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중국 정착 과정에서의 슬픈 역사, 10주년 기념 수정 증보판)

곽승지 (지은이)
인간사랑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중국 정착 과정에서의 슬픈 역사, 10주년 기념 수정 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사
· ISBN : 9788974184360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조선족동포들은 중국 동북지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루 형언할 수 없는 시련과 고통을 겪으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인 소수민족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살아왔다. 조선족동포들은 그 신산의 세월을 거치면서 그들 나름의 정체성과 행동양식을 함양했다. 그것은 세월 속에서 익힌 삶의 방식이었다.

목차

수정 증보판 서문 / 11
책을 시작하며 / 15
프롤로그 / 24

제1부 해방 전후 중국 동북지역과 조선인 ・ 41

1장 해방 전후 중국 동북지역 정세 개관 43
1. 일본의 항복과 동북지역 세력 판도 43
2. 해방 직후 미국 및 소련의 동북지역 개입 47
3. 소련의 동북지역에 대한 관심과 이중적 태도 52
4. 중국공산당과 국민당정부 간 세력경쟁 57
5. 조선인 밀집지역으로서 연변의 정세 61
2장 해방 전후 중국 동북지역의 조선인 66
1. 해방 전 동북지역 조선인의 삶 66
2. 해방 후 조선인의 한반도로의 귀환 71
3. 해방 후 조선인의 동북지역 정착 76
4. 해방 후 동북지역 조선인의 정치사회적 위상 80
5. 해방 후 동북지역 조선인사회의 생활상 83
3장 중국공산당과 동북지역 조선인 간 상호관계 88
1. 중국공산당–조선인 관계의 기원 88
2. 중국공산당의 동북지역 통치 구조 91
3. 중국공산당 내 조선인의 위상과 역할 95
4. 해방 후 중국공산당의 조선인 정책 98
5. 해방 후 중국공산당의 연변지역에서의 활동 103
4장 해방 후 동북지역 조선인의 정세관 107
1. 해방 후 동북지역 및 한반도 역내 질서와 조선인 107
2. 해방 후 동북지역 내 조선인의 이념적 지형 113
3. 조선인의 중국공산당 및 국민당정부에 대한 인식 118
4. 조선인의 동북아시아 정세에 대한 인식 121
5. 조선인의 남북한 및 한반도통일에 대한 인식 124

제2부 해방 후 동북아시아에서의 질서재편과 조선인 ・ 131

1장 동북아시아 질서재편 과정과 조선인 133
1. 동북아시아 질서재편 과정에 대한 이해 (1) 133
2. 동북아시아 질서재편 과정에 대한 이해 (2) 138
3. 질서재편 과정에서 조선인의 위상과 역할 142
4. 질서재편 과정에서 동북지역 내 조선인 무장력 147
5. 질서재편 과정에서 조선인의 참여 및 희생 153
2장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과정과 조선인 157
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과정에 대한 이해 157
2. 중국공산당의 동북근거지론과 조선인 161
3. 중국공산당의 토지개혁과 조선인의 참군 참전 운동 164
4. 국공내전에서 조선인의 역할 169
5. 국공내전에서 북한의 역할 171
3장 조선인민공화국 수립과 동북지역 조선인 178
1. 해방공간 북한–동북지역 조선인 관계에 대한 이해 178
2. 중국공산당의 북한–동북지역 조선인 관계에 대한 시각 182
3. 동북지역 조선인의 북한정권 수립을 보는 시각 184
4. 북한의 동북지역 및 역내 조선인사회에 대한 관심 188
5. 북한과 동북지역 조선인사회 간 인적 네트워크 192
4장 6・25전쟁과 동북지역 조선인 195
1. 동북아시아 질서재편 과정에서 본 6・25전쟁 195
2. 동북지역 조선인의 6・25전쟁에 대한 인식 199
3. 동북지역 조선인의 6・25전쟁 참여 및 역할 202
4. 조선인의 6・25전쟁 참여 성격 206

