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문학 콘서트 3

인문학 콘서트 3

(인문학, 한국사를 탐색하다)

김용직, 박태균, 송호근, 이덕일, 이어령, 정병준, 정옥자, 허경진, 허동현, 이완범, 전우용, 전봉관 (지은이)
이숲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인문학 콘서트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문학 콘서트 3 (인문학, 한국사를 탐색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422814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1-01-25

책 소개

인문학 콘서트 시리즈 세 번째 책. 이어령, 이덕일, 정옥자, 송호근, 허동현, 전봉관, 전우용 등 한국학 분야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국사를 탐색한다. 부정을 긍정으로 변화시키는 한국인의 놀라운 힘은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발현했는지, 평가가 엇갈렸던 한국 근현대사의 진실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재미있고 유익한 담론들을 만날 수 있다.

목차

1부. 시대를 생각하다

<한국인의 시대정신> 이어령
사회현실의 언어, 인간본질의 언어 / 한국인의 역사는 불행한 역사인가 / 부정에서 긍정으로 / 창조적 비전 / 급변하는 현실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새로운 시대, 새로운 발전 전략 / 자존심을 긍정적으로 실현하라 / 배운 것을 지우고 네 생각으로 가슴을 채워라

<미래 한국 사회를 위하여> 송호근
한국인의 평등주의 심리 / 민주화와 평등주의 심성 / 좌·우를 넘어 실용주의 지도를 그리다 /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아우르다 / 386을 돌아보다 / 미래 한국 사회의 비전

<한국의 민족주의> 허동현
민족의 형성 / 한국 민족주의의 근원 / 민족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 탈민족주의 과제 / 제국시대, 리더십이 문제다 / 열린 민족주의를 말한다 / 민족주의는 진화해야 한다

2부. 우리 역사의 발자취를 더듬다

<선비의 나라, 한국> 정옥자
선비는 누구인가? / 이상적인 선비의 모습 / 사림(士林)과 붕당(朋黨) / 세도정치와 중인의 등장 / 이 시대의 사표(師表), 선비

<조선의 왕> 이덕일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태종과 세조는 왜 악역을 자처했나 / 연산군과 광해군은 왜 쫓겨났나 / 선조와 인조, 전란을 겪은 군주들 / 성종과 영조, 반만 성공한 군주들 / 우리는 어떤 리더를 원하는가

<한류의 기원, 조선통신사> 허경진
일본, 조선통신사를 요청하다 / 통신사의 임무 / 조선통신사의 구성 / 조선통신사가 일으킨 한류 열풍 / 중인계층의 부상 / 오늘날 되새겨보는 조선통신사의 의의

<한국의 골드러시> 전봉관
이념의 시대, 그리고 골드러시 / 황금광시대 도래의 배경 / 광업권 투기 열풍 / 지식인들의 골드러시 / 일제시대 금광왕들 / 황금광시대의 교훈

<한국의 수도, 서울을 탐색하다> 전우용
서울의 의미 / 서울 도읍의 이념적 배경 / 도시 서울의 모습 / 서울의 지정학적 특권 / 일제가 훼손한 조선의 궁

3부. 현대사의 길목에 서다

<한국 근대화의 유산> 이완범
광복인가, 해방인가 / 내재적 발전론 vs 식민지 근대화론 / 해방공간, 그리고 그 이후 / 한강의 기적 / 한국인의 발전 DNA / 다원주의 포용의 정치

<한국의 광복> 김용직
빼앗긴 들에 찾아온 봄, 광복 / 독립운동의 전개 / 독립운동의 세 갈래 / 친일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 광복, 미래의 과제

<한국전쟁> 박태균
한국전쟁의 기원 / 한국전쟁의 전개 / 정전협상과 포로송환 / 한국전쟁, 무엇을 남겼나 / 한국전쟁의 교훈

<한국 땅, 독도> 정병준
독도 문제의 재조명 / 독도 분쟁의 역사 / 독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태도 / 독도 문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저자소개

