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72883364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08-10-1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면서
제1장 언어와 인류
언어의 본질
언어는 어떻게 분화했는가
언어는 어떻게 통합되는가
경쟁하는 언어들
세계의 언어들
언어의 확산과 쇠퇴
제2장 언어와 변화
로마제국 : 라틴 어가 유럽을 정복하다
세계 제국 내에서의 다중 언어 병용
지역 언어는 어떻게 사멸했는가
그리스 어와 라틴 어가 거둔 승리
언어와 가정
제3장 언어와 공동체
다수와 소수의 태도
다중 언어 병용 :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것인가
이중 언어 병용 : 제한적인 경우
이중 언어 병용 : 얼마나 빨리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인가
다중 언어 병용 정책과 그 결과
제4장 언어와 국가
언어의 적들
현대의 언어 민족주의
언어 민족주의와 현실 세계
북아메리카의 언어들과 유럽 인의 정착
사고방식의 변화
제5장 세계적인 언어가 되는 법
국가의 교육과 국가의 발전
영어의 부상
영어로 집중되다
영어 혹은 영어들
제6장 우리가 언어를 잃는 순간
언어의 소실, 그리고 문화의 소실
언어의 소실에 대한 인간의 척도
언어들의 내세
흔적 없이 사라졌는가? 캘리포니아의 언어들
제7장 다양성의 상실
세계에 대해 말하다
언어와 사고
언어적 다양성의 필요성
언어의 소실, 이중 언어 병용의 소실
우리가 직면한 손실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로마제국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훨씬 작았던 중세 시대의 국가는 여러 개의 언어를 병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많은 중세 국가에서 일상어 혹은 일상어들은 교육이나 공식 문서에 사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중세 초기의 잉글랜드에서는 영어가 다수 언어이기는 했지만, 엘리트들이 말하고 썼던 노르만 프랑스 어가 공식 문서와 학술저작물에서 일상적으로 쓰였다. 일반적으로 중세 시대에는 국가가 단 하나의 언어만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존재하지 않았다.
몇 단락 앞에 나왔던 언어 민족주의를 구성하는 세 가지 전제들이 이념화하여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현대 역사에서다. 1539년의 프랑스 법령(아래를 보라)과 1683년에 한 독일 철학자가 말한 "역사는 언어와 국가가 함께 번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금언은 모두 초창기의 이정표가 되었다. 만약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면, 언어민족주의의 전환점이 된 것은 1750년에 "독일어는 군인들과 말에게나 어울린다"고 말한 볼테르의 통렬한 발언일 것이다. 사실 이런 날짜들 가운데에서 뭔가를 손꼽을 경우 프랑스혁명이 전환점이 되었다는 것이 가장 개연성이 클 것이다. 프랑스 인뿐만 아니라 독일인의 사고체계에 있어서도 말이다. 나폴레옹의 독일 점령은 분명 독일 내에 민족주의 사상을 고취시켰고, 피히테가 이전에 비해 더욱 완전하게 언어와 국가의 관계를 규정지은 것은 바로 이 시기였다. (240쪽, '제4장 언어와 국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