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러시아의 역사 - 상

러시아의 역사 - 상

(제8판)

니콜라스 V. 랴자놉스키, 마크 D. 스타인버그 (지은이), 조호연 (옮긴이)
까치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러시아의 역사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러시아의 역사 - 상 (제8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72915102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1963년에 첫 출간된 이래로 반세기 가까이 개정을 거듭해온 대표적인 러시아 역사 개설서 중의 하나. 미국의 많은 대학교에서 교재로 채택되고 있으며, 러시아 역사 분야에서 수십 년 동안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지켜왔다. 제7판부터는 새로운 저자가 저술에 참여했으며, 제8판은 최근의 역사에 대한 내용이 증보되고 새로운 이미지 자료가 삽입된, 1080페이지에 이르는 책이다.

목차

상권

제8판의 새로운 점
<러시아의 역사> 제8판 서문
<러시아의 역사> 제8판에 대한 한국어판 서문

제1부 서론
제1장 지리적 환경
제2장 러시아인들 이전의 러시아

제2부 키예프 루시
제3장 키예프국의 기원
제4장 키예프 루시 : 정치사적 개요
제5장 키예프 루시 : 경제, 사회, 제도
제6장 키예프 루시 : 종교와 문화

제3부 분령 시기의 러시아
제7장 분령 시기의 러시아 : 서론
제8장 몽골인들과 러시아
제9장 대노브고로드 공국
제10장 남서부와 북동부
제11장 모스크바의 대두
제12장 분령 시기의 러시아 : 경제, 사회, 제도
제13장 분령 시기의 러시아 : 종교와 문화
제14장 리투아니아-러시아국

제4부 모스크바 러시아
제15장 이반 뇌제(1533-1584)와 표도르(1584-1598)의 통치기
제16장 동란의 시대(1598-1613)
제17장 미하일(1613-1645), 알렉세이(1645-1676), 표도르(1676-1682)의 재위기
제18장 모스크바국 러시아 : 경제, 사회, 제도
제19장 모스크바국 러시아 : 종교와 문화

제5부 제정 러시아
제20장 표트르 대제의 통치기(1682-1725)
제21장 표트르 대제로부터 예카테리나 대제까지의 러시아 역사 : 예카테리나 1세(1725-1727), 표트르 2세(1727-1730), 안나(1730-1740), 이반 6세(1740-1741), 엘리자베타(1741-1762), 표트르 3세(1762)
제22장 예카테리나 대제(1762-1796), 파벨의 통치(1796-1801)
제23장 18세기 러시아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
제24장 18세기의 러시아 문화
제25장 알렉산드르 1세의 통치(1801-1825)
제26장 니콜라이 1세의 통치(1825-1855)
제27장 19세기 전반기 러시아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
제28장 19세기 전반기의 러시아 문화

통치자 계보도
찾아보기


하권

하권의 서론 : 역사적 배경

제29장 알렉산드르 2세의 통치(1855-1881)
제30장 알렉산드르 3세의 통치(1881-1894), 니콜라이 2세의 통치 초기(1894-1905)
제31장 니콜라이 2세의 통치 후기 : 1905년 혁명과 입헌체제 시기(1905-1917)
제32장 “대개혁”으로부터 1917년 혁명까지의 러시아 사회경제의 발전
제33장 “대개혁”으로부터 1917년 혁명까지의 러시아 문화
제34장 1917년의 두 혁명

제6부 소비에트 러시아
제35장 소비에트 러시아 : 서론
제36장 전시 공산주의(1917-1921), 신경제정책(1921-1928)
제37장 스탈린 시대
제38장 소비에트의 외교정책(1921-1941), 제2차 세계대전(1941-1945)
제39장 스탈린의 마지막 10년(1945-1953)
제40장 스탈린 이후의 소련(1953-1985)
제41장 소련의 사회와 문화
제42장 고르바초프 시기(1985-1991) 그리고 소련의 붕괴

