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7453152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8-05-1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제1부 인간이란 무엇인가
제1장 인간의 자기 인식에 있어서의 위기
제2장 인간성에의 실마리
제3장 동물의 반동에서 인간의 반응에로
제4장 인간의 공간 및 시간의 세계
제5장 사실과 이상
제2부 인간과 문화
제6장 인간 문화에 의한 인간의 정의
제7장 신화와 종교
제8장 언 어
제9장 예 술
제10장 역 사
제11장 과 학
제12장 요약과 결론
색인(이름 찾기)
리뷰
책속에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적 신화 이론에서는 모든 신화적 창작이 하나의 동일한 심리학적 주제-성욕-의 여러 변화상이며 가장이라고 선언되었다. 우리는 여기서 이 모든 이론의 세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 아무리 그 내용이 서로 다르다고 할지라도 이 모든 이론은 우리에게 동일한 방법론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들은 우리로 하여금 지적 환원의 과정에 의하여 신화적 세계를 이해하게 할 것을 희망한다. 그러나 그것들 가운데 어느 하나도 그 이론을 하나의 동질적인 전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사실들을 누르고 확장해서 무리한 해석을 하지 않고서는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신화는 이론적 요소와 예술적 창작의 요소를 결합하고 있다. 첫째로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그것이 시와 흡사하다는 점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을 들어왔다. "고대 신화는, 거기에서 진화론자들의 이른바 분화와 특수화라는 과정에 의하여 현대시가 서서히 성장해 온 <무더기>이다.
신화 제작자의 정신은 원형이며, 시인의 정신은... 여전히 본질적으로 신화 창작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발생적 연결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신화와 예술 사이의 특수한 차이를 인지하지 않을 수 없다. (137~138쪽, '제7장 신화와 종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