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시 쓰는 그날 그 거리

다시 쓰는 그날 그 거리

(사진기자 고명진의 포토에세이)

고명진 (지은이), 조천우, 최진
한국방송출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4,4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시 쓰는 그날 그 거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시 쓰는 그날 그 거리 (사진기자 고명진의 포토에세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사진/그림 에세이
· ISBN : 9788972002567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0-05-14

책 소개

1999년 AP통신사의 '금세기 100대 사진'으로로 선정된 '아! 나의 조국' 등 6월 항쟁을 중심으로 당시 대학가와 거리의 풍경, 시대의 얼굴들, 잊지 못할 사건과 사고를 생생히 담은 보도사진 94점을 에세이와 함께 실었다. 75년부터 사진기자로 현장을 지켜 온 저자는 6월 항쟁의 기억을 전하며, 사진기자들의 애환도 함께 들려준다.

목차

프롤로그 6

1부 진리의 상아탑에서

1980년대 대학교의 기록 12

1984. 4. 24. 서울대 14 /1985. 4. 15. 고려대 앞 16 /1985. 5. 18. 고려대 정문 18
1986. 4. 29. 성균관대 21 /1986. 5. 31. 이화여대 22 /1986. 5. 30. 감신대 24
1986. 10. 31. 건국대 28 /1987. 2. 6. 서울대 32 /1987. 5. 28. 서울대 34
1987. 6. 7. 고려대 정문 36 /1987.6.17. 연세대 정문 40 /1987. 7. 7. 연세대 44
1988. 2. 26. 서울대 48 /1988. 6. 9. 연세대 50 /1988. 11. 3. 서강대 앞 52
1988. 11. 3. 연세대 앞 54 /1989. 4. 30. 연세대 정문 56 /1989. 6. 10. 서강대 앞 58

사진과 나: 서울의 봄 62


2부 그 날, 그 거리

거리 시위에 대한 기록 68

1986.3.25. 창신동 전태일 기념관 70 /1986.4.11. 법원 72 /1984.5.18. 이문동 74
1986.4.18. 미아리 76 /1986.5.15. 안암동 78 /1986.5.18. 명동성당 80
1987.2.7. 명동성당 82 /1987.6.15. 명동성당 87 /1987.6.18. 명동성당 88 /
1987.6.20. 조계사 앞 90 /1987.6.27. 부산 91 /1987.5.18. 광주 원각사 92
1987.6.10. 미도파 앞 94 /1987.6.10. 시경 앞 102 /1987.6.10. 신세계 앞 103
1987.6.10. 서울역 104 /1987.6.10. 한국은행 앞 105 /1987.6.26. 부산 문현동 로터리 108
1987.6.29. 부산 114 /1987.7.7. 세브란스 병원 앞 117 /1987.7.9. 서울시청 앞, 이한열 장례식 118
1988.5.19. 명동성당 122 /1988.5.19. 광화문 127 /1988.5.30. 서울역 앞 128
1988.11.5 대학로 129

사진과 나: 현장 그리고 동료 130


3부 시대의 얼굴

1980년을 떠올리게 하는 사람들의 기록 138

1985.9.25. 법원 140 /1986.4.23. 성균관대 142 /1987.1.20. 서울대 144
1987.1.26. 서울대 150 /1987.6.10. 백병원 153 /1987.7.9. 서울대 154
1988.4.9. 명지빌딩 156 /1988.5.22. 서울 아카데미 하우스 158 /1988.10.30. 건국대 160
1988.11.2. 연세대 161 /1988.11.27. 설악산 백담사 162 /1989.6.10. 연세대 164

사진과 나: 내 기록의 시작 166

4부 진실을 알리다

현장 그리고 사진기자들에 대한 기록 174

1980.5.18. 광주 금남로 176 /1986.4.30. 중앙대 후문 180 /1986.5.20. 서울대 학생회관 182
1986.10.31. 건국대 185 /1987.6.9. 연세대 정문 186 /1987.6.10. 신세계 앞 190
1987.6. 한국은행 앞 198 /1989.4.30. 연세대 200 /1989.5. 연세대 정문 202
1988.6.10. 연세대 앞 206 /1988.11.3. 연세대 앞 209 /1991.5.18. 연세대 정문 210

