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455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4-02-10
책 소개
목차
제1장 | 서론: 하나님의 사랑 - 조직신학에서의 위치, 의미 그리고 역할 _7
케빈 J. 밴후저(트리니티복음주의신학대학원)
제2장 | 사랑의 개념: 신적인 그리고 인간적인 _49
개리 D. 배드콕(후론대학교)
제3장 | 하나님의 사랑에 관한 성경신학 _79
제프리 그로간(글라스고우성경학교)
제4장 | 어거스틴, 기독론 그리고 사랑으로서의 하나님: 요한일서에 관한 설교의 서론 _111
루이스 아이리스(에모리대학교)
제5장 | 하나님의 사랑의 본질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_149
트레버 하트(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제6장 | 사랑은 하나님의 본질인가? _181
앨런 J. 토랜스(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제7장 | 하나님의 사랑의 한 측면으로서의 하나님의 진노 _217
토니 레인(런던바이블대학교)
제8장 |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실 수 있는가? _259
폴 헬름(런던킹스대학교)
제9장 | 하나님의 사랑은 마침내 승리할 것인가? _291
데이빗 퍼거슨(에딘버러대학교)
제10장 | 하나님의 사랑:호세아 11장에 관한 설교 _315
로이 클레멘츠(전 에덴침례교회 목사)
미주 _342
책속에서
하나님은 “그보다 더 위대한 것이 없을 만큼 위대하고, 그보다 더 좋은 것이 있을 수도 없는”사랑으로 사랑하신다. - ‘제1장 서론: 하나님의 사랑 - 조직신학에서의 위치, 의미 그리고 역할’ 중에서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나는 하나님의 자기를 내어주시는 사랑 안에서 일으켜 세워지고, 의롭게 되고, 긍정하게 되는 것은 바로 우리이다. - ‘제2장 사랑의 개념: 신적인 그리고 인간적인’ 중에서 -
자기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아주 다양한 형태와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스라엘, 가난한 자, 압제당하는 자, 피조물 그리고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 ‘제3장 하나님의 사랑에 관한 성경신학’ 중에서 -
어거스틴에게는 하나님을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은 오직 사랑이신 분이 자신을 드러내셨다는 것과 그분이 우리가 그것을 통해 사랑 자체의 삼위일체적 삶에 참여하는 형태를 갖춘 사랑과 고백의 실천을 시작하셨다는 것을 깨닫는 느린 과정 안에서만 의미가 있는 활동이다.
- ‘제4장 어거스틴, 기독론 그리고 사랑으로서의 하나님: 요한일서에 관한 설교의 서론’ 중에서 -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은 그분의 존재 안에 있는 어떤 결핍이나 필요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그분 자신과 마주 보면서 그분과의 교제에 참여하는 자가 되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 ‘제5장 하나님의 사랑의 본질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중에서 -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가 초월적인 하나님의 존재를 구성하는 아가페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우리의 존재에 적합한 수단이 되신다. - ‘제6장 사랑은 하나님의 본질인가?’ 중에서 -
하나님의 사랑과 하나님의 진노는 궁극적으로 모순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둘 사이에는 긴장이 존재한다. - ‘제7장 하나님의 사랑의 한 측면으로서의 하나님의 진노’ 중에서 -
우리는 성경의 어느 특정한 본문에 대한 주석을 시작하기도 전에 하나님은 모든 남자와 여자들을 동등하게 사랑하신다고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은 모든 남자와 여자들을 동등하지 않게 사랑하신다는 결론을 내리게 할지도 모른다.
- ‘제8장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실 수 있는가?’ 중에서 -
하나님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 비전은 우리를 현재의 과업에서 빗나가게 하기 보다는 우리의 기운을 북돋우고 우리로 하여금 이후로도 하나님의 끊임없이 계속되는 사랑을 신뢰하게 한다. - 제9장 하나님의 사랑은 마침내 승리할 것인가?‘ 중에서 -
우리는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다. 왜냐하면 오직 그분만이 그분의 손에 상처를 갖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 상처는 그분이 우리를 사랑하셨고 그 사랑을 위해 고통을 당하셨기에 생긴 상처입니다. - ‘제10장 하나님의 사랑: 호세아 11장에 관한 설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