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근대영화사

한국근대영화사

(1892년에서 1945년까지)

이효인, 정종화, 한상언 (지은이)
돌베개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근대영화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근대영화사 (1892년에서 1945년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8897199922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9-01-04

책 소개

활동사진이 유입되고 1892년 인천에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 인부좌(仁富座)가 설립된 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는 1945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영화의 주요 장면과 사건, 인물, 영화운동, 영화이론, 작품, 관련 기록을 포괄적.종합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1부 1892-1925
영화 유입과 영화산업의 형성 (한상언)


1 영화 유입과 극장 설립
- 극장과 흥행업의 탄생
- 활동사진 유입
- 언어와 문화 차로 이원화된 서울의 극장

2 영화산업의 형성
- 활동사진 상설관 등장
- 닛다 연예부와 하야카와 연예부
- 우미관과 단성사
- 활동사진시대의 꽃, 변사

3 연쇄극과 영화 제작의 시작
- 연쇄극 유입과 제작
- 일본인 상설관의 극영화 제작
- 조선총독부의 영화 활동
- 경성일보사의 영화 제작

4 극영화의 시대
- 극동영화구락부의 〈국경〉
- 동아문화협회와 단성사 촬영부
- 조선키네마주식회사
- 백남프로덕션과 계림영화협회
- 영화 검열

2부 1925-1935
영화, 영화인, 영화운동 (이효인)


1 1920년대 중반, 조선영화 장場의 각축
- 근대영화의 출발, 유랑하는 이경손 ? 변사 감독 김영환
- 근대영화사의 절반, 나운규
-〈아리랑〉, 통속성과 외래성 그리고 민족성
- 심훈과 ‘먼동이 틀 때’
- 대중문화 시장의 각축, 라디오 매체의 등장과 경성방송국
- 영화를 찬양하는 모임, 찬영회

2 조선영화의 새로운 시도
- 조선영화예술협회
- 신흥영화예술가동맹의 결성과 해체
- 근대영화의 시도, 카프KAPF영화
- 주인규 그룹과 적색노조영화
- 카프 검거사건

3 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장場의 변화
- 근대영화의 대중성, 최독견 ? 윤봉춘 ? 이규환 ? 안종화
- 경향영화에서 대중영화로

3부 1935-1945
발성영화시기에서 전시체제까지 (정종화)


1 발성영화라는 모색
- 토키의 시도(들)
- 경성촬영소의 협업協業 시스템
- 조선 영화인의 분투, 한양영화사
- 일본영화 촬영소 유학파
- 무성에서 발성까지, 조선영화의 스타일

2 조선영화 제작 지형의 변화
- ‘영화 통제’라는 역설적 기회
- 조선 영화계의 활기, ‘조영’과 ‘고영’
-〈나그네/다비지〉 그리고 일본영화와의 합작 경향
- 조선영화의 이출移出과 ‘내지’ 일본의 수용

3 조선영화의 전시체제
- 조선영화령과 영화신체제
- 1940년대 초반 경성 흥행계
- 조선영화와 내선일체內鮮一體
- 문화영화 : ‘조선문화영화협회’와 ‘조선영화계발협회’
- 최인규의 〈수업료〉와 〈집 없는 천사〉가 말해주는 것들

4 국책영화라는 장場
- 조선영화의 마지막 모색
- ‘조선영화’라는 특수성
- 식민지 영화 국책의 산실,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
- 임화의 ‘조선영화론’

* 미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 연구서 『한국영화역사강의 1』(이론과 실천, 1992), 『한국 근대영화의 기원』(박이정, 2017), 『한국 근대영화사』(공저, 돌베개, 2019), 『한국 뉴웨이브 영화』(박이정, 2020), 에세이 『한국 뉴웨이브 영화와 작은 역사』(한상언영화연구소, 2021), 소설 『멜랑콜리 연남동』(사간서원, 2020), 『선물 같은 진경』(BOOKK, 2024)을 출간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정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장으로 근무하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겸임교수로 영화사를 가르친다. 한국영화사와 한일 비교영화사가 주 연구 분야로, 2014~2016년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서 JSPS외국인특별연구원으로 공부했다. 주요 저서로 『韓国映画100年史―その誕生からグローバル展開まで』(明石書店, 2017), 『1990년대 한국영화』(공저, 앨피, 2022), 『1980년대 한국영화』(공저, 앨피, 2023)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Mode of Cinematic Plagiarism and Adaptation: How Ishizaka Yojiro’s Novels Launched Korean Youth Film」, 『Korea Journal』(vol. 57, no.3, 2017)와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vol.59, no.4,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한상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상언영화연구소 대표. 한양대학교에서 한국영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식민과 분단 문제이다. 현재 충남 천안에서 복합문화공간 ‘노마만리’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해방공간의 영화 영화인』(이론과실천, 2013), 『조선영화의 탄생』(박이정, 2018), 『영화운동의 최전선』(한상언영화연구소, 2022), 『스탈린거리의 평양책방』(한상언영화연구소,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