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숲과 한국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화/예술
· ISBN : 9788973015139
· 쪽수 : 254쪽
· 출판일 : 1999-03-15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화/예술
· ISBN : 9788973015139
· 쪽수 : 254쪽
· 출판일 : 1999-03-15
책 소개
숲을 문화개념으로 접근, 숲 사랑을 가득 담은 책이다. 산림자원학과 교수인 저자는 숲이 문명을 잉태하고 문화를 꽃피우는 원동력이었다고 확신한다. 숲은 경제, 환경, 문화를 아우르는 귀중한 복합자원이다. 고구려 고분, 장욱진·박수근 화백의 나무그림, 농촌의 당산나무도 범상하게 보지 않는다. 모두 우리의 정서가 배어 있기 때
목차
1. 숲, 민족 정서의 근원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자작나무가 남긴 기마민족의 흔적 나무그림으로 살펴본 한민족의 수목관 노랫말에 나타난 한민족의 수목관 박수근 그림에 나타난 나무의 의미 2. 숲, 문명발달의 숨은 공로자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 삭지도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병주고 약주는 웇나무 양백지방의 소나무로 만든 일본 국보 제1호 미륵반가사유상 토종 소나무로 복원되는 조선의 정궁 경복궁 3. 숲, 문화적으로 지속가능한 환경 숲에 대한 문화적 인식 지속가능한 산림사회의 모델, 송계 문명 앞에는 숲이 있고 문명 뒤에는 사막이 남는다 생태맹 극복의 지름길, 숲을 찾자 숲은 자연과 인간의 화합공간 4. 숲, 국토의 얼굴 우리 숲의 본래 모습, 낙엽활엽수림 농경문화가 변모시킨 국토의 얼굴, 소나무숲 금표와 봉표로 지킨 조선의 산림 우리 숲은 한민족의 자존심 가꾸어야 할 재생가능한 자원, 숲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