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사회의 알고리즘 민주주의 시민 참여와 관여의 새로운 패러다임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사회의 알고리즘 민주주의 시민 참여와 관여의 새로운 패러다임

차재권 (지은이)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사회의 알고리즘 민주주의 시민 참여와 관여의 새로운 패러다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사회의 알고리즘 민주주의 시민 참여와 관여의 새로운 패러다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3166961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우리 세계의 변화를 미시적이고 거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학문적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도래할 세계와 지난간 미래의 쌍방향적 대화와 성찰을 통해 우리시대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예견하는 문제적 활동을 기획· 소개한다.

목차

발간사 13
책을 내며 16

제1장 들어가며 19

제2장 디지털 융합 기술의 진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29
1. 과학기술과 인류문명 29
2. 인터넷 기술의 진화와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33
3. 웹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미디어 39
4. 디지털 융합기술의 진화 72
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74
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구체적인 기술들 81

제3장 4차 산업혁명 시대 다중의 탄생과 사회 변화 103
1. 디지털 기술과 시민 103
2.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유비쿼터스 디지털 노마드 (Ubiquitous Digital Nomad)의 출현 108
3.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진화와 커뮤니케이션 패턴 변화 114
4. 4차 산업혁명과 다중과 다중운동의 등장 120
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다중의 사회운동: 다중운동 132

제4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1): 정치과정의 변화와 시민참여 137
1. 근대 산업사회의 대의제 정당민주주의의 정치과정 137
2.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정치과정에의 영향 156
3. 다중사회의 새로운 정치과정 166
4. 다중사회의 정치과정에서 시민참여의 특색 172
5. 다중사회의 새로운 정치과정을 보여주는 해외사례들 174
6. 다중사회 새로운 정치과정의 국내 사례 179

제5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2): 정책과정의 변화와 시민참여 183
1.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정책 요소 및 환경의 변화 183
2. 디지털 컨버전스의 기술진화와 정책 결정구조 188
3.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모형화의 문제 191
4. 융합 환경에서의 정책결정모형 도출 195
5. 디지털 기술의 진화와 정책과정에의 영향 203

제6장 다중사회의 새로운 사회변화(3): 사회운동의 변화와 시민참여 235
1. 근대 산업사회의 사회운동의 원리와 이론 235
2. 인터넷 기술의 진화와 사회운동의 변화 263

제7장 4차 알고리즘 민주주의와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283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사회변화 283
2. 다중사회의 등장 285
3. 알고리즘 민주주의 286
4. 알고리즘 민주주의의 명과 암 293
5. 알고리즘의 작동이 한국 민주주의 확장에 주는 시사점 306
6. 지방자치에의 함의 313
제8장 나오며 319

미주 329
참고문헌 366

저자소개

차재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미국 University of Kansas에서 ‘Government’s Credible Commitment in Korean Industrial Development: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Agriculture, Shipbuilding, Finance, Textiles’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아 현재 부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시민정책공방소장(2013~2016), 한국시민윤리학회회장(2014), 한국지방정치학회회장(2016~2019), 국회의장 자문위원(2017~2018)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장,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전공분야는 비교정치이며 (국제)정치경제, 지방정치, IT정치, 여성, 환경 등이 주요 관심분야이다. 대표논문으로는“Challenging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Evidence from South Korea”(The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 Research, 2019), “도시 선거구에서 대규모 인구변동과 투표행태 변화: 부산지역 6.13 지방선거에서 대단지 아파트 효과를 중심으로”(『정치·정보연구』, 2020), “지방정부신뢰의 주요 정부요인: 대전광역시 사례 연구”(『한국행정학보』, 2020) 등이 있으며, 촛불집회와 다중운동(한국학술정보, 2019),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치학자들의 관찰(푸른길, 2018), 지방정치의 이해(박영사, 2016), 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 2014), 지방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 2012) 등이 있다.(jkcha@pknu.ac.kr)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