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74355142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9-05-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주요 원칙들
용어 해설 및 약어표
요한복음 이해를 위한 서론
1. 요한복음의 특징
2. 요한복음의 선지자 기독론
3. 요한복음의 시간
4. 요한복음의 절기
5. 요한복음의 믿음
6. 요한복음의 저자
7. 요한복음의 기록 시기
8. 요한복음의 기록 장소와 목적
9. 요한복음의 수신자
10. 요한복음의 종교적·문화적 배경
11. 요한복음의 문학 구조
I. 요한복음의 서론(1:1-51)
1. 복음서의 시작: 성육신하신 예수와 세례자 요한 및 예수의 제자들(1:1-51)
II. 갈릴리 가나의 두 표적과 예수를 만난 사람들(2:1-4:54)
2. 갈릴리 가나에서 일어난 첫 번째 표적(2:1-12)
3. 예수의 성전 사건과 사람들의 반응(2:13-25)
4. 예수와 니고데모(3:1-21)
5. 예수와 세례자 요한(3:22-36)
6. 예수와 사마리아 여성(4:1-42)
7. 예수의 선지자적 자의식(4:43-45)
8. 갈릴리 가나에서 일어난 두 번째 표적(4:46-54)
III. 유대인의 명절과 예수의 표적 사건(5:1-10:42)
9. 안식일에 일어난 첫 번째 표적(5:1-47)
10. 유월절 표적(6:1-71)
11. 초막절과 예수의 정체성(7:1-8:59)
*부록: 죄 지은 여인을 용서하신 예수(7:53-8:11)
12. 안식일에 일어난 두 번째 표적과 수전절의 예수(9:1-10:42)
IV. 병들어 죽은 나사로의 부활과 예수의 죽음 암시(11:1-12:50)
13. 병들어 죽은 나사로를 살려 내신 예수(11:1-44)
14. 예수와 산헤드린 공회(11:45-57)
15. 예수의 죽음 암시(12:1-50)
V. 예수의 최후 만찬과 고별 설교 및 기도(13:1-17:26)
16. 예수의 세족 행위와 최후 만찬(13:1-30)
17. 예수의 고별 설교(13:31-16:33)
18. 예수의 기도(17:1-26)
VI. 예수의 수난과 부활(18:1-20:31)
19. 예수의 수난과 십자가 죽음(18:1-19:42)
20. 예수의 부활과 복음서의 기록 목적(20:1-31)
VII. 부록: 부활하신 예수의 현현(21:1-25)
참고 문헌
저자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마리아 여성이 계속해서 예수의 말씀을 오해한다. 그래서 ‘주여 그런 물을 내게 주사 목마르지도 않고 또 여기 물 길으러 오지도 않게 하옵소서’라고 요청한다. 여자가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에 관심이 생겼다. 하지만 그 관심은 영적인 부분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삶의 필요 즉, ‘목마르지도 않고 물 길으러 오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물에 관심이 생겼지만 예수가 누구인지 아직 알지 못한다. 더욱이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 오늘날 예수를 알지 못한 채 현실적인 삶의 필요를 채우려고 예수를 믿는 그리스도인이 있다면 이 여성의 믿음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는 온전한 믿음이 아니다.
이 표적 사건이 안식일에 일어났고, 병자가 자리를 들고 걸어갔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이 사람에게 율법을 범하였다고 지적한다. 당시 규정에 의하면 안식일에는 물건을 나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노동하는 것을 금하였는데 이를 39가지로 구분하였다(참조. 렘 17:21-22 Mishnah, Sabbath 7:2). 유대인들이 불치의 병에서 치유되어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된 사람에게 기쁨과 축하의 인사를 건네지 않고 안식일 규정을 어긴 것에만 초점을 맞추어 이 사람을 정죄하고 있다. 이 과격한 반응을 오늘날에도 교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죽은 문자와 같은 율법과 명분을 하나님의 섭리와 사랑보다 앞세우고, 교회의 관행과 관습이 성경의 말씀과 믿음보다 더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예수께서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신 후 그들에게 절도며 강도라고 비판하신다. 종교 권력자들이 사명과 책임을 등한시하고 정욕과 욕심을 채우는 데만 급급하면 결국은 예수께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양들이 자기 목자를 따르는 이유는 목자가 푸른 초장으로 인도해 주고 정성껏 돌보며 생명을 다해 보호해 주기 때문이다. 오늘날 누가 선한 목자인지 점검해 보려면 그가 자기 양들을 얼마나 세밀하게 알고 있으며 얼마나 사랑하고 희생하는지를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