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74798406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0-09-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제2절. 연구 범위와 서술 방향
제2장 한암의 생애와 활동
제1절. 한암의 출가와 오도悟道
제2절. 한암의 교화와 상원사 입적
제3장 한암의 깨달음과 선관禪觀의 특징
제1절. 「일생패궐一生敗闕」의 오도悟道 과정 검토
제2절. 「선문답禪問答 21조」와 한암의 선수행 관점
제3절. 〈계잠〉의 분석과 한암의 선계일치적 관점
제4장 한암의 교육관과 실천방식
제1절. 한암의 종조宗祖 인식과 교육관 검토
제2절. 한암의 교육관 형성과정과 〈승가오칙〉
제3절. 한암의 삼본사수련소 운영과 탄허의 계승
제5장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암은 시대를 대표하는 선사인 동시에 특징적인 교육관을 토대로 선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을 직접 주도하며 실천에 옮긴 인물이다. 이런 점에서 그의 선사상과 더불어 실천을 동반하는 교육사상에 대한 검토는 한암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불가결의 요소이다. 특히 이와 같은 체계적인 교육자로서의 위상이 동시대의 다른 선사들에게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암의 선사상과 연관된 교육사상에 대한 검토는 한암을 이해하는 핵심이 된다고 하겠다.
한국불교는 1926년부터는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본사本寺 주지까지도 공식적인 대처가 용인되는 상황에 직면한다. 이는 한국불교 전통의 독신승단이라는 청정한 기반이 완전히 붕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상황에서 종단의 수장인 한암의 〈계잠〉을 통한 의식 환기는,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왜색화에 대한 종도의 참괴심慙愧心을 발하게 한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며 의미 깊은 일로 판단된다. 특히 한암의 종조론宗祖論과 종명宗名의 주장에서도 확인되는 것과 같이, 한암은 일본불교와 변별되는 한국불교만의 독자성을 유지하고 이를 천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한암은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를 대표하는 당대 한국불교의 최고 선사이다. 이런 위치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한암은 선사임에도 불구하고 교육과 계몽에 대한 깊은 고민과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게 된다. 이는 한암만의 선사상과 교육철학을 확립하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한암의 관점들이, 1941년에 창종되는 조선불교조계종에 반영되고 이것이 오늘날의 대한불교조계종으로까지 일정 부분 연결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암에 대한 검토는 곧 일제강점기와 현대불교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측면에서의 높은 연구 의의를 확보한다고 하겠다.