사진과 나: 거리의 자유 215

5부 잊지 못할 순간

잊지 못할 사건, 잊지 못할 사진 220

1961.5.18. 시청 앞 222 /1968.1.21. 서울 홍제동 파출소 225 /1970.3.18. 서울 한강로 3가변 228
1970.5.10. 청평호 231 /1971.12.25. 서울 대연각 호텔 232 /1972.12.2. 시민회관 235
1974.8.15. 국립극장 815 기념식장 238 /1977.11.11. 이리역 부근 242
1979.11.7. 궁정동 만찬장 현장 244 /1979.12.15. 서울 육군본부 246 /1981.5.14. 경남 경산 248
1983.10.9. 미얀마 아웅산 국립묘지 250 /1985.9.21. 서울 워커힐 호텔 254
1988.10.17. 서울 연희동 256 /1990.12.28. 대청호반 258 /1991.6.3. 한국외국어대학 261
1993.5.7. 용인 자연농원 264 /1993.7.26. 전라남도 해남군 267 /1994.10.24. 충주호 270

에필로그 274

저자소개

고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진기자, 교수 뉴시스 편집상무 겸 사진영상국장 중앙대학교신문방송대학원 석사 2005 뉴시스 사진영상국 국장 1996~1998 한국일보 편집국 사진부 부장 1990~1996 한국일보 편집국 사진부 차장 1994~1995 한국사진기자회 회장 2002 스카이포커스 대표이사 2002 한국기자협회 올해 한국기자상 심사위원 1999 AP통신사 ‘금세기 100대 사진’ 선정 1999 한국일보 편집국 사진부 부장 1997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겸임교수 1997 한국포토저널리즘학회 초대 회장 1988 한국보도사진전 금상 1982 한국일보 편집국 사진부 기자 1979 경향신문 원색사진부 기자 1975 주간시민 사진부 기자
펼치기
조천우 ()    정보 더보기
1979년 출생. 부산대학교 철학과 졸업. 휴먼다큐를 하고 싶다는 욕심 하나로 2002년부터 지금까지 방송 구성작가로 살고 있다.
펼치기
최진 ()    정보 더보기
1977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학보사에서 글쓰기를 배웠다. KBS와 SBS 방송작가로 일하다 출판사에 뿌리를 내리고 글 쓰는 일과 책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외신기자들은 종군기자 수당을 받으며 취재를 할 정도였다. 땅에는 불타고 있는 경찰 장비들과 날카로운 돌멩이들이, 하늘에는 매캐한 최루탄 연기와 날아다니는 화염병들이 있었다. 허공에는 “독재타도”와 “양키 고 홈” 소리가 울려 퍼졌다. 미국의 식민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구호를 외치면서도 시위대들은 외신기자들에 대해선 호의적이었다. 국내 언론이 입을 다물고 있는 상황에서, 외신이 그나마 국내의 시위가 보도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기 때문일 것이다. 시위가 있을 때마다 수십 명의 외신기자들이 몰려들었다. 주로 AP, 로이터, AFP 등 전 세계에 사진과 뉴스를 공급하는 통신사 기자들이었고, 일본의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 미국의 뉴욕타임즈 등 각국의 주요 신문사와 언론사 기자들도 한국을 찾아왔다. 그들은 1980년 우리나라의 ‘현장’을 전쟁 상황으로 받아들였다.

최루탄이 날아다니고 화염병이 날아다니는 우리의 ‘현장’은, 극렬한 전쟁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한국에 취재를 오는 기자들에게는 종군 수당이 나왔다고 한다. 아랍이나 이라크 같은 전쟁이 일어나는 지역에 취재를 가는 기자들이 그러하듯이 통역지원, 차량지원, 정보수집비, 그리고 봉급의 배에 달하는 위험수당을 받았다.

말도 통하지 않는 이들과 우리는, 현장에서 친구가 되었다. 같이 최루탄 먼지를 털어내며 소공동 뒷골목에서 막걸리를 마시곤 했다. 김치를 집어먹으며 그들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민주주의는 총칼에 의해 지배되어선 안 된다. 더 이상 이 땅에서 최루탄과 화염병을 보지 않았으면 한다.” 이런 이야기를 나누면서 나는 내가 사진기자라는 것이 참으로 자랑스러웠다. 시대를 이야기할 수 있고 시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 눈물겹게 기뻤다.

물론, 이런 내 마음과 달리 몸은 항상 힘들다는 신호를 보내왔다.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르는 화염병에 헬멧을 쓰고, 눈과 코를 괴롭히는 최루탄 연기에 방독면을 착용하고, 시위하는 모습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사다리를 놓고 그 위로 올라갔다. 필름을 넣는 조끼, 여러 대의 카메라도 필수였다. 디지털 카메라가 없는 시절이니 무조건 필름은 많이 가지고 다녀야 하며, 언제 어떤 구도로 누구에게 무슨 상황이 생길지 모르니 종류가 다른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 역시 챙기고 다녀야 했다. 어딜 가든 목숨처럼 챙겨야 했던, 당시 사진기자들의 필수품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