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일반
· ISBN : 9788974402679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5-10-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05
제1부 선교활동의 역사 19
1. 선교활동의 위기 23
위기의 뿌리 | 선교활동의 근거와 목적, 성격 | 앞으로 나가야 할 길
2. 선교활동의 역사 33
신대륙 발견의 시대 | 1801년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선교활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선교는 예수의 메시지 65
생활양식으로서의 선교활동 | 선포로서의 선교활동
제2부 칼과 펜 사이에서 75
1. 샴에서의 선교활동 : 정복 79
16세기의 샴 | 선교사, 과학자, 상인, 대사, 군인 | 복음 선포와 제국주의의 확장 | 강제적인 방식
2. 중국에서의 마테오리치 선교활동 : 순응 112
마테오리치 활동 당시 역사적 배경 | 중국 선교는 불가능한 꿈이었나? | 선교사 마테오리치 | 하느님의 진정한 의미, 『천주실의』
제3부 조선에서의 선교활동 : 자기비움 145
1. 그리스도교와 유교의 만남 150
일본의 침략 | 고려에서 조선으로 : 유교 철학으로의 변천 | 유교의 핵심 개념 : 현인 왕 | 구조적인 문제 | 개혁의 외침
2. 선교 사명의 실천 183
18세기 조선 | 지혜와 사회정의를 찾은 공동체 | 이성에서 신앙으로 | 개인적인 종교 만남에 기초한 선교활동 | 하느님은 선교활동의 주관자 | 신앙의 찬양과 고난 | 평신도에 의한 선교활동
3. 유학자와 크리스천의 대화 223
교리적인 문제 |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문제
4. 사회 변혁을 모색한 평신도 선교사들 255
근대사회의 형성 | 근대문화의 형성
5. 반대에서 박해로 : 순교 277
제1차 박해 | 제2차 박해 | 제3차 박해 : 1801년 신유박해 | 여러 박해사건의 동기 | 1801년 박해의 여파
6. 18세기 조선 평신도의 자기비움 305
제4부 어떻게 선교활동을 할 것인가 315
1. 더불어 사는 것 321
2. 예수의 정신 속에서 326
3. 변화를 가져오는 선교활동 331
주석 338
역자 후기 362
책속에서
과학과 기술의 진보는 믿음의 형태에 급격한 세속화를 가져왔고, 사람들은 하느님에 대한 신앙 없이도 살아갈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유럽은 그리스도교로부터 벗어난 대륙이 되어가는 것처럼 보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거리낌 없이 비난했다.
세상은 더 이상 그리스도교와 비非그리스도교로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며 서방과 동방으로 나누어지는 것도 아니었다. 해방신학의 출현을 통해 우리는 빈자와 부자 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그러한 격차는 소위 그리스도교 나라라는 곳에서 훨씬 두드러졌다. 제1세계(서구)에서 선교사를 ‘파견하는’ 교회의 연역적 신학 인식론처럼 보이는 방식뿐만 아니라 교회의 교회학적 질서에서의 권위에 대해서도 선교활동 교회들은 반대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평등을 요구하는 다른 종교와 종교 문화의 타당성 및 모든 종교는 기본적으로 선善하다는 다른 종교들의 주장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을 크리스천으로 개종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던 과거 가톨릭 교회 논리는 위협을 받았다. 결국 모든 사람은 자기 자신의 종교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사회적 발전과 사고방식의 변화는 그들의 신앙만이 유일한 비전이라는 크리스천들의 사고방식에 무엇인가 분명히 잘못된 점이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사고방식이 바뀌지는 않더라도 시급히 다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졌다.
제1부 선교활동의 역사
마테오리치는 난징에 거주하는 동안 불교계의 지도자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으며, 이들과 흥미로운 대화를 나눴다. 사람들은 누구의 주장이 보다 설득력이 있고 누구의 종교가 보다 진실해 보이는지 흥미롭게 지켜보았다. 그러나 마테오리치는 보다 많은 청중과 의견을 나누고 불교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전달하기 위해 ‘천주의 진정한 의미’라는 뜻의 『천주실의天主實義』라는 저서를 저술하기 위해 펜을 들었다. 마테오리치는 그의 저서에서 불교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왔으며, 부처의 많은 정경들은 환생이라는 그릇된 교리와 수많은 거짓을 담고 있다고 썼다. 마테오리치는 또한 당시 대중적이었던 도교의 다신숭배가 진리에 관한 기본정신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다.
유교의 사서오경四書五經을 공부한 후 마테오리치는 초기의 유교 이론이 로마 가톨릭에서 이해하는 ‘자연법’과 거의 맞아떨어진다고 확신하고, 이러한 유사성을 중국에서 그리스도교를 가르치는 기초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대다수 중국인 사이에 만연하던 불교의 영향을 억제하는 데 이용했다. 마테오리치는 원초적인 유교의 수행으로써 그리스도교를 도입했다. 그가 교제한 지성인들이 서양 과학에 관심을 갖으면서 중국인들은 예수회 선교사들을 과학 사도회로 여기게 되었다.
제2부 칼과 펜 사이에서
18세기 말 조선의 크리스천들이 실천한 선교활동 방식은 한국의 특별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하느님의 범재凡在를 존경심을 갖고 감사하게 인식한 데서 발로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참되게 조선의 크리스천들은 복종과 효로 전화한 일관된 생활방식을 통해 하느님의 구체적인 얼굴을 나타내고자 했으며, 하느님의 성령을 통해 한국인들 사이에 현존하는 하느님의 왕국을 만들기를 바랐다. 그들이 일관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현존을 한국인들에게 알리기로 결심했다는 것은 우선 그들이 성경에서 발견한 복음의 가치를 받아들였고, 이를 일상생활에 적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활방식은 외연적인 선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현존에 의한 선교활동’ 또는 ‘공존하는 선교활동’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래서 한국의 크리스천들은 일상생활에서 고난과 굴욕, 지독한 빈곤을 직시하고 보다 나은 사회에 대한 꿈과 열망을 가지게 되었으며, 연민의 정에서 그들은 사회를 개선하기 위해 새롭고 공산적 공동사회로의 길을 제시하고자 했다. 진정 한국의 지식인들은 닮고자 하는 모델로 예수를 택했다.
제3부 조선에서의 선교활동 : 자기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