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71611706
· 쪽수 : 796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편찬사
머리말
1. 조선총독부의 ‘지방제도’ 개편과 ‘지방자치 ’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이 책의 구성 및 자료
제1부 1910년대까지의 지방제도 개편과 운영
제1장 대한제국기와 통감부 시기의 지방제도 개편
1. 1895~1904년의 지방제도 개혁
2. 통감부의 지방제도 개편과 지방의재판권・경찰권・징세권 장악
제2장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지방제도 개편
1.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의 반포
2. 지방행정조사와 지방제도 개정의 준비
3. 1913~1914년 부・군・면의 폐합
4. 1914년 부제의 실시
5. 1917년 면제의 실시
제2부 1920년대의 지방제도 개편과 운영
제3장 1920년 제1차 지방제도 개정과 자문기구 도입
1. 1920년 지방제도 개정의 배경과 과정
2. 지방자문기구의 도입-도평의회, 부협의회, 면협의회를 중심으로-
3. 신 지방제도에 대한 동아일보의 비판
4. 1920년 개정 지방제도에 따른 자문기구의 선거와 임명
제4장 1920년대 도평의회의 구성과 운영
1. 도평의회원의 선출과 임명
2. 도평의회의 회의 운영
3. 도평의회 회의의 주요 쟁점
4. 도평의회와 평의회원을 둘러싼 3대 사건
5. 언론의 도평의회와 도평의회원에 대한 평가
제5장 1920년대 부협의회의 구성과 운영
1. 부협의회원의 선거
2. 부협의회의 운영과 주요 쟁점
제6장 1920년대 면협의회의 구성과 운영
1. 면협의회원의 선거와 임명과정
2. 면협의회의 운영과 주요 쟁점
제3부 1930년대 이후의 지방제도 개편과 운영
제7장 1930년 제2차 지방제도 개정과 의결기구 도입
1. 1930년 지방제도 개정의 배경
2. 제2차 지방제도 개정의 경과와 주요 내용
3. 부회・읍회의원, 면협의회원 선거에 관한 규정 및 선거취체규칙
4. 지방제도 개정에 대한 언론의 반응
제8장 1930년대 이후 부회・읍회・면협의회・도회 선거와 그 결과
1. 1931년의 부회・읍회・면협의회 총선거
2. 1935년의 부회・읍회・면협의회 총선거
3. 1939년의 부회・읍회・면협의회 총선거
4. 1943년의 부회・읍회・면협의회 추천제 선거
5. 1933・1937・1941년의 도회 선거
제9장 1930년대 이후 지방의회의 운영과 ‘식민지형 지방자치 ’
1. 부회의 운영과 주요 쟁점
2. 읍회와 면협의회의 운영과 쟁점
3. 도회의 운영과 주요 쟁점
4. 언론의 ‘식민지형 지방자치’ 비판
제10장 1930년대 조선과 대만에서의 지방제도 개정 비교
1. 1930년대 조선・대만의 지방제도 개정 과정
2. 1930년대 개정된 지방제도의 내용 비교
3. ‘식민지형 지방자치’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연표
법령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