과 풍류 / * 윤두서와 진경산수화 / * 서화의 수장과 품평

제2장 학문과 사상을 통한 개혁의 모색
수신제가修身齊家 절차탁마切磋琢磨 / 가업의 경영과 처사處士로서의 삶 / * 윤두서의 노비관과 실학사상 / 근기 남인을 대표한 경화사족들의 모임과 학풍 / 고학古學·고화古畵·화보畵譜 / 예학禮學·박학博學·서학西學 / * 〈동국여지지도〉와 〈일본여도〉

제3장 윤두서 예술의 성취와 특징
새로운 회화의 모색: 상고尙古와 혁신革新 / * 『고씨화보』와 『당시화보』 / * 시서화 삼절三絶과 시의도詩意圖 / 계지술사繼志述事와 자식의 훈도 / * 『가세유사』家世遺事와 《영모첩》永慕帖 / 학예일치學藝一致의 경지 / * 《가전유묵》家傳遺墨 / 조선 후기 선비 그림의 종장宗匠

제4장 삶에 대한 기록과 정리
전원에서의 실천적 삶과 『기졸』 / 현실주의, 실득實得 및 사생, 그리고 풍속화 / 세상사에 대한 관조와 남종화 / * 윤두서와 전각 / 우국충정憂國衷情과 갑작스런 죽음 / 윤두서에 대한 평가와 후대에 미친 영향 / 나가는 말

부록
윤두서 가계도 / 윤두서 연보 / 『기졸』에 실린 시문의 연대별 목록 / 윤두서 작품 목록 / 도판 목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은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전공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박물관장과 차미리사교양대학장 역임.   미국 스토니부룩 소재 뉴욕 주립대학교 강사 및 연구원, 일본 동경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외국인연구원, 세조(成城)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 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평의회 이사,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동산분과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인천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교육과학부 인문사회학술 정책위원회 위원, 서울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 국립여성사박물관 자문위원, 인천 아트플랫폼 운영위원회 위원,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운영위원회 위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위원, 국토정보지리원 지도박물관 유물구입자문위원회 위원, 국회도서관 유물구입 평가위원 등.   저서로는 『金剛山圖 연구』, 『조선후기 선비그림의 선구자 공재 윤두서』, 『조선후기의 선비그림 儒畵』,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 그림』, 『정선: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금강산 일만 이천봉』 등이 있고, 공저로는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한국지도학발달사』, 『왜관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표암 강세황: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외 다수 있음.
펼치기

책속에서

〈자화상〉
이 작품에서 윤두서는 한 올 한 올 생생하게 묘사된 풍성한 수염과 살짝 올라간 눈매에 약간 살집이 있고 다소 불그레한 혈기를 보이는 얼굴로 마치 씩씩한 장수처럼 보인다. 자신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금기시하던 조선시대에 자신의 모습을 정면상으로 그린 점에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며, 서양화법에서 유래된 음영법을 구사한 최초의 영정이라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경답목우도〉耕畓牧牛圖
윤두서는 풍류적인 산수유를 즐긴 뒤 이를 담아내는 방식의 진경산수화를 그리지 않았다. 대신 이 작품과 같이 풍속화의 배경으로서 실경을 활용하는 방식을 선호했는데, 산수화에 목가적인 전원 풍경과 농경 장면을 재현한 풍속화로서의 성격을 부각시켰다. 농부와 목동, 풀을 뜯는 소를 사실적으로 묘사했고, 정교한 필묘와 다양한 먹색이 조화를 이룬 작품이다.


〈채과도〉菜果圖와 〈석류매지도〉石榴梅枝圖
여러 과일을 그릇 안에 담아 놓고 그린 이 작품들은 서양화에서 유래된 회화의 개념과 기법을 일찍이 도입한 사례에 해당한다. 정교한 필묘를 구사하는 한편 그릇의 요철감을 강조하기 위해 음영법을 사용하여 사실감을 높였다. 이처럼 윤두서가 진취적으로 수용한 서양화의 개념과 기법은 이후 조선 후기 화단의 주요한 경향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