김용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3.1운동에 관한 역사사회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저로「Politics of Communications and the Colonial Public Sphere of Modern Korea in the 1920`s」,「Formation of a Modern State and National Social Movement in Modern Korea : March First Movement in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구미 사회운동의 특성:집합 행동론적 시각」,「J.-J. Rousseau의 애국주의 사상 연구」,「혁명과 독립 : 청년 이승만의 정치사상, 1894-1910」등이 있다.
펼치기
송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겸 석좌교수. 정치·경제·사회 현상, 정책에 대한 정교한 분석으로 정평이 난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서울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21세기 지성의 몰락》(2023),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2021), 《국민의 탄생》(2020), 《시민의 탄생》(2013), 《인민의 탄생》(2011) 등의 저서를 펴냈다.
펼치기
이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 식민주의 사관으로 훼손되어온 한국사의 원형을 꾸준히 복원해오고 있다.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1997)를 시작으로, 방대한 사료를 고증하고 세심하게 연구하여 첨예한 문제의식과 세밀한 문체로 대중과 소통해가며, 한국사의 주요 장면에 새로운 의미를 불어넣어 왔다. 강단의 권위에 기댄 주류 사학계의 낡은 역사 해석을 거부하며, 그간 외면받아온 진짜 우리의 역사를 대중 독자에게 소개해 많은 지지와 사랑을 받고 있다. 활발한 기고와 강연을 통해 대중을 역사 현장으로 이끄는 등, 우리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학자 중 한 명이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이덕일의 한국통사』 『조선 왕 독살 사건』 『조선왕조실록 1~5』(10권까지 근간)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조선 왕을 말하다』 『근대를 말하다』 『도둑맞은 한국사』 등을 펴냈다.
펼치기
이어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11월 13일(음력, 호적상 1934년 1월 15일)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능소凌宵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석좌교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 여러 신문의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으로 편집을 이끌었다.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주관했으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생명이 자본이다』 『젊음의 탄생』 등이 있고,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사자와의 경주」 등을 집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2022년 2월 26일 별세했다.
펼치기
정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전쟁』,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독도학술상(2010), 제36회 월봉저작상(2011),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옥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춘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규장각 관장을 역임하였다. 정년퇴직 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이다. 문화재위원·유네스코 문화분과위원회위원·서울시 지명위원·서울시 기념물분과위원장·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위원장·국민권익위원회 권익구제분과위원장 등 많은 사회봉사활동을 하였다. 2004년 비추미여성대상 별리상(교육·연구개발 부문), 2007년 국무총리 공로상, 2010년 민세상(학술부문), 2012년 황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 『조선 후기 문화운동사』, 『조선 후기 지성사』, 『조선 후기 문학사상사』, 『조선 후기 역사의 이해』,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조선 후기 조선 중화사상 연구』,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조선 후기 중인 문화 연구』,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 조선사에서 법고창신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펼치기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허균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서로 『허균평전』,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 『허난설헌 강의』 등이, 역서로는 ‘한국의 한시’ 총서 40여 권 외에 『삼국유사』, 『서유견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허동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원장 저서 『일본이 진실로 강하더냐』(당대, 1999) 『건국·외교·민주의 선구자 장면』(분도출판사, 1999) 『근대 한·일관계사연구』(국학자료원, 2000) 공저 『우리역사 최전선』(푸른역사, 2003)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푸른역사, 2005) 『길들이기와 편가르기를 넘어』(푸른역사, 2009) 『인문학 콘서트 3』(이숲, 2011)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역서 『유길준 논소선』(일조각, 1987) 편저 『조사시찰단 관계자료집』(국학자료원, 2000) 『장면, 시대를 기록하다』(샘터, 2014)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 1(1948-1949)』(경인문화사, 2016)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 2(1949-1951)』(경인문화사, 2019)
펼치기
이완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정치외교학 전공. 광복 이후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성공이나 실패로 보는 양극단의 시각을 지양하며 ‘성찰적 자부 사관’의 관점을 표방해온 저자는 100여 편이 넘는 논저를 저술하였으며, 대표 논저로는『카터시대의 남북한』(2017), 『한반도 분할의 역사』(2013), 『38선 획정의 진실』(2001), 『한국전쟁: 국제전적 조망』(2000), 『박정희와 한강의 기적: 1차 5개년계획과 무역입국』(2006), 『한국 해방 3년사: 1945~1948』(2007), 『해방전후사의 인식』 3·4·6(공저, 1987~1989) 등이 있다.
펼치기
전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거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역사에서 배우려는 의지가 있어야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더 나은 미래로 갈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역사학자. 현시대의 문제 또는 방향에 대해 올바르게 볼 수 있게 해주는 글을 SNS에 꾸준하게 쓰고 있다. 그 글 중 상당수가 주요 인터넷 커뮤니티에 어록으로 인용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상임연구위원, 서울대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교수,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 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객원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 《잡동산이 현대사》(전 3권), 《역사가 되는 오늘》, 《민족의 영웅 안중근》, 《망월폐견》, 《내 안의 역사》, 《140자로 시대를 쓰다》, 《우리 역사는 깊다》, 《오늘 역사가 말하다》 등이 있다.
펼치기
전봉관 (엮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문학 연구를 확장해 근대 한국의 살인 사건, 스캔들, 투기, 사기·협잡, 자살 사건, 가정 문제, 애정 문제 등 한국 근대 문화의 속살을 다층적으로 파헤쳤다. 최근에는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설립을 주도하고, 데이터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930년대 한국의 골드러시를 다룬 《황금광시대》, 근대 한국을 뒤흔든 살인 사건과 스캔들을 다룬 《경성기담》, 근대 한국을 들썩인 투기 열풍과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다룬 《럭키경성》, 근대 한국을 울린 충격적인 자살 사건을 다룬 《경성자살클럽》, 독자 문답란에 나타난 근대 한국인의 사생활을 다룬 《경성 고민상담소》를 펴냈다. 2023년부터 《조선일보》에 ‘전봉관의 해방 거리를 걷다’를 연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긍정의 세력과 부정의 세력 사이의 조화. 민주화하려는 세력과 산업화하자는 세력 간의 어울림. 비빔밥과 같은 이 조화의 세력이 있느냐 없느냐, 양극화로 치닫느냐 중간에 충분한 회색 공간이 존재하느냐로 우리 민족의 운명은 결정될 겁니다. 그래서 저는 기회주의 영역이 아닌 그 회색 공간을 확보하고 또 양극화하지 말자고 하는 겁니다. 영어로 된 표현으로 양극 사이의 중간을 뜻하는 between과 그것을 넘어서는 beyond, 곧 between and beyond만이 살 길이고, 이것만이 희망이라고 생각합니다.
_ 이어령, <한국인의 시대정신>, 본문 33쪽


