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479322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6-08-12
책 소개
목차
서문 『깨달음과 역사』를 다시 펴내며
1장 사제(師弟)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
1월_ 대승과 소승
2월_ 무심시도(無心是道)
3월_ 확연무성(廓然無聖)
4월_ 윤회와 해탈
5월_ 색즉시공 공즉시색
6월_ 공(空)의 이중적 구조
7월_ 대도무문(大道無門)
8월_ 깨달음과 역사
9월_ 돈오점수설, 돈오돈수설에 대해
10월_ 마음·부처·중생
11월_ 보살만행(菩薩卍行)
12월_ 불국정토(佛國淨土)
2장 각(覺) - 깨달음
3장 깨달음을 위한 산책
4장 돈오점수, 돈오돈수설 비판
5장 역사에 다가가는 불교
불교와 사회
불교의 사회적 실천
민중불교운동의 대승적 전개를 위하여
6장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7장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반론에 대한 답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 수록된 내용들은 일관된 문제의식과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깨달음(Bodhi, 연기적 관점)’과 ‘역사(Sattva, 인생과 세상)’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역사를 연기적으로 파악하는 시각’을 말하며, 역사란 ‘깨달음의 시각으로 비춰보고 실현하는 현실적 삶’을 뜻한다.
이러한 까닭으로 나는 『깨달음과 역사』 초판본 <묶는 글>에서 “이 책은 ‘불교역사철학 서설’이라고 하고 싶다”라고 썼다. ‘불교는 세속의 가치를 벗어나 출세간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라는 기존의 통념을 넘어서, ‘불교는 역사를 잘 이해하여 제대로 살아가도록 하는 가르침’으로 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불교를 세속주의로 몰아가고자 함이 아니라 역사주의로 해석하고자 하는 뜻이다. -서문
나는 불교만큼 오해를 받는 가르침도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부처님의 중요한 가르침은 거의 모두 곡해되고 굴절되어 이해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 하나가 바로 불교는 무심한 종교라는 것입니다. 모든 시비분별을 떠난 초연한 은자로서의 태도는 불교인의 독특한 성격처럼 되어버렸습니다. 조는 듯 잠자는 듯한 침묵과 웃을 듯 말 듯 달관한 듯한 무관심이 적멸과 열반의 경지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사제님도 동의할 줄 압니다만, 나는 윤회라는 것을 비단 어떤 사람이 칠십 년쯤 살고는 죽고 그리고 다시 태어나고 하는 식의, 심지어는 개로도 태어나고 새로도 태어나는, 그런 계속되는 생명의 쳇바퀴 현상으로만 보지 않습니다. 염불 구절에도 나오는 바,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이니 하루에도 수만 번 나고 죽는 일을 계속 하는 것이 바로 윤회의 실상이 아니겠습니까? 곧 윤회란 변화를 뜻하는 말이며 그 내용은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