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72187783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목차
서문
도론(導論) : 식민지시기 ~ 해방 직후 지역사회 리더십의 형성
1부 식민·해방·분단·전쟁과 목포 지역사회
제1장 식민지기 ‘이중도시’ 목포의 일본인과 조선인
1. 서론
2. 목포의 개항과 일본인의 이주
3. 일본인 중심의 목포 경제
4. 목포부회를 통해 본 지역유력자층
5. ‘이중도시’ 목포 - 남촌과 북촌의 양극화
6. 소결
제2장 식민지기 목포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서론
2. 목포의 민족운동
3. 목포의 사회운동
4. 소결
제3장 해방·분단·전쟁기 혼돈의 목포 지역사회
1. 서론
2. 해방 전후 목포의 정치사회적 동향
3. 분단과 전쟁기 혼돈의 목포 지역사회
4. 소결
2부 식민·해방·분단·전쟁과 나주 지역사회
제4장 나주 지역사회의 변동과 식민기지 영산포
1. 서론
2. 나주군의 생활권과 지역유력자층
3. 나주군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인 지주
4. 영산포 일본인 주도의 상공업
5. 소결
제5장 식민지기 나주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서론
2. 나주의 각종 민족·사회운동 단체와 활동
3. 나주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관련 사건
4. 나주 민족·사회운동의 주체
5. 소결
제6장 해방 전후 나주의 정치 사회적 혼란
1. 서론
2. 일제 말기 나주의 정세
3. 해방과 인민위원회
4. 1946년 11월 봉기
5. 1947년 이후 우익의 득세와 좌익의 저항
6. 소결
참고문헌
인명 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주제는 이와 같은 ‘혼돈의 시대’인 식민·분단·전쟁기 전남의 나주, 목포, 영광, 강진, 능주의 지역사회가 어떠한 변동을 보였는가, 특히 지역유력자 내지는 지도자는 어떻게 바뀌어 갔는가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문제를 일제하의 저항세력과 협력세력 간의 경쟁, 그리고 이에 대한 외세의 개입과 간섭에 초점을 맞추어 보려고 했고, 이를 정리한 것이 이 책의 맨 앞에 실린 ‘도론(導論)’이다. 물론 이 책은 지역유력자 내지 지도자들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쓴 것은 아니다. 식민지기의 이중도시, 일본인들의 지역사회 침투와 장악, 해방 직후 미군정의 지역사회 재편정책, 한국전쟁기 벌어진 학살사건들(특히 영광의 대학살), 전쟁 이후 지역사회의 재편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나름대로 정리를 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