우리가 비록 경제발전을 이루었다고 하고, 국민소득 3만 불, 4만 불 시대를 운운하면서 그것이 모든 국민이 잘 사는 길이라고들 하는데, 물질적인 풍요는 잘 사는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람답게 사는 세상, 진정으로 잘 사는 세상을 구현하려면 이런 선비정신의 한 조각이라도 음미하고, 품격 있는 인간이 되어서 우리 사회 전체의 격이 높아져야만 선진국으로 자부할 수 있는 나라가 된다고 믿고, 또 그렇게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정옥자, <선비의 나라, 한국>, 본문 154쪽


저는 조선의 왕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사실은 지금 우리가 어떤 리더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를 살펴본 겁니다. 그 선택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지고, 현재 리더의 역할을 하는 분들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우리 사회의 미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합니다. 많은 이의 운명을 두 어깨에 걸머지고 있는 리더에게는 여러 가지 자질이 요구됩니다. 무엇보다도 리더는 공사(公私)를 명확히 구분할 줄 알아야겠죠. 그리고 국제정치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보는 통찰력이 있어야 하고, 대립하는 세력들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능력이 있어야 할 겁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서 위기를 일으킨 잘못된 사회적, 정치적 제도를 과감히 혁파하고 개선할 결단력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이러한 요구들을 조선 왕들의 통치 사례에서 찾아봤던 겁니다.
- 이덕일, <조선의 왕>, 본문 85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