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7425610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5-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감수의 글
머리말
서문
1부 장 건강을 돕는 핵심 이론
1장 장에 더 많은 관심을 갖자
2장 장 독혈증과 자가중독
3장 흔히 볼 수 있는 장 질환들
4장 신경궁 반사
5장 장 관리를 위한 영양학
6장 장 관리를 위한 그 외의 비법들
2부 건강한 장을 위한 실천 방법
7장 7일 세척 프로그램
8장 7주 증강 및 교체 프로그램
후기
부록
용어 해설
리뷰
책속에서
장은 인체 내의 독성물질 대부분이 쌓여 있는 기관으로, 독성물질은 장벽을 통해 혈액이나 림프 속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그런 다음 온몸으로 퍼져 나가 각 세포조직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장을 깨끗하게 만들면 혈액도 깨끗해지고, 세포 조직도 더 깨끗해지며, 그 결과 세포 조직을 보다 쉽게 재건할 수 있다.
정지 상태에서 부패된 노폐물로 생겨나는 독성물질이 장을 자극하고 비정상적인 신경 자극이 신경 경로를 따라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반사작용을 일으키듯 어떤 증상을 일으킨다. 즉 장의 특정 부위와 다른 특정 장기 및 분비샘, 세포 조직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나의 더러운 장 게실과 엉덩이 또는 다리에 나타난 증상들 사이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아무리 이런저런 방법으로 엉덩이와 다리를 치료해봐야 문제의 근원이 해결될 리 없었다. 대장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내버려두었으니 증상들은 계속됐다. 신경궁 반사는 장이 왜 배설기관들의 왕인지를 보여주는 완벽한 예다.
변비와 탈장, 하지정맥류, 충수돌기염 등은 모두 현대식 변기의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대식 변기의 모든 병폐는 변을 보면서 취해야 하는 자세에서 비롯된다. 쪼그려 앉아 변을 보는 자세는 허벅지가 자연스럽게 복부 벽과 장을 떠받쳐주지만, 현대식 변기에 앉은 자세는 그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장 문제의 대부분은 대장의 두 부위, 즉 복부의 오른쪽 아래 부위에 있는 맹장과 왼쪽 아래 부위에 있는 S상결장에서 발생한다. 대장의 이 두 부위는 쪼그려 앉아 변을 볼 때 자연스럽게 허벅지와 맞닿은 부위다. 현대식 변기를 이용할 경우, 이 부위를 받쳐주지 못해 변이 정체된다. 장 정체 현상이 일어나면 배변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안으로 들어가는 독성물질이 늘어나게 되며, 신경궁 반사 작용에 따라 다른 장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