제7부 러시아 연방
제43장 공산주의 이후의 정치와 경제 : 옐친, 푸틴과 그 이후
제44장 1991년 이후의 사회와 문화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니콜라스 V. 랴자놉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3년 중국의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1942년에 오레곤 대학교에서 역사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받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후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러시아 역사를 연구했으며, 1949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57년부터 1997년에 은퇴할 때까지 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 역사학과에서 교수로 활동했으며, 그 이후에는 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 그는 오랜 투병 생활 끝에 2011년 5월 14일에 87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저서로 <갈림길:러시아의 정부와 교양층, 1801-1855(A Parting of Ways: Government and the Educated Public in Russia, 1801-1855)>, <러시아 역사와 사상에 드러난 표트르 대제의 이미지(The Image of Peter the Great in Russian History and Thought)> 등이 있다.
펼치기
마크 D. 스타인버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캘리포니아에서 출생했다. 산타크루스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역사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1987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랴자놉스키 교수의 지도하에 러시아 역사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하다가 1996년부터 어배너-샴페인에 있는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혁명의 목소리, 1917년(Voices of Revolution, 1917)>, <프롤레타리아트의 상상력:러시아의 자아, 근대성, 그리고 신성한 것, 1910-1925 (Proletarian Imagination: Self, Modernity, and the Sacred in Russia, 1910-1925)> 등이 있다.
펼치기
조호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러시아국립사범대학교 러시아사학과에서 <1890년부터 1904년 7월까지 러시아에서의 자유주의 운동의 형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학문적 관심은 세계사 속에서 러시아 및 러시아 역사가 지닌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관념론의 문제들”의 출간과 그 의의>, <20세기 러시아사에서의 국민 통합과 민족주의>, <1905년부터 1917년까지의 러시아 자유주의 연구>, <유라시아주의 운동의 의미>, <러시아 사학사에서 키예프 루시의 사회경제적 성격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 <페테르부르크 역사학파의 성립과 발전>, <스탈린 시대의 역사학>, <전환기의 러시아와 역사학> 등 러시아 사상사, 러시아 사학사, 그리고 러시아 자유주의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논문들을 다수 발표한 바 있다. 또한 러시아의 기록관에서 연구한 경험을 통하여, <러시아 혁명 이후부터 1930년대까지의 소련의 기록 관리 제도> 등 소련과 러시아의 기록학 현황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리고 ≪러시아 신분사≫(한길사), ≪유럽 근현대지성사≫(현대지성사), ≪역사관의 유형들≫(IVP) 등 러시아사 및 유럽사와 관련된 몇 권의 책을 단독 혹은 공동으로 번역했다. 역자는 서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대학교, 한동대학교, 공군사관학교 등에서 역사학을 강의한 바 있으며, 현재는 경남대학교 역사학과 교수이자 경남대학교 박물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역자가 베르댜예프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학부 시절이었다. 특히 베르댜예프의 철학적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는 ≪거대한 그물≫을 읽고 그의 폭넓은 사유 세계에 커다란 감명을 받은 바 있다. 그 외에도 ≪러시아 지성사≫, ≪러시아 사상사≫, ≪인텔리겐치아와 혁명≫ 등에서 드러난 그의 사상의 면모는 러시아 대평원과도 같은 풍성한 생각거리를 안겨주었다. 1874년에 태어난 베르댜예프는 제정 러시아의 몰락과 소련의 탄생을 직접 목격했고, 러시아 혁명 이후 조국으로부터 추방당한 뒤에는 베를린과 파리 등 유럽 여러 곳을 전전하며 온갖 어려움을 당하며 살았던 인물이다. 그렇지만 그는 러시아 및 자신이 몸소 당한 격동과 혼란 상황을 ‘러시아의 이념’으로 사상적으로 체계화시키는 일에 성공했다. 베르댜예프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소개된 때는 1970년대라고 할 수 있는데, 역자가 특히 베르댜예프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는 온갖 굴곡과 역경을 경험하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와 러시아사 및 베르댜예프 자신의 생애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역자는 대학 시절에 베르댜예프를 접한 이후로 러시아 사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