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73654949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4-12-20
책 소개
목차
고구려! 동북아시아의 패자覇者인가, 요동 동쪽의 패자覇者인가
고구려 열풍 속으로
공업혁명 없는 자본주의는 없다
동북아시아에는 중국이 포함되지 않는다?
동북아시아Northeast Asia라는 개념의 탄생
고구려는 중국에 필적하는 강국이 아니었다
콤플렉스가 역사에 대한 美化를 낳는다
중국의 쇠퇴기는 고구려의 전성기
수 문제의 ‘무릎을 꿇어라’는 국서
고구려의 저항과 전쟁, 그리고 몰락
고구려는 수나라에 항복했다
<<삼국사기>>에 나타난 살수대첩의 진실
17년간에 걸친 ‘4차 전쟁’의 시작
제1차 전쟁 - 수나라의 위세에 눌린 고구려
제2차 전쟁 - 수나라와 대립하다
시대의 흐름을 읽은 지식인 장군 을지문덕
제3차 전쟁 - 고구려 군사적 역량의 한계
제4차 전쟁 - 고구려의 치욕스러운 항복 그리고 수의 몰락
김부식을 위한 변명
여수전쟁의 여파 - 동북아시아 최초의 이산가족 찾기?
고구려사 인식에서의 거품을 걷자
박제상이 왜나라에서 죽은 까닭은?
신라 왕자가 일본에 왜 볼모로 갔을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일본서기>>에 나타난 박제상
‘박제상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신라와 왜의 군사력 차이
왜나라에 32차례나 침공당한 신라
왜를 침공할 능력이 없는 신라
석굴암의 수학적 비례미, 과연 존재하나
석굴암은 정말 수학적 비례미에 따라 건축됐나
우리 지식인들의 근대성 콤플렉스
왜곡된 역사 해석으로 이어지는 근대성 콤플렉스
석굴암의 구조와 이 글의 방법론
요네다 미요지와 석굴암 수학적 비례미론의 형성
석굴암의 기존 실측 수치를 통한 반증
√라는 무리수의 개념이 통일신라시대에 존재했는가?
수학적 비례미론을 따른 이후의 이론들에 대한 검토와 비판
남천우 선생과 망각된 고도의 신라 과학
강우방 선생과 비례미의 모순
첨단을 동원한 석굴암 비례미에 대한 찬사
유홍준 선생과 석굴암 수학적 비례미론의 확대재생산
석굴암 수학적 비례미론의 또 다른 예찬자들
결론 - 석굴암 수학적 비례미론에 관한 재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무왕이, 죽어 당나라나 조국을 지키겠다고 유언했다는 '전설'의 실체는 무엇일까? 죽어서도 왜로부터 바다를 지키는 용이 되겠다는 문무왕의 전설에는 결국 박혁거세 이후 음울하게 이어진 왜에 대한 공포랄까, 두려움이 녹아든 것이 아니었을까? 그 '결정판'이 신라 관료 박제상과 미사흔의 이야기가 아닐까? -- 본문 112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