제3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조선족으로서의 삶 ・ 211

1장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조선족의 위상 변화 213
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대한 조선족의 입장 213
2. 조선인에서 조선족으로 216
3. 이중국적에서 중국 단일국적으로 219
4. 소작농에서 토지를 소유한 노동계급으로 222
5. 다중 조국관에서 중국 지향의 단일 조국관으로 225
2장 중화인민공화국 소수민족정책과 조선족 229
1. 중국공산당의 소수민족에 대한 입장과 조선족 229
2.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정책과 조선족 232
3.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 식별 과정과 조선족 235
4. 중화인민공화국의 조선족 민족구역자치제 실시 238
3장 중국내 정치투쟁과 조선족의 수난 243
1. 중국에서의 정치투쟁에 대한 이해 243
2. 반우파투쟁과 민족 정풍운동, 그리고 조선족 248
3. 인민공사와 대약진운동, 그리고 조선족사회 253
4. 문화대혁명과 조선족사회 (1) 258
5. 문화대혁명과 조선족사회 (2) 261
4장 북한- 중국 관계의 부침과 조선족 265
1. 북한–중국 관계의 부침에 대한 이해 265
2. 북한–조선족 관계에 대한 이해 269
3. 북한의 조선족동포들에 대한 포용 272
4. 조선족사회의 북한–중국 관계의 부침을 보는 입장 276

제4부 한중수교와 조선족사회의 변화 ・ 281

제1장 한중수교 전 중국 및 조선족사회 283
1. 한중수교 전 중국사회 이해 283
2.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추진과정 287
3.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조선족사회에 미친 영향 291
4. 한중수교 전 한국과 중국과의 관계 294
5. 한중수교 전 한국사회와 조선족사회의 만남 299
제2장 한중수교와 한국사회-조선족사회 간 관계맺기 303
1. 한중수교 추진과정에 대한 이해 303
2. 한중수교가 갖는 역사적 의미 307
3. 한국사회와 조선족사회 간 공식적 관계맺기 과정 311
4. 한국내 조선족 집거지 형성과 체류 형태 변화 315
5. 조선족동포들의 한국 정착 과정에 대한 이해 320
제3장 한국의 조선족정책과 조선족사회 325
1. 한국의 조선족정책 추진과정 이해 (1) 325
2. 한국의 조선족정책 추진과정 이해 (2) 330
3. 한국의 조선족정책이 조선족사회에 미친 영향 333
4. 한국내 조선족동포들의 인정투쟁과 정치활동 338
5. 한국사회의 조선족동포에 대한 인식 342
제4장 조선족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경향 346
1. 중국내 조선족사회의 변화 (1) 346
2. 중국내 조선족사회의 변화 (2) 350
3. 조선족사회의 세계로의 확산 354
4. 조선족동포들의 의식 변화 358
5. 조선족사회의 미래 361

에필로그 / 367
책을 마치며 / 377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인) 관련 주요 일지 / 380
참고문헌 / 385

저자소개

곽승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평창 봉평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중학교 과정을 마쳤다. 강릉고와 동국대(정외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에 관한 연구로 석사 및 박사 학위(정치학)를 취득했다. 1985년 내외통신에 입사, 북한 문제를 생업으로 다루었으며 국제부장을 역임했다. 1999년 1월 연합뉴스로 옮겨 영문북한팀장을 역임했다. 2014년 1월 연합뉴스를 명예퇴직하고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에서 2020년 말까지 재직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되는 것을 지켜보며 북한 및 남북 문제에 머물러있던 관심을 민족문제 전반으로 확장했다. 특히 조선족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가운데 한국사회와 조선족사회 간의 좋은 관계맺기를 위한 대안 마련에 주력했다. 이를 위해 2002년 8월 처음으로 8박 9일간 중국 연변과 동북 3성 지역을 답사했고, 2004년 한국기자협회의 기자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해 연길에 있는 연변과학기술대학에서 1년여간 생활했다. 그리고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여간 연변과학기술대학에 재직하며 연변과 중국 동북지역의 곳곳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는 조선족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북한사회의 이해』 『북한의 국가전략』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현대 북한연구의 쟁점 2』 『김정일의 북한, 어디로 가는가?』 『한중수교 30주년의 조선족』 (이상 공저) 『동북아시아시대의 연변과 조선족』 『중국 동북3성 조선족마을 현황 연구』 『중국 동북지역과 한민족』 (이상 단독) 등의 저서와 “한반도통일 논의를 위한 새로운 접근: 중국 동북지역과 조선족동포를 중심으로,” “한반도의 평화 통일과 재중 한인의 기여,” “중국 동북지역에서의 3.1운동 후속운동: 역사적 교훈과 과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