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8897479567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9-10-05
책 소개
목차
1장 마음에 반응하는 뇌와 몸
1. 상상이 실재다
2. 믿음에 따른 뇌의 반응
3. 마음과 몸은 어떤 관계인가?
4. 특별한 질병에 잘 걸리는 특별한 성격
5. 정서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2장 마음으로 뇌의 구조를 바꾼다
1. 뇌도 변화될 수 있는가? : 신경가소성
2. 아인슈타인의 뇌를 해부하다.
3. 사고 훈련을 받은 쥐의 뇌
4. 훈련이 미세한 뇌 구조까지 바꾼다
5. 외톨이로 자란 경험이 일으킨 행동장애
3장 사랑과 배려가 병을 치유한다
1. 사랑이란 생명수
2. 외로움이란 독약, 사랑이라는 보약
3. 부모가 따뜻하다고 느껴지면 건강하다 : 하버드와 존스 홉킨스의 연구
4. 따뜻한 인간관계가 심장병과 암을 치료한다.
4장 마음이 지닌 치유의 힘
1. 믿음에 바탕 둔 치료 : 티베트 의학
2. 마음으로 몸의 병을 치료하다 : 심신 의학(플라시보)
3. 종교를 믿으면 건강이 좋아진다 : 영성치료
4. 신앙심과 뇌 활동
5장 명상 수련에 따른 몸과 뇌의 변화
1. 다람살라로 간 벤슨 박사
2. 명상수행 중 몸에서 일어난 신기한 현상
3. 달라이 라마, 데이비슨 박사를 초청하다.
4. 수행승의 뇌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5. 행복감을 얻기 위한 뇌 훈련
6. 수행승의 뇌 활동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7. 일반인도 마음 수행을 통해 뇌를 바꿀 수 있을까?
6장 마음의 평화를 얻기 위한 명상수행 : 이완반응 명상
1. 삶의 고통,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할까?
2. 이완반응 명상이란 무엇인가?
3. 이완반응 명상은 어떻게 수련하는가?
4. 이완반응 명상으로 심신의 고통이 극복된다
5. 브레이크 아웃 : 영적 변형 체험
6. 브레이크 아웃의 뇌과학
7장 명상과 심신치유 : 과학적 근거
1. 삶의 고통과 명상 : 서양의학의 명상에 대한 관심
2. 명상의 신경과학적 측면
3. 스트레스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명상의 의료적 적용
4.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 적용 효과
5.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K-MBSR)의 효과 검증
6. 마음챙김 명상이 심신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이유
7. 명상의 심신치유적 전망
부록
삶의 지혜를 얻기 위한 마음챙김 명상 - MBSR
1. 마음챙김이란?
2. MBSR 수련은 어떻게 하나?
3. 마음챙김 명상 수련으로 삶이 건강하고 행복해진다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인슈타인을 그처럼 뛰어난 천재로 만들었던 것은 아마 자신의 뇌를 스스로 잘 활용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는 가장 중요한 뇌 부위인 39번 영역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이 부위의 뇌를 특별하게 키운 것이다. 사실 아인슈타인은 전 생애에 걸쳐 엄청나게 열심히 사고 훈련을 했던, 사고 분야의 세계 챔피언이었다. 이처럼 특정한 심리 훈련을 지속적으로 하면 특정한 심리 기능을 담당하는 특정 뇌 부위가 특별하게 발달할 수 있는 것이다.
본문 49쪽 「아인슈타인의 뇌를 해부하다」 중
1993년 하버드 의대의 코시린(Kossyln, s.) 박사 팀은 진짜 정보와 상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의 기제가 서로 다른가 여부를 밝히려 했다. 처음에는 피험자들의 면전에 문자가 적혀 있는 격자를 제시하고 그것을 쳐다보고 있는 동안 뇌의 어떤 부위에서 활동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했다. 다음에는 같은 피험자에게 문자가 적혀 있지 않은 격자를 제시하면서 그 격자 속에 앞서 실제로 문자가 적혀 있는 격자를 보았던 것처럼 상상해 보라고 하면서 PET 촬영을 했다. 결과는 실제 문자가 적혀 있는 격자를 보는 경우나 상상으로 문자가 있다고 상상하여 격자를 본 경우나 모두 뇌의 활동 기제가 같았다. 다시 말해 마음으로 상상해서 본 것이나 실제로 보는 것이나 뇌의 기제가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상에 의해 일어나는 효과가 실제로 일어나는 효과와 같다는 플라시보 효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는데 도움이 되는 발견이다.
본문 105쪽 「마음으로 몸의 병을 치료하다 : 심신의학」 중
명상 동안에는 전반적인 뇌 활동이 줄어들지만, 주의 집중과 긍정적 감정과 관련 있는 뇌 부위와 자율신경계 활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변연계의 활동성은 오히려 높아진다. 다시 말해 전반적으로 뇌 활동은 안정 이완 상태를 보여주지만 주의 집중과 자율신경계 조정 중추는 활성 흥분 상태를 보여준다. 명상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되돌아오면 앞서 명상 상태의 안정된 뇌 활동이 역동적인 모습의 뇌 활동으로 바뀌게 된다.
본문 212쪽 「명상의 신경과학적 측면」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