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199517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2-1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 조선왕조의 기본성격
머리말
1 우리 역사를 보는 눈
2. 조선시대 이해의 걸림돌 식민사관의 극복
3. 조선왕조의 시기구분
맺음말
2장 | 조선시대 선비의 삶과 선비정신
머리말
1. 선비의 수기(修己): 무엇을 공부했나?
2. 선비의 치인(治人): 어떻게 활동했나?
3. 선비의 가치지향: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와 안으로 갖는 마음가짐
4. 선비의 멋: 어떻게 놀았나?
5. 선비의 좌절과 종결: 고난의 시기에 어떻게 대처했나? 선비의 마지막은?
6. 선비정신의 관료 청백리: 바람직한 관리의 역할모델은?
7. 청백리의 예화: 세종 대의 황희·맹사성·유관
맺음말
3장 | 조선중화사상의 성립과 전개 과정
머리말
1. 시대배경
2. 대명의리론과 대청복수론
3. 조선중화주의와 대보단(大報壇)
4. 존주론의 정리와 대보단 향사(享祀) 인물
5. 존주론 → 존화론 → 위정론의 실제
6. 척사론의 역사적 전개 과정
맺음말
4장 | 조선왕조의 문예부흥: 정조와 규장각
머리말
1. 정조의 생애
2. 정조의 사상적 지향
3. 왕권강화를 위한 장치
4. 새로운 사회경제정책
5. 규장각
맺음말
5장 | 중인계층의 성장과 그 문화
1. 총론
2. 중인명칭의 유래
3. 중인계층의 구성과 신분상승운동
4. 위항문학운동의 정점 옥계시사
5. 중인계층의 저작활동
6. 중인계층의 근대적 역